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육계(肉鷄)란 고기를 얻기 위해 사육되는 실용계(實用鷄)의 한 종류를 말하며 사육 목적에 따른 닭의 분류중에 육용종(肉用種)에 속한다. 영어로 broiler(브로일러)인데 그 뜻은 '구이용닭' 이다. 국내에서는 대략 30일 내외의 기간동안 사육된후 출하되며 출하시 생체중량은 평균 1.5kg 이다. 주로 BBQ, KFC, 멕시칸등 치킨전문점에 납품되어 후라이드나 양념통닭의 원료육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가슴살이 두툼하고 다리가 짧으며 통통한것이 특징이다. 육계는 서구인들에 의해 그들의 입맛에 맞는 구이나 튀김용으로 품종개량이 되어져 왔기 때문에 삼계탕이나 백숙의 원료육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 하다. 또한 육질이 푸석푸석하고 고기 본래 고유의 맛이 없는 편이라 염지를 한후에 구이나 튀김방식으로 조리를 해야하고 소스를 곁들여 먹어야 한다. 국내 닭고기 시장에서 육계의 점유율은 80%(국내산 60%+수입냉동육 20%) 이며 나머지 20%는 토종닭(한협,맛닭)과 재래닭(청리,고려,고센닭,오골계)이 차지하고 있다.
국내에 사육되고 있는 육계는 그 종자닭(원종계)을 전량 외국으로 부터 수입하고 있으며 하림, 동우, 올폼,마니커, 체리부로등 닭고기 식품유통사들이 직영 및 위탁 농장을 통해 원종계,종계,실용계(육계)를 사육하고 있다. 원종계의 수입은 세계적인 육종계회사인 아비아젠(Aviagen), 코브-반트레스(Cobb-Vantress), 하바드(Hubbard)로 부터 하고 있는데 아비아젠에서는 '로스' '아바에이커' '인디언리버'를 보유 하고 있으며 코브-반트레스에서는 '코브'를 보유하고 있다. 1989〜2006년 사이 기업간 인수,합병을 통해 세계적인 육계 육종기업은 11개에서 3개로 감소하였다. 육종계회사 3개 중 2개가 유럽에 위치하고 있는데, 독일의 EW그룹(Erich Wesjohann) 산하의 아비아젠, 프랑스 그리모그룹(Grimaud) 산하의 하바드이고, 다른 하나는 미국의 타이슨 푸드(Tyson Foods) 산하의 코브-반트레스 이다. 현재 이 3개 기업이 육용 종계(GPS) 세계 시장의 95%를 공급하고 있다. 전세계 시장 점유율이 가장 높은 품종은 로스이며 약 40%를 차지하고 있다. 국내시장 점유율은 2009년 기준으로 로스 (46%), 코브(29%), 아바에이커 (25%) 를 차지하고 있다. 원종계(GPS)를 수입하는 국내기업과 품종은 아래와 같다.
아비아젠(Aviagen)은 미국 앨리바마에 본사가 있으며 전세계 약 130 여개 국가에 육용 원종계와 종계를 공급하고 있는 세계 최대의 육종계 회사이다. 주요품종은 로스(Ross), 아바에이커(Arbor Acres), 인디언리버(Indian River) 등이 있다. 로스는 세계시장과 국내시장 점유율 1위의 품종으로 국내에는 삼화원종에서 수입보급하고 있다. 조류독감등 질병 발생으로 인한 위험도를 분산 시키기 위해서 원종계와 종계의 생산농장은 여러 대륙에 분산배치 되어 있다. 2005년에 독일의 에리쉬 웨스요한(Erich Wesjohann) 그룹에 의해 인수되어 자회사로 되어 있다. 독일의 EW그룹(에리쉬 웨스요한)은 국내에도 많이 보급되어있는 산란계 로만브라운(25%)의 육종사인 로만 티어주흐트(Lohmann Tierzucht 社)도 보유하고 있다.
http://www.erich-wesjohann.de/
코브-반트레스(cobb-vantress)는 식품회사인 타이슨푸드사(Tyson Food)와 제약사인 업존(Upjohn)이 합작하여 1986년에 세운 미국계 다국적 기업이다. 코브는 1916년 미국 메사츄세츠에서 'Cobb's Pedigreed chicks'라는 가족기업으로 시작하였으며 1974년 업존에 의해 인수되었다. 반트레스(Vantress Breeding Company)는 1950년대 설립된후 타이슨푸드에 인수되었다. 코브와 반트레스가 합병되어 코브-반트레스가 설립되었으나 1994년에 타이슨푸드가 업존이 보유하고 있는 코브주식을 100% 인수함으로 현재에는 타이슨푸드의 자회사로 되어있다. 대표 브랜드는 코브(Cobb), 아비앙(Avian), 싸소(Sasso), 하이브로(Hybro)가 있다. 코브(Cobb)의 특징은 대형종으로 종계의 생산성은 떨어지나 실용계의 생산성이 우수한것으로 알려져 있다. 얼마전 유럽 종돈 전문회사 핸드릭스 제네틱스(Hendirix Genetics)와 합병 계획을 발표하여 관련업계의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http://www.hendrix-genetics.com/
하바드(Hubbard)는 1921년에 미국 뉴햄프셔에서 올리브 하바드(Oliver Hubbard)에 의해 설립되었다. 1974년에 제약사인 머크(Merck)에 인수되었다가 1997년 하바드만 분사되어 동물의약품 제약사인 메리알(Merial)의 계열사로 프랑스의 이사그룹(ISA group)과 합병된다. 2003년 이사 (ISA)와 쉐이버(shaver)의 육계라인을 유지하면서 분사된후 2005년 프랑스의 그리모(Grimaud)그룹에 매각되었다. 2006년 마니커에서 원종계 사업에 진출하며 프랑스에서 하바드 원종계(GPS)를 수입하였으나 성적이 부진하여 분양에 어려움을 겪은 경험이 있었다. 2015년 3월에 국내 원종계 수입업체중 하나인 하림에서 프랑스로부터 하바드 원종계를 수입하였는데 이는 하림이 기존에 미국 코브-반트레스에서 코브 원종계를 도입하여 왔으나 미국 현지에서 발생한 AI로 인해 가금류의 수출이 금지되었기 때문에 대체물량을 수입한것이다.
http://www.hubbardbreeders.com/
하림은 대한민국 식품산업의 대표기업이라 할수 있으며 50 여개의 계열사를 거느린 동양 최대규모의 닭고기와 식품 가공,유통기업이다. 하림그룹의 창업주인 김홍국회장의 창업 스토리는 초등학교 4학년때 외할머니가 주신 병아리 10 마리를 키우게 된것으로 시작된다. 이후 점차 사육수가 증가하여 고교때는 이미 고교생 사업가였다. 고3인 1978년 18세에 자본금 4000만원으로 익산시 황동면에 황동농장 설립하여 본격적인 양계사업에 뛰어 들었다. 1987년에 하림식품을 설립하였으며 1989년부터 미국 코브-반트레스社의 '코브' 원종계를 수입하기 시작했다. 2005년 연건평 만평이 넘는 본사 공장이 화재로 전소되어 피해액만 1천억원이 넘는등 큰 시련이 몇차례 있었으나 이를 극복해내며 오늘날과 같은 큰 기업을 일구게 되었다. 하림은 원종계(GPS) 수입으로 부터 부화, 사육, 도축, 가공, 유통등 육계 계열화를 선도하고 있다.
blog.harimgroup.com
삼화원종은 국내 육용 종계 시장 점유율 1위의 기업으로 '로스' 원종계를 수입하여 종계를 보급하고 있다. 1952년에 삼화농원으로 창업한 이후에 2대에 걸쳐 60 여년간 축산 외길을 걸어온 기업이다. 1990년 육용 원종계 하이브로(Hybro)를 수입하는것으로 원종계(GPS) 사업을 시작하였다. 1992년 로스 원종계를 수입하기 시작하였으며 1998년부터는 로스 종계(PS)를 대만과 말레시아등 아시아 지역에 수출하기 시작하였다. 3개의 육성농장, 5개의 성계농장, 2개의 부화장,가축위생연구소를 운영중에 있다. 로스 (Ross)는 미국의 아비아젠사에서 생산하는 원종계(GPS)로 전 세계 시장 점유율이 40%, 국내시장 점유율 46%를 차지하고 있다. 로스는 중대형 품종으로 종계의 생산성은 비교적 우수하나 실용계 성적은 다소 떨어지는 편이다.
한국원종은 국내 대표적인 닭고기 전문 기업 중 하나인 (주)체리부로의 자회사이다. 2002년 종계관련 23개 업체가 모여 출범하였다. 이로써 기존에 삼화육종과 하림의 양강구도 체제에 있던 국내 육용원종계 업계는 3각구도를 형성하게 되었다. 초기에는 하바드(hubbard) 종계를 수입하였으나 2004년부터 미국 아비아젠社의 아바에이커(Arbor Acres) 원종계를 수입하고 있다. 아바에이커는 대형종으로 종계와 실용계의 생산성이 비교적 무난한것으로 알려져 있다. 체리부로에서는 원종계, 종계사육, 부화장, 육계사육,농장,사료생산, 자동화설비 도계장 등 닭고기 생산 ,공급·유통 전 과정에 이르는 계열화를 구축하고 있다. 체리부로는 체리(Cherry)와 육용 닭을 의미하는 브로일러(broiler)의 합성어다.
청정원종은 (주)청정계에서 2011년 설립하였고 아비아젠(Aviagen)사의 인디안리버(Indian River) 원종계를 수입하였다. 모회사인 (주)청정계가 2014년 11월 6일부로 부도처리되었으며 이후 하림이 경기지역 진출을 위한 교두보를 삼기위해 인수를 검토하였으나 청정계가 떠안고 있는 지나친 부채로 인하여 인수를 포기함에 따라 다소 어수선한 상황에 처해있다. 사조화인코리아에서 청정원종을 인수하여 '사조원종'으로 사명을 개칭하고 인디언리버 원종계(GPS) 수입사업은 진행중인것으로 보인다.
마니커는 1962년 천호부화장으로 창업되었고 1998년 대연식품에서 인수하여 (주)마니커로 상호를 변경하였다. 2011년에 곡물경작,가축,가금,사료,백신제조등 종합 농축산 기업인 이지바이오 그룹의 계열사로 편입되었다. 2006년 10월에 원종계 수입사업에 진출하여 프랑스산 하바드(Hubbard)를 수입하였으나 산란율과 증체율이 좋치 않아 분양에 어려움을 겪다가 원종계(GPS) 수입사업을 포기하였다. 대신에 삼화원종으로 부터 '로스' 종계를 공급받아 실용계(CC)를 생산,조달하고 있다. 마니커는 종계사육, 부화,사료, 도계, 육가공등 계열화를 구축하고 있다.
순계,원종계,종계,실용계
순계,원종계,종계,실용계란 교배의 단계에 따라 세대별로 닭을 분류하는데 사용되는 용어이다. 순계를 통해 원종계를 생산하고 원종계로 종계를 생산하며 종계로 실용계를 생산한다. 순계(PL)는 Pure Line의 약자이며 원종계(GPS)를 생산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육되는 닭으로서 산란율, 증체율,항병력등이 우수한 계통 (系統) 고유의 형질을 보유한 우수한 종자닭을 말한다. 원종계(GPS)란 Grand Parent Stock의 약자이고 순계(PL)로부터 생산되며 종계(PS)를 생산할 목적으로 사육되는 계통이 확실한 닭을 말한다. 종계(PS)란 Parent Stock의 약자이고 원종계 (GPS)로 부터 생산 되어지며 실용계(CC)를 생산할 목적으로 사육되는 닭을 말한다. 실용계란 Commercial Chicken 의 약자로 종계(PS)에서 생산되며 품종개량이나 번식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식탁에 오를 식용란을 얻거나 닭고기를 생산하기 위하여 사육되는 닭을 말한다. 순계, 원종계,종계를 거쳐 4대째 생산된 닭을 실용계로 사용하는것은 4대째부터 열성 인자가 포함된 닭이 나오기 시작하므로 이를 실용계로 사용하는것이 가장 경제적이기 때문이다. 육용 원종계 초생추는 약 5만원선, 종계 초생추는 4천원, 실용계 초생추는 천원이하 정도이다. (시장 사정에 따라 가격은 변동됨)
순계(PL) ---> 원종계(GPS) ---> 종계(PS) ---> 실용계(CC)
종계의 수명
종계 암탉 한마리는 생후 대략 60주령(1년2개월) 전후의 기간 동안 약 100 여 마리의 실용계를 생산한후 도태된다. 원종계, 종계는 생후 약 1년정도가 경과되면 열성 인자가 나오기 때문이다. 허약한 병아리가 나오는것이다. 따라서 60주령 전후 시점에 도태를 시키기 때문에 한해에 2차례정도 원종계를 수입하여 종계 공급의 안정화를 꾀하고 있다. 국내 주요 닭고기 생산,유통 식품회사들이 원종계 수입사업에 뛰어드는 이유는 종계와 종란의 원활한 수급을 통해 자사 브랜드 닭고기의 가격 경쟁력과 품질을 안정화 시키고자 함이다. 국내 원종계 수입시장은 공급과잉 상태이다. 이를 해결하고자 자율쿠터제를 실시하여 업체간에 협의를 통하여 수입수량을 조절하고 있으며 수입 원종계를 통하여 생산된 종계의 해외수출도 활발히 진행중에 있다.
육계 계열화 사업
육계계열화 사업이란 판매망을 확보하고 있는 업체가 사육농가에 병아리, 사료, 약품, 연료,사육기술등을 제공하고 농가는 소유한 사육시설에 노동력을 투입하여 육계를 사육하고 계열업체에 납품하면 계열업체는 위탁 사육수수료를 지급하며 또한 계열화 업체의 책임 경영 하에 도계, 축산물 생산,가공 및 유통하는 사업형태를 말한다. 1950년대 미국에서 시작되었으며 한 기업이 닭고기 생산의 전과정을 계열화함으로써 중간 이윤을 배제하고 소비자 가격의 안정을 목적으로 하는 체계적인 시스템이다. 국내에선 1990년 농림부가 육계 계열화 정책을 수립하면서 본격화되었으며 현재 육계의 90% 이상이 계열화 시스템에 의해 공급되고 있다.
작성 : 마틴 시흥
첫댓글 마니커에서 수입하는 원종계의 품종이 '하바드' 라고 하네요.
다른 품종들은 인터넷으로 검색을 하니 종계의 사진이나
육종회사에 대한 정보를 알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하바드에
대해서는 아직 충분한 정보를 찾지 못했네요.
프랑스산이라고 하는데 육종계 회사들이 조류독감등 질병이
발병하면 수출이 불가하기 때문에 위험도 분산 차원에서
원종계나 종계 생산공장을 여러국가에 분산시켜 생산을 하는 체제라더군요.
그래서 대부분이 다국적 기업이고요.
하바드의 스펠링이 Harvard 가 아니고 아마도 hibird 나 Hybird 일것 같은데
하바드에 대해 아시는 분 있으면 댓글 부탁 드리겠습니다.
원종계 육종회사나 생산공장 홈페이지라도 아시면 부탁드리겠습니다.
야후 USA 를 통해 검색해보았으나 허탕이였습니다.
마니커에 전화를 해서 종계 관련 부서 직원과 통화는 했는데
아실만한 분들이 모두 외근중이라고 하네요.
내일 토요일은 휴무고 다음주에나 다시 전화를 해보아야 할것 같습니다.
인터넷 검색을 통하여 작성한 글이기에 다소 잘못된 부분도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잘못된 자료가 보이면 댓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육계종도 엄청 많네요
저는 한협3호가 가장 마음에 듭니다.토종닭의 모습을 조금은 지닌 건강한 개체 같아서요^^
시골집에... 아버지께서 키우는 아이들을 보니 우리맛닭 하고 흡사하게 생겼네요 ^0^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0^
삭제된 댓글 입니다.
사진 자료 보여 주심에 감사드립니다.
혹여 부탁 좀 드려도 될까 합니다만...
하코 사진을 이메일로 보내주실수 있으신지요?
자료상에 하코라고 올려진 사진은 하코가 아니라 슈퍼 하코의 사진입니다.
바볼라-테트라 사의 홈피에서 펌 한것입니다.
네이버 뷰티팜에서도 지적있었고 그에 대해 사실대로 해명을 한바가 있습니다.
글 작성을 위해 인테넷으로 검색을 하였고
로스나 코브등은 원종계를 양산하는 육종회사 홈피등에서 관련 정보나 사진을
쉽게 구할수 있었으나 하코의 육종회사인 바볼라-테트라 사의 홈피에 올라와 있는
하코 사진은 다소 문제가 있어 자료로 사용할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부득히 슈파하코를
하코의 시리즈라고 보고 올린것입니다. '참맛닭' 이라는 검색어로 네이버에 검색을 하면
성진부화장 송인환 사장님이 하코 암컷을 안고 찍은 사진이
있으나 이역시 자료 사진으로 캡쳐하여 사용하기에는 부적절해 보입니다.
바볼라-테트라사의 홈피에도 사진은 있으나 양산 품종들의 단체사진으로
하코의 암수에 대한 설명,구별된 사진은 없었습니다.
이점 널리 양해 부탁 드리겠습니다.
이미 뷰티팜을 통해 하코 숫컷이 플리머드록과 흡사하고
암컷은 흑색 청란계와 매우 흡사하다는 사실을
회원님의 댓글을 통해 알게는 되었습니다.
자료 수정을 위해 사진이 필요한데 이메일로 보내 주시면
대단히 감사 드리겠습니다.
좋은 주말 되시기 바랍니다.
삭제된 댓글 입니다.
자료 감사합니다
삭제된 댓글 입니다.
예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음 근데 검색 노하우 좀 전수해주세용^^
이미지 검색하는데 전 별로네요.
검색은 어느 엔진을 사용하시나요?
하코는 여러 색상이 나오므로 사진상에 나오는 닭을 하코 라고 지정 하기 어렵읍니다 ,
고정 이 되지 않은 닭의 색상으로 판단 하기가 힘들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