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번 | 브랜드명 | 국적 | 진출년도 | 발전현황 |
1 | 하겐다즈(哈根达斯) | 미국 | 1996(상하이) | 2015년 6월 기준, 점포수 200개를 넘어섬. |
2 | DQ(冰雪皇后) | 미국 | 1992(베이징) | - 2014년 10월 21일 기준, 중국내 점포수 총 448개를 기록함. - 티벳, 칭하이, 신장, 내몽고, 동북삼성을 제외한 중국 전 지역에 입점함. |
3 | 베스킨라빈스 (芭斯罗缤) | 미국 | 1993(베이징) | - 2013년 2월 기준, 90개 점포 보유함. - 같은 해 추가 5개 점포의 프랜차이즈 계약을 체결하고, 2023년까지 249개 점포를 추가적으로 운영할 것을 목표로 함. |
4 | 콜드스톤 | 미국 | 2007(상하이) | 2014년 8월 기준, 60여 개 점포 보유 |
5 | iceason(爱茜茜里) | 이탈리아 | 2007(상하이) | - 2012년 기준, 109개 점포 보유 - 10개성 21개 지역에 분포 |
6 | Bassetts Ice Cream | 미국 | 2008(베이징) | 2014년 5월 기준, 5개 점포 보유 |
7 | Stickhouse | 이탈리아 | 2013(쿤밍) | 2013년 11월 기준, 11개 점포 보유 |
8 | VAI MILANO | 이탈리아 | 2013(베이징) | 베이징, 상하이, 쑤저우 등 8개 점포 보유 |
9 | Naturice | 이탈리아 | 2014(베이징) | 현재까지 3개 점포 보유 |
10 | Cows Creamery | 캐나다 | 2014(베이징) | 2014년 10월, 베이징에 1호점 오픈 |
자료원 : 각 기업 홈페이지 및 KOTRA 톈진 무역관 정리
- 초기 중국 내 아이스크림 주요 수입국은 미국이었으나 점차 이탈리아, 캐나다, 한국 등 다양한 국가에서 수입하고 있음.
- 최근 젤라또, 수제아이스크림 등 특색있는 제품들이 중국 소비자들의 관심을 끔.
- 해외 유명 아이스크림 브랜드는 대부분 베이징, 상하이 등 소비력이 높은 1선 도시 위주로 진출함. 예외적으로 이탈리아 ‘Stickhouse’의 경우 따뜻한 관광도시라는 점 등을 고려해 운남성 쿤밍에 점포를 냄.
□ 아이스크림 중국 수출 시 유의사항
○ 운송과정에서 콜드체인 시스템을 운영하며, 드라이아이스를 사용함.(고급제품의 경우 수송온도에 대한 요구가 특히 까다로움.)
○ 중국 내 아이스크림 수입자는 원산지증명서 또는 자유판매증명서, 영업허가증 신청서 복사본, 위생증명서 등의 서류를 구비해야 함.
○ 수입 아이스크림은 중국국가표준에 따른 원료배합을 원칙으로 하며, 별도의 중문라벨을 제작이 필요함.
- 중국국가질량감독검사검역총국(国家质量监督检验检疫总局)은 2014년 9월, ‘아이스크림중국국가표준(GB/T 31114-2014)’을 새로 발표함. 이는 아이스크림의 정의와 관련 전문용어, 원료 배합, 관련 기술, 생산과정, 검역방법 및 규정, 포장, 운송, 보관, 판매, 리콜 등을 규정하고 있음. 새로 발표된 아이스크림 중국국가표준은 2015년 4월 1일 이후부터 실시됨.
- 중문라벨은 ‘중국식품안전국가표준-포장식품라벨통칙(GB 7718-2011)’에 따라 샘플양식에 맞추어 제작함.
- 영양성분은 성분함량이 높은 순부터 표기하며, 포장지상에 반드시 생산일자, 유통기한 을 표기해야 함.
□ 중국 아이스크림 소비 동향
○ 소비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식품 소비 또한 증가하면서, 주식 이외에 디저트에 대한 소비가 늘어남.
- 중국국가산업전망왕(中国产业洞察网)에 따르면, 2014년 기준, 중국 1인당 평균 아이 스크림 소비량은 2.8리터(L)까지 증가했으나 여전히 호주, 미국, 이탈리아 등 다른 국가에 비하면 낮은 수치임.
○ 베이징, 상하이 등 1선 도시에서 아이스크림에 대한 수요가 높고 해외 수입 브랜드 아이스크림을 선호함.
○ 건강을 중시하는 중국인들의 소비성향으로 최근 무설탕, 저지방, 천연원재료를 사용한 고급 아이스크림 판매가 증가함.
○ 중국 내 인기 아이스크림 8대 브랜드
- 멍니우(蒙牛公司) : 신선우유, 아이스크림, 분유 및 기타 유제품을 주력으로 생산하는 중국 대표 유제품 생산업체이며, 2015년 전문 아이스크림 제조업체를 설립해 현재 신제품 출시를 계획함.
- 이리(伊利集团) : ‘멍니우’와 함께 1·2위를 다투는 중국 대표 유제품 생산업체임. 최근 고급아이스크림 제품 연구·개발에 집중하며, 고급아이스크림 제품 생산 비중을 늘림. 이리그룹의 발표에 따르면, 2014년 ‘伊利牧场、巧乐兹’ 두 제품의 판매 증가로 생산 비중을 늘려 1억9800만 위안 규모의 이익을 달성함.
순위 | 브랜드명 | 국적 | 대표상품 이미지 |
1 | 멍니우(蒙牛) | 중국 | |
2 | 이리(伊利) | 중국 | |
3 | BAXY(八喜) | 중국 | |
4 | 허루쉐(和路雪) | 중국 | |
5 | 네슬레(雀巢) | 스위스 | |
6 | DQ(冰雪皇后) | 미국 | |
7 | 하겐다즈(哈根达斯) | 미국 |
|
8 | 홍바오라이(宏宝莱) | 중국 |
|
자료원 : 각 기업 홈페이지 및 KOTRA 톈진 무역관 정리
□ 한국 아이스크림 중국수출 현황
○ 한국 농림축산식품부의 ‘가공식품 세분시장 현황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아이스크림 수출액은 2008년 1780만 달러에서 2013년 3747만 달러(한화 약 430억 원)로 약 110% 증가함.
○ 그 중 중국으로의 수출은 물량으로 2009년도 531톤에서 2013년도 1,757톤으로 약 231%, 수출액으로는 2009년도 275만6000달러에서 2013년 667만2000달러(한화 약 76억 원)로 약 142%가 증가함.
○ 한국의 아이스크림 수출 시장 1위는 미국(797.9만 달러, 2013년 기준)이며, 중국은 그 뒤를 이어 2위를 차지함.
자료원 : 한국 농림축산식품부
기업명 | 진출현황 | 대표상품 이미지 |
롯데제과 | - 무역회사 및 대리상을 통해 상품 판매 - 저렴한 가격의 고급제품으로 인식 - 한국 아이스크림을 가장 많이 수출함. | |
(주)빙그레 | 2014년 상하이법인 설립 |
|
해태제과 | 무역회사 및 대리상을 통해 상품 판매 |
|
자료원 : 각 기업 홈페이지 및 KOTRA 톈진무역관 정리
□ 시사점 및 전망
○ 현재 중국 아이스크림 시장은 다원화된 경쟁구도를 보이며, 고급성장 단계로의 진입을 준비하고 있음.
- 세계적으로 아이스크림은 더 이상 더위 해소 식품이 아닌 기호식품으로 자리 잡음. 이에 중국 아이스크림 시장 또한 동반성장 중
- 이전에는 중저가 아이스크림 위주로 판매됐으나 중국의 소득 수준 향상, 해외 아이스크림 수입 등의 요인으로 고급 아이스크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 이에 수제 아이스크림, 무설탕, 유기농, 인공색소 무첨가 제품 등 고급 아이스크림 생산 및 수입에 초점이 맞춰짐.
○ 중국은 위생안전에 민감하므로 아이스크림 수출 시 특히 중문라벨 제작에 주의가 필요함.
○ 중국 현지 언론에 따르면, 한국 식품은 한류 열풍과 깨끗하고 건강한 이미지로 중국 시장에서 호감도가 높음.
- 최근 중국에 ‘설빙’ 등 한국 디저트카페 입점이 활발해짐에 따라 한국 아이스크림뿐만 아니라 빙수에 대한 관심 또한 높음.
○ 중국인들은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으므로 우리 기업들은 유기농, 천연원재료를 사용한 ‘웰빙’ 아이스크림 수출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임. 또한, 한국에서 유행한 벌집아이스크림 등 다양한 맛과 모양으로 만족감을 줄 수 있는 제품 수출도 고려할만함.
자료원 : 한국 농림축산식품부, 중국국가통계국, 全球机械网, 龙品锡市场研究中心, 中国食品报, 北京晨报, 商路通 등 각종 현지 언론 및 KOTRA 톈진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