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범일동 자성대공원. 부산(釜山)이라는 명칭은 좌천동의 증산(위쪽 점선)이 아니라 이 봉우리에서 유래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아래쪽 점선이 2003년 복원한 영가대. 원래 영가대가 있던 터(●으로 표시)에서 옮겨왔다. 백한기 선임기자 baekhk@
- 좌천동 뒷산 '증산'서 - 유래됐다는 설 많지만 - 사료 등 따져볼 때 - 지금 자성대공원이 - 조선 때 '釜山' 유력 - 범천 하구가 옛 부산포
- 임란 전 부산진성 - 봉생병원 쪽에 위치 - 임란 끝난 뒤 자성대로 옮겨 가
늦가을의 낙엽 냄새가 진하게 밴 11월 하순, 필자는
동아대 이민아(산업디자인학과 4) 박지원(철학과 2) 이도은(신문방송학과 2) 학생과
부산진성, 영가대 옛터, 두모포왜관 옛터를 찾았다.
부산 동구에 속하는 이 일대는 1592년 4월 13일 왜군이 부산 앞바다로 쳐들어왔을 때 처음 전투를 치른 지역이고, 임진왜란이 끝난 뒤 조일 외교 및 무역을 관장하던 두모포왜관이 있던 곳이다.
자성대공원으로 불리는 산 정상부에 섰다.
박지원 학생이 "지금 우리가 서 있는 이곳이 바로 '釜山'(부산)이라는 주장이 있는 걸로 안다"고 말문을 열었다. "그래요. 최근 한국연구재단 등재지인 '문물연구' 25집(2014년)에 '부산포와 부산진성의 공간적 위치분석'(심봉근 전 동아대 총장) 논문이 발표됐습니다.
여기 보면 이곳이 행정지명에 나오는 釜山이며, 이 산을 둘러싼 성이 부산진성이라는 것이지요."
■ 과연 '증산'이 부산 지명 유래일까
자성대 주변 부산진성을 묘사한 '사로승구도'.
"어떤 근거가 있는 건가요?". 지원 학생이 묻는다.
"그 논문을 요약하면 이렇습니다. 釜山이라는 표기는 조선시대 성종
즉위년 1469년에 보이는 것이 처음이며, 고려시대부터 富山(부산)으로 썼다는군요. '동국여지승람' 등은 釜山浦(부산포)라는 지명은
가마(솥)과 같은 모양의 산 아래 있어 붙인 명칭이라 합니다.
그러면 釜山이라는 곳이 어디냐는 것이죠?
동구 좌천동 뒷산인 甑山(증산)이라는 설이 대세를 이루고 있으나,
이 명칭은 임진란 때 왜군이 이 일대에 범천증산성(凡川甑山城)을 축조했다는 기록에 처음 나옵니다.
즉, 증산은 '증성이 있는 산'이라는 의미로 증산성 축조 뒤에 생긴 명칭임에 분명해 보이며, 임진왜란·정유재란 때 우리나라 남해안에 왜인이 축조한 성(왜성)을 증산성이라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보면 된다는 것이지요. 결국 좌천동의 증산은 釜山과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는 것입니다."
임진란 이전에 제작된 책 '해동제국기'에 실린 '동래부산포지도'가 있다.
이 지도는 1474년 예조좌랑 남제가 삼포(제포·부산포·염포) 지도 3매를 이 책에 첨부해 올린 것인데,
'동래부산포지도'에는 부산포를 중심으로 주변 관청과 강, 산, 섬이 잘 나와 있다.
내부에는 동래현을 비롯해 동평현, 영청, 부산포왜관, 절영도 등을 표시했다.
"영청은 동구 좌천동 봉생병원 주변에 있었지요. 주목할 것은 그림 중앙에 있는 현재의 자성대공원과 범천
하구를 중심으로 지도를 그렸다는 사실입니다. 위의 문헌자료에서 말했듯이 '釜山 아래가 부산포'라 한다면 당시 부산포에는 지금의 자성대공원 말고는 주위에 산이 없었으므로 자성대공원이 곧 부산이라는 것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