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 완치 후, 계속되는(?)... ⇒ ‘잔기침’ 없애려면?
감기나 독감 또는 코로나19 감염되고 완치 후에 기침이 가시지 않는 경우가 있다.
여전히 잔기침이 이어지면 '몸도 아프지 않고 전염성도 없다'고 말해도 주변 사람들은 고개를 갸우뚱할 것이다.
실제 감기 증상 대부분은 7~10일이면 사라지지만 18일째 되는 날에도 여전히 기침을 하는 환자가
많은 것으로 연구 결과 나타났다.
미국 뉴욕주립대(버팔로) 감염병 책임자인 토마스 루소 교수는
"독감이나 코로나19가 나은 뒤, 감염성이 없어도 기침이 지속되는 것이 드문 일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바이러스성 질환 후 몸이 회복되는 동안 기침이 몇 주 또는 한 달까지 지속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까?
미국 건강미디어 '프리벤션 닷컴'에서 기침을 제거하는 방법과 예방 대책을 소개했다.
1. 잔기침을 없애는 방법
- ⑴. 꿀을 즐긴다.
꿀을 넣은 따뜻한 차는 손상된 목을 진정시킬 수 있다.
따스한 액체가 가슴과 부비강의 점액을 분해하고 꿀은 감염과 싸우는 것을 돕는 자연적 항균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꿀만 먹어도 기침을 완화시킬 수 있다.
한 연구에 의하면 2세 이상 어린이들에게 시판 기침약의 주요 성분 중 하나인 덱스트로메토르판 만큼
꿀이 효과적일 수 있다.
⑵. 수증기를 쏘인다.
몸이 아플 때 뜨거운 샤워를 하면 기분 좋은 이유가 있다.
뜨겁고 습한 공기는 기침을 유발하는 점액을 맑게 하고 코와 기도에 수분을 공급함으로써 호흡을 쉽게 해준다.
유칼립투스는 수증기에 활력을 줄 수 있는 항바이러스, 항균 성질을 가지고 있다.
끓는 물에 잎이나 에센셜 오일 몇 방울을 넣고 깊이 들이마시면 도움이 된다.
⑶. 시판되는 약을 먹는다.
기침을 도저히 멈출 수 없을 때는 기침 억제제와 점액 희석 성분이 들어있는 약을 먹는다.
도움이 되지 않으면 병원에 가서 약을 처방받는다.
시판 감기약은 1주일가량만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후에는 약의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⑷. 수분 공급을 유지한다.
물을 마신다고 마법처럼 기침이 사라지진 않아도, 탈수증상은 기침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이비인후과 전문의 오미드 메디자데는 '적절한 수분 공급'과 차가 '기침을 관리하는 가장 효과적 방법' 중
하나라고 말한다.
탈수증세가 있으면 구강 점막이 건조해지면서 짜증을 초래할 수 있다.
부비강 세척제는 과다한 점액을 제거할 수 있지만 하루에 1번만 사용한다.
감염과 싸우는 백혈구를 가지고 있는 콧물을 과도하게 없앨 필요는 없다.
2. 잔기침을 예방하는 방법
- ⑴. 예방대책을 실천한다.
잔기침을 피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애초에 병에 걸리지 않는 것이다.
수시로 손을 잘 씻어야 한다.
공공장소에서 많은 사람들이 접촉한 표면을 만지거나, 아픈 사람들 주변에 있을 때는 손 씻는데 더 주의를 기울인다.
⑵. 휴식한다.
잠은 몸이 저절로 회복되는 때이고, 아플 때 면역체계가 싸울 시간을 주는 것이다.
휴식은 전반적인 증상 지속 시간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기침 탓에 잠을 이루기 힘들면 베개로 머리를 약 15도 위로 받쳐준다.
숨을 더 쉽게 쉴 수 있도록 공기 통로를 열어주고 목에 점액이 쌓이는 것을 막을 수 있다.
⑶. 공기를 관리한다.
기침을 악화시키거나 더 오래 머물게 만드는 자극제를 피해야 한다.
연기, 향수, 그리고 알레르기 유발 요인을 멀리 한다.
공기청정기는 목을 간지럽게 만드는 먼지, 비듬, 기타 입자들을 제거할 수 있다.
히터는 공기를 건조시켜 기침을 자극할 수 있기 때문에 가습기로 수분을 보충하면 도움이 된다.
- 옮긴 글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