샘플링 검사
1. 샘플링검사의 개념
(1) 검사 : 물품은 어떤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를 판정기준과 비교하여 개개의 물품에 양호, 불량 또는 로트의 합격, 불합격의 판정을 내리는 것. (KS A 3101 : 샘플링검사 통칙)
(2) 샘플링 검사의 전제 조건
∙로트를 구성할 수 있어야 함.
∙시료를 랜덤하게 취하여야 함.
∙품질기준이 명확해야 함.
∙로트의 검사특성치에 대한 분포가 정규분포를 가져야 함.
2. 샘플링 검사의 설계
검사특성 곡선을 고려하여 로트로부터 시료를 몇 개 채취하고 또한 로트의 합격, 불합격의 판정기준을 어떻게 정할 것인가를 설계하는 것을 말함.
3. 샘플링 검사의 분류
(1) 검사대상 특성에 따른 분류
∙계수형 샘플링 검사(불량품 개수 또는 결점수에 의한 검사)
∙계량형 샘플링 검사(특성치에 의한 검사)
(2) 방식에 따른 분류
∙규준형
- 생산된 로트의 합격, 불합격을 결정하는 샘플링 검사로서 생산자와 소비자를 동시에 보호, 만족하도록 하는 검사방식
∙선별형
- 시료중의 불량률 수가 합격판정 개수를 넘는 경우에 로트의 나머지를 전수 선별하여 불량품을 제외시키고 양품과 바꾸어주는 검사방식
∙조정형
- 소비자측에서 샘플링 검사 수준을 조정하는 특징을 가진 검사 방식
- 일반적으로 합격으로 하고 싶은 합격품질수준(AQL)을 정하고 이수준보다 좋은 품질의 로트는 거의다 합격시킬 것을 보증한다.
∙연속생산형
이미 구성된 로트가 아닌 연속생산중인 물품을 그 상태에서 검사하는 방식
분 류 |
횟수 |
해당규격 |
보증품질 |
계수형 |
규준형 |
1회 |
KS A 3102 |
p0 , p1, |
축차 |
KS A 3107 |
p0 , p1, |
선별형 |
1회 |
KS A 3105 |
AOQL, p1, |
조정형 |
1회,2회,다회 |
KS A 3109 |
AQL |
연속생산형 |
|
KS A 3106 |
AOQL |
계량형 |
규준형 |
1회 |
KS A 3103
KS A 3104 |
p0 , p1, 또는
mO, m1 |
축차 |
KS A 3108 |
p0 , p1, |
조정형 |
1회 |
MIL STD414 |
AQL |
4. 계수 규준형 1회 샘플링 검사 (KS A 3102)
(1) 개념
로트의 크리 N중에서 시료 3개를 검사하여 이중에서 불합격품 수가 C개이하이면 그 로트를 합격으로 판정하고 (C+1)개 이상이면 불합격으로 판정하는 검사방식으로 로트의 불량율이 p0 밖에 안되는 좋은 품질의 로트가 불합격될 확률 α(생산자 위험)와 불량율이 p1 이되는 나쁜 품질의 로트가 합격될 확률 β(소비자 위험)을 미리 정함으로서 로트 N에 따른 (n, c)를 결정한다.
(2) 검사 절차
① 품질기준을 정함
② p0 , p1, α, β 값을 정함 ( α=0.05, β=0.10 으로 함)
③ 로트 단위(N)을 결정
④ KS A 3102에서 (n, c)를 결정
⑤ 로트에서 시료 n을 채취하여 검사하고 발견된 불량품 수를 c와 비교하여 로트를 합격판정 내림
⑥ 로트의 처리
5. 계수 선별형 1회 샘플링 검사 (KS A 3105)
(1) 개념
합격된 로트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불합격된 로트는 반품하는 대신 전수검사를 실시하여 로트에 남아있는 불량품을 모두 제거한 다음, 로트를 합격으로 처리하는 검사방식 (1회에 한하여 실시하는 경우 1회 샘플링검사라 함)으로 로트 품질보증과 평균 품질보증의 개념을 갖는다.
∙로트 품질보증 : 개개의 로트의 품질을 보증하는 것으로 받아들이고 싶지 않은 로트의 한계불량율(로트 허용 불량율 : LTPD)을 미리 정하여 두고 로트의 합격 판정을 내린다. LTPD = p1 이라고 함.
∙평균 품질보증 : 선별검사를 실시한 로트들의 평균품질을 보증하는 것으로 평균출검 품질한계(AOQL)을 미리 정하여 이값을 넘지 않도록 한다.
(2) 검사 설계 절차
① p1 또는 AOQL의 지정
② 공정평균 불량율 ̄p 의 산출
③ p1 을 지정했을 때에는 SL표, AOQL를 지정했을때는 SA표를 사용하여 n, c를 결정함 (KS A 3105로부터)
6. 계수조정형 샘플링 검사 (KS A 3109)
(1) 개념
규준형 샘플링검사는 시료검사 결과로부터 즉시 합격판정을 내려 검사가 간단하고 좋으나 불합격된 로트를 생산자에게 반납함으로써 생산자에게 심적부담을 주게된다.
또한 선별형 샘플링검사는 불합격된 로트를 전수 검사하여 양품을 받아들이므로 생산자입장에서는 부담이 적으나 소비자 입장에서는 과다한 검사설비나 검사원이 요구될 수 있다.
반면 조정형 샘플링 검사는 규준형과 선별형의 장점을 살려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우수한 제품의 생산자에는 부담을 줄이고 불량한 생산자에게는 압박을 가하여 품질을 개선토록 하며 동시에 검사량을 적게 하는 방식이다.
① 검사의 엄격도 조정
보통검사, 까다로운 검사, 수월한 검사로 검사 엄격도를 조정하면서 생산자에게 품질향상의 자극을 주며 동시에 검사량을 감소함.
② 장기적 측면에서의 품질보증
소비자가 요구하는 합격품질수준(AQL)을 정하여 AQL을 보증함.
③ 불합격 로트의 처리
불합격된 로트는 원칙적으로 생산자에 반납하고 소비자는 선별검사를 하지않음.
④ 로트 크기에 따른 시료크기 결정
⑤ 로트 크기에 따라 생산자 위험을 다르게 함.
⑥ 샘플링 형식 (1회, 2회, 3회......)
⑦ 검사수준 (일반검사 : 3 수준, 특별검사 : 4수준)
⑧ AQL과 시료크기는 101/5 = 1.585를 공비로 하는 등비 수열로 결정
(2) 검사절차
① 검사로트의 구성 및 크기 결정
② AQL을 설정
③ 검사 수준을 결정 (일반적으로 II를 사용)
④ 검사 엄격도 결정
⑤ 샘플링 형식 결정
⑥ 로트의 크기와 검사수준으로부터 시료문자를 찾음.
⑦ 시료문자, AQL, 샘플링형식, 검사엄격도로부터 합부 판정 개수를 찾음.
⑧ 시료 채취 및 검사
⑨ 불합격 수에 따라 로트의 합부판정을 내리고 로트를 처리함.
첫댓글 역시..난 여기가 넘 약해..ㅡㅜ 보구 가만 있으면 멍해지내요..
저두 약해요^^ 하지만 교수님께서 무척 중요하시다고 강조하셨으니, 자세히 알아야 겠죠^^ 그런 의미에서 간단히 요약합겁니다. 자세한건 우리 책에 나왔있으니 열심히 하세요~
그런데 프린트에는 계수 조정형 샘플링 검사가 없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