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먹을 식(食) - 밥 뚜껑과 밥그릇의 모습
먹을 식(食)자는 밥 뚜껑(△)과 받침대가 있는 밥그릇의 모양을 본따 만든 글자이다. 먹는 그릇에서 먹는다는 의미가 나왔다. 먹을 식(食)자는 다음과 같이 먹거나 음식에 관련되는 여러가지 글자에 들어간다. 못 먹어 굶주린다는 뜻을 나타내는 글자에도 먹을 식(食)자가 들어간다.
먹을 찬(餐)자에서, 뼈를 추릴 찬(歺又)자는 손(又)에 뼈(歺)를 들고 있는 모습이다. 즉 뼈를 추리면서(歺又) 맛있게 먹는다(食)라는 의미이다. 만찬(晩餐)은 손님을 청하여 함께 먹는 저녁 식사이다.
마실 음(飮)자는 먹을 식(食)자에 [하품할 흠(欠)→음]자가 합쳐졌는데, 마실(飮) 때에는 하품하듯이(欠) 입을 크게 벌리고 먹는다(食)는 의미이다. 술을 마시고 운전하는 것을 음주(飮酒) 운전이라고 한다.
반찬 찬(饌)자는 먹을 식(食)자와 [뽑을 손(巽)→찬]자가 합쳐진 글자이다. 만든 음식(食) 중에서 맛있는 것을 뽑아(巽) 제단에 올린다는 데에서 반찬 찬(饌)자가 유래했다. 진수성찬(珍羞盛饌)이란 보물처럼 맛있고 성대한 음식이란 뜻이다.
객사 관(館)자는 먹을 식(食)자와 [집 관(官)]자가 합쳐진 글자이다. 옛날에는 객사 혹은 여관(旅館)에서 잠을 잘 뿐만 아니라 식당도 겸하였다. 즉 자고 먹는(食) 집(官)이 객사이다.
벌레먹을 식(蝕)자와 꾸밀 식(飾)자는 먹을 식(食)자가 소리로 사용되는 희귀한 경우이다.[장식(裝飾)]
▶ 餐 : 먹을 찬, 먹을 식(食) + [뼈를 추릴 찬(歺又)] / [만찬(晩餐)]
▶ 飮 : 마실 음, 먹을 식(食) + [하품할 흠(欠)→음] / 음주(飮酒). 음식(飮食)
▶ 飯 : 밥 반, 먹을 식(食) + [되돌릴 반(反)] / 십시일반(十匙一飯)
▶ 飽 : 배부를 포, 먹을 식(食) + [쌀 포(包)] / 포만감(飽滿感)
▶ 飼 : 먹일 사, 기를 사, 먹을 식(食) + [시킬 사(司)] / 사육(飼育)
▶ 饅 : 만두 만, 먹을 식(食) + [끌 만(曼)] /만두(饅頭)
▶ 餓 : 주릴 아, 먹을 식(食) + [나 아(我)] / 아사(餓死)
▶ 饉 : 주릴 근, 먹을 식(食) + [진흙 근(堇)] / 기근(飢饉)
▶ 飢 : 주릴 기, 먹을 식(食) + [책상 궤(几)→기] / 기아(飢餓)
▶ 饑 : 주릴 기, 먹을 식(食) + [기미 기(幾)] / 기아(饑餓)
▶ 養 : 기를 양, 먹을 식(食) + [양 양(羊)] / 양육(養育)
▶ 館 : 객사 관, 먹을 식(食) + [집 관(官)] / 여관(旅館)
▶ 餘 : (먹을 것이) 남을 여, 먹을 식(食) + [나 여(余)] / 여분(餘分), 여가(餘暇)
▶ 饒 : (먹을 것이) 넉넉할 요, 먹을 식(食) + [요 임금 요(堯)] / 풍요(豊饒)
▶ 饗 : 잔치할 향, 먹을 식(食) + [고향 향(鄕)] / 향연(饗宴)
☞ 響 : 울릴 향, 소리 음(音) + [고향 향(鄕)] / 음향(音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