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aver.me/5cZrnXol
북극늑대
북극늑대(학명 : Canis lupus arctos, 영어: Arctic wolf) 눈늑대, 흰색늑대는 늑대의 아종 중 하나이다. 북극늑대는 캐나다 북부, 알래스카주와 그린란드 북부에 서식한다. 이들은 흰색의 털을 갖고 있으며 긴 송곳니를 가지고 있다. 북극늑대는 다른 늑대보다 약간 크기가 크며 무게도 무겁다. 길이는 120~165cm 정도이고 무게는 45~80kg이다. 하루에 많은 이동거리를 가지고 있으며, 포악하고 추격에 능하다.
북극늑대는 빙하기를 견뎌낸 동물로, 평균 수명은 7∼10년이다. 그러나 환경오염과 밀렵 등으로 인해 개체 수와 서식지가 줄어들고 있다. 2012년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멸종 위기종 레드리스트(Red List)에 등재됐다
https://naver.me/xzTRZdfc
1. 개요
북극 지방에 서식하는 식육목 개과 포유류. 늑대 아종들 중에서 가장 큰 종에 속하고 범상치 않은 다리와 체형을 가지고 있다.
북아메리카의 북극해에 위치한 작은 섬들에서 산다.
2. 상세
눈늑대 또는 흰늑대라고도 한다. 흰색의 털을 갖고 있으며 키는 99cm, 몸길이는 130~165cm이고, 최대 187cm까지 자란다고 한다. 이빨은 42개 정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송곳니는 일반늑대보다 길고, 날카롭다. 무게는 45~80kg 정도로 늑대 중에서 가장 큰 아종이다. 평균수명은 약 10~15년이다. 사육일 경우에는 20년동안 살고.늑대 아종들 중에서는 오래 사는 편이다. 포유류는 같은 종이라도 상대적으로 추운 곳에 사는 개체가 더 크다는 '베르그만의 법칙'의 대표적인 예시이다. 마찬가지로 기온이 낮은 북부 캐나다의 늑대들 역시 북극늑대 못지않게 크다.
성격도 사납고 덩치도 크지만 사람을 공격하는 사고는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실제로 사람이 북극늑대의 근처에 가서 촬영을 했지만 북극늑대는 사람에게 관심조차 가지지 않았다고 한다#. 하지만 '북극늑대와 나'라는 다큐멘터리에 따르면 침낭 속에서 자던 사람을 습격한 사례가 있다고 한다.
북극늑대 말고도 하얀 털가죽을 지닌 늑대는 꽤 많은데 늑대 자체가 개체별로 백색, 흑색, 회색 등 다양한 털색을 가진 동물이다.
3. 사냥 및 식단
일반 늑대보다 더 육식을 하고 사냥실력도 아주 뛰어나서 주로 순록, 말코손바닥사슴, 사향소, 북극여우, 새, 바다코끼리 그리고 바다표범을 잡아먹는데, 가끔 죽은 고래도 먹는다. 1주일 동안 먹이를 안 먹고 버틸수 있다. 큰 덩어리의 고기일수록 조금 씹은 후 통째로 삼키며 뼈까지 모두 먹어치운다.
4. 천적 및 경쟁자
실제로는 북극곰과 같이 북극의 최상위 포식자이기 때문에 천적이 거의 없다. 하지만 주로 경쟁상대는 북극곰이다. 대부분 싸우는 이유는 서로 경쟁상대로 인식하기도 하고 먹이를 강탈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물론 북극곰이 체급도 앞서고, 힘도 앞서지만 북극늑대는 여러마리의 군단을 이끌고 대적하기 때문에 북극곰도 쉽게 건드리진 못한다. 또한 새끼 북극곰도 경쟁자로 취급하여 어미 북극곰이 자리를 비운 사이에 죽이는 일이 많이 발생한다.
북극여우는 경쟁자는 아니지만 북극늑대는 북극여우 같은 작은 포식자들이 자신의 영역에 있는것을 매우 싫어한다. 그래서 북극여우를 보기만 하면 죽이려고 하거나 쫓아낸다.[1]
5. 기타
상기한 대로 늑대를 다룬 책 중 가장 잘 알려진 "울지 않는 늑대" 에서 작가가 관찰하던 종이 이 종이다. 그렇지만 북극늑대도 우는 소리는 늑대와 비슷하다.
모게코의 작품인 아이스 스크림의 주인공인 시로가네의 모티브가 바로 이 늑대이다.
모여라! 시튼 학원에서는 '오오카미 란카'라는 이름을 지닌 북극늑대 수인이 인간 남성와 함께 2명의 메인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외모는 분홍 머리칼과 북극늑대의 귀와 꼬리를 지닌 미소녀로 묘사되나 행동은 강아지같다.
https://naver.me/5E3Gw1Lk
북극 설원을 달리는 새하얀 늑대 북극늑대
북극에 사는 동물들 중에는
흰 털을 가지고 있는 동물들이 많은데요,
북극곰, 북극여우 외에도
눈처럼 새하얀 흰 털을 가지고 있는
북극늑대가 있습니다!
오늘은 북극늑대의
이야기를 들어볼까요?
언제 봐도 멋진
나의 흰 털!
샤랄라~ 눈처럼 새하얀 털이 너무 예쁘죠?
저희는 늑대 중에서도 유일하게 흰 털을
가지고 있는 '북극늑대'랍니다.
흰 눈으로 덮여있는 이곳에 딱이죠!
눈바람쯤이야
제 털은 보호색 역할뿐만 아니라
몸 전체에 빼곡히 나있어서 보온도 뛰어나요!
차가운 눈 위를 걸어도 끄떡없도록
발에도 털이 송송 나 있답니다!
털 색은 다르지만
내 아들!
거기 갈색 털의 작은 친구는 누구냐고요?
하하~ 제 아들이랍니다! 저희 북극늑대들은
어렸을 땐 갈색 털과 파란 눈이에요.
점점 자라며 새하얀 털과 갈색 눈으로 변하죠.
오늘 사냥도 힘내자!
꼬르륵~ 점심시간이네요!
저희는 6~8마리씩 무리 지어 다니는데요.
함께라면 사향소 같은 커다란 동물도 문제없죠!
저도 함께 사냥하러 가볼게요~ 여러분 안녕~
https://naver.me/5Cr4nWBH
그래서 회색 늑대의 다른 아종들과는 짝짓기도 가능할 만큼 생물학적으로 아주 가깝지만,
사는 곳은 완전히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아종으로 따로 분류되었다고 들었어요.
많은 늑대들이 주로 온대지방인 중위도 지역에
넓게 분포해 있는 반면, 저희는 지도에 표시된 것처럼 북극에 가까운 고위도 지역에 몰려 살거든요.
저희가 살아가는 곳은 눈과 얼음으로 덮여 있을 때가 많기 때문에, 저희 북극 늑대들은 늑대들 중에서도 유일하게 하얀 털을 가지게 되었답니다.
북극 늑대들은 평생 한 반려자와 살아가요.
다른 회색 늑대 아종들에 비해 저희는 코가 짧고, 귀가 작아요.
또, 겨울에는 한 겹의 털이 추가적으로 자라나서
몸 밖으로 빠져나가는 열을 최소화해 주고요.
북극 늑대들은 눈을 밟고 있어 발이 차가울 수밖에 없는데,발의 특이한 혈액 순환 구조 덕분에,
심장에서 발로 가는 따뜻한 피가 발에서 심장으로 돌아가는 차가운 피를 데워준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