環境 美化員의 世界
지금 시기가 옛날로 비교하면 농촌이 궁핍하여 해마다
음력 4월경이 되면 겨우내 묵은 곡식은 다 먹어서 없어지고
보리는 아직 여물지 않아서 농가 생활이 매우 어려웠다.
흔히 춘궁기(春窮期)라고 불리는 이 시기를 대부분
초근목피(草根木皮)로 간신히 연명하다시피 하였으며,
워낙 지내기가 힘들어 마치 큰 고개를 넘는 것 같다 하여
보릿고개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세월이 흐르며 얼마전까지만 해도 한 동안 물질적인
풍요를 누려 왔으며 일부 계층이긴 하나 흥청망청 돈을
뿌리며 살았다.
해외관광이나 골프다 하며 질탕한 먹거리에 분별없는
쾌락을 좇아 온 우리들의 삶은 사실 무절제한 것이었다.
그러나 보름달도 차면 기울기라도 하듯 지금은
경제가 어렵다지만 어려워도 이만저만 어려운 게 아니다.
서민의 얼굴에 주름이 깊게 파인 지 오래다.
가계가 휘청거리다 이제 주저앉게 될 조짐마저 보여
그냥 일이 아니다.
젊은이들이 실업난에 허덕대고 있는데 한창 사회에
기여해야 할 젊은이들이 허공에 떠 있는 슬픈 현실이다.
매일마다 출근 시간이나 늦은 밤과 낮에 청소하는
환경 미화원을 접하게 된다.
아마도 도로변에 쓰레기가 없이 깨끗 하다면 환경 미화원은
필요가 없게되니 그들에게 생계를 위협받을지도 모른다.
언젠가 환경미화원에게 근무조건과 보수를 물어 본적이
있는데 정년 60세가 보장되는데다 대우도 괜찮은 편이라고 한다.
근무지에 따라 수당 등에서 약간 차이가 있긴 하지만 초봉이
연봉 최고 3300만원에 이른다는 얘기다.
게다가 4대 보험에 가입되며 퇴직 후 국민연금 혜택을 받게
될 뿐 아니라, 20대부터 환경미화원으로 일할 경우 퇴직금도
공무원들과 비슷할것 이다.
무엇보다 청소 장비가 현대화돼 예전에 비해 근무 강도가 많이
낮아졌다는것도 좋은 근무조건으로 꼽힌다.
환경미화원 모집에 고학력자가 응시하는 건 예사로운 일이
아니라 몇 년 전부터 언론의 뉴스거리가 돼 왔다.
육체적인 노동이 아니라 정신노동에 종사해야 할 고급 두뇌인
석사학위를 받은 사람이 전혀 엉뚱한 데에 응시했다는 것은
아무래도 화제거리가 될수밖에 없다.
환경미화원 공채에 응시 한다고하여 합격은 보장되는게 아니라
그렇지 않을것이다.
서류전형으로 뽑는 게 아니라 일정한 절차를 밟아야만 한다.
체력검정과 면접을 거쳐서 최종 합격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면접이야 그렇다 치더라도 체력검정이 결코 만만치 않을 것이다.
몇 년 전 환경미화원 시험을 치르는데 무거운 모래자루를 어깨에
메고 달리기하던 장면을 뉴스를 통해 봤는데 눈앞에 생생하다.
오로지 공부에만 매달려온 석사학위 소지자는 당연하게 체력에
취약한것은 당연하다.
어려운 공부를 한다고 어깨나 제대로 펴고 살아 왔겠는지 그저
남의 일 같지 않다.
물론 공개채용이 그 절차뿐 아니라 시험관리 과정 전반이
투명하길래 어려운 학문을 하는 두뇌는 지녔어도
보통 사람들이 해낼 수 있는 그 동작에는 전혀 날쌔지 못했던
모양이다.
아무리 봐도 어처구니없는 일이며 그의 좌절이
혹여 절망을 부를지 모른다.
시험에 응시하는 본인들도 그렇지만 허리 휘청거리며교육비를
보탠 부모님들의 심경은 말할수 없을테다.
세상을 살아가며 우선 먹는게 우선이라는 이야기를 하도많이
들었지만 이게 직업이 아니던가.
가금씩 바뀌며 길거리를 청소하는 젊은이의 환경 미화원의 얼굴을
보노라면 그의 두뇌를 생각케한다.
갈수록 좁아지는 취업 바늘구멍으로 한때 3D업종으로 외면받던
환경미화원이 정년과 안정적인 보수가 보장되는 인기직종으로
자리잡고 있다
직업에 귀천이 없다지만 젊은이들의 일자리가 없는 현실에 .... 南 周 熙
|
첫댓글 그러게요 저도 대학생 두명을 둔 엄마로서 걱정이 됩니다 공부한다고 힘들고 취직한다고 힘들고 ..좋은날이 오겠지요. ^^
자기 바라는 직장에서 모두 기운차게 일할 수 있었으면
글 잘 보고 갑니다,
국가가, 경제가 살아야!, 국가 사회의 기틀이 잡힐 터인듸~ 이!,,, 세계 최강 최악의 노동투쟁, 최강의 악성 노조 국가!. 반 기업정서 국가. 그래도 노동운동으로 망한 많은 나라들더다는 질기게 견듸어 가는것이 다행 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