2024-8-16 (금) 뉴스
1.뉴욕증시, 소매·고용지표 호조에 '급등'…나스닥 2.34%↑ [출근전 꼭 글로벌브리핑]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15/0001175490
뉴욕증시가 일제히 큰 폭으로 상승 마감했다. 소매판매 및 고용지표가 호조를 보이면서 미국 경제에 대한 자신감을 되찾은 덕분이다. 14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블루칩을 모아놓은 다우존스 30산업평균지수는 전거래
n.news.naver.com
2."실탄 빨리 챙기자"…'몸값 5조' 회사 등장에 난리난 까닭
https://plus.hankyung.com/apps/newsinside.view?aid=2024081554831&category=NEWSPAPER
2~3년간 침체한 인수합병(M&A) 시장이 되살아나고 있다. 한때 두 자릿수까지 치솟은 인수금융 금리가 최근 연 5%대로 급락해 인수 후보들의 자금 ...
plus.hankyung.com
3.8·8 공급대책 안 먹혔나…서울 아파트값 6년來 최대폭 상승
https://plus.hankyung.com/apps/newsinside.view?aid=2024081554721&category=NEWSPAPER
서울 주간 아파트값이 약 6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오르며 21주 연속 강세를 나타냈다. 정부가 ‘8·8 주택공급대책’을 내놨지만 공...
plus.hankyung.com
4.워런 버핏은 美 화장품 사고 마이클 버리는 中 빅테크 담고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0/0000078752
글로벌 큰손들의 투자 포트폴리오가 공개됐다.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이 이끄는 벅셔해서웨이는 올해 2분기 애플 등 굵직한 종목 중 상당수를 대폭 줄이고 화장품 소매업체 울타뷰티와 항공기 부품 제조사 헤이코 지분을 포트
n.news.naver.com
5.美 "카타르 도하서 가자 휴전협상 시작…내일까지 예상"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3/0012730832
이윤희 특파원 = 15일(현지시각) 카타르 도하에서 이스라엘과 하마스간 가자지구 휴전 및 인질석방을 위한 협상이 시작됐다고 미국 백악관이 밝혔다.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 소통보좌관은 이날 온라인브리핑에서 "협상이
n.news.naver.com
6.푸틴 ‘돈줄’ 해저가스관 폭파…“우크라 총사령관 잘루즈니가 강행” (WSJ)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1/0003472706
2022년 9월 발트해저에서 있었던 노르트스트림 가스관 폭발은 발레리 잘루즈니 당시 우크라이나군 총사령관의 지휘로 민간 자금을 지원받아 수행한 작전의 결과라고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n.news.naver.com
7."소액주주 반대하는데"… 셀트리온-셀트리온제약 합병, 오늘 판가름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17/0001021183
셀트리온이 16일 이사회를 열고 셀트리온제약과의 합병 관련 결론을 내린다. 소액 주주들의 반발이 거센 만큼 회사가 합병을 강행할지 주목된다. 합병을 검토해 온 셀트리온 특별위원회에서는 이날 이사회에 합병 시너지 종합
n.news.naver.com
<오늘 개장전 꼭 알아야할 5가지_8/16 Bloomberg>
1) 美 소매판매 서프라이즈
미 상무부에 따르면 인플레이션을 조정하지 않은 7월 소매판매는 작년 초 이래 최대폭인 1% 증가하며 예상치 0.4%를 웃돌았음. 자동차와 휘발유를 제외한 소매판매는 0.4% 늘었음. 소매판매 13개 카테고리 중 10개가 증가. 월마트는 연간 순매출 증가율 전망치를 기존 4%에서 4.75%로 상향 조정
2) 예상 웃돈 美 경제 지표에 빅컷 베팅 축소
월간 소매판매와 주간 실업수당 청구건수 등 미국 경제의 회복력을 보여주는 지표가 잇달아 발표되자 트레이더들이 공격적인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을 낮췄음. 스왑시장에 반영된 9월 금리인하 예상 폭은 30bp 아래로 내려왔고, 연내 인하 프라이싱은 해당 지표 발표 전 100bp 이상에서 92bp 수준으로 후퇴. Curvature Securities의 Tom di Galoma는 “시장은 오버 프라이싱되어 있었고 채권 금리가 크게 내려간 상태였다”며 “지표 발표 후 패스트 머니가 (채권을) 매도하고 있다”고 전했음
3) 무살렘 연은 총재, ‘인하 적절한 시기 다가오고 있다’
알베르토 무살렘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는 금리를 인하하기에 적절한 시기가 다가오고 있다고 말하면서, 9월 FOMC를 앞두고 인하를 시사하는 진영에 합류. 그는 현재 인플레이션이 연준의 2% 목표치를 향해 돌아오고 있으며, 노동시장은 더 이상 인플레이션 위험을 초래하지 않는다고 진단. 물가와 고용이라는 “두 가지 책무에 대한 리스크는 더욱 균형 잡힌 것 같다”며 “적당히 제약적인 정책으로 조정할 시기가 다가오는 것일 수 있다”고 지적
4) 유가, 중동 긴장과 美 소매판매 호조에 반등
국제유가(WTI)가 이란의 이스라엘 공격 가능성에 대한 불안감과 미국의 소매판매 호조에 장중 한때 2% 이상 상승.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 소통보좌관은 건설적인 가자지구 휴전 협상을 희망한다면서도, 당장 타결을 예상하진 않는다고 밝혔음. 한편 중국의 경우 경기 부진 속에 7월 석유 수요가 전년비 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음. SEB AB의 Ole Hvalbye는 OPEC+가 올 4분기에 예정대로 감산 철회에 나서기 어려울 수 있다며, 10월부터 증산 시 공급과잉이 예상된다고 진단
5) PBOC, 경제 부진에 추가 성장 지원책 계획
판궁성 중국인민은행(PBOC) 총재는 경제 성장 지원을 위한 추가 정책을 내놓을 계획이라고 밝혔음. 그는 PBOC가 통화 및 금융 정책을 효과적으로 시행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국무원의 요구 사항에 따라 추가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설명. 최근 지표에 따르면 중국 경제는 주택 시장의 장기 침체로 인해 내수가 흔들리는 등 여전히 부진한 모습으로, 추가 부양책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음. 스탠다드차타드의 Ding Shuang은 중국 경제의 모멘텀이 둔화되었다며, 올해 약 5%의 성장을 달성하려는 당국의 목표에 더 많은 과제를 안겨주었다고 진단
(자료: Bloomberg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