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음 보(步,歨,歩)자는 발 지(止)자 아래에 작을 소(小)자나 ‘龰’자나 적을 소(少)를 했습니다. 작을 소(小)자나 ‘龰’자나 적을 소(少)들은 발을 옮겨 놓는다는 표시를 한 글자들입니다. 걸음 보(步,歨,歩)자의 옛글자를 보면 발 지(止)자를 뒤집어서 다시 상하(上下)로 배열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일보(一步) 보폭(步幅) 도보(徒步) 보행(步行) 만보(漫步) 횡단보도(橫斷步道)
향기 복(馥)자는 의부(義符)로 향기 향(香)자에 성부(聲符)로 갈 복(复)자를 했습니다. 갈 복(㚆,复)자는 엎드린 사람을 표시한 ‘𠂉’자나 ‘亠’에 날 일(日)자를 하고 천천히 걸을 쇠(夊)자를 해서 갔다가 다시 돌아오는 것을 나타냈습니다. 갈 복(复)자는 넘어진 모양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복욱(馥郁) 향복(香馥) 극복(克馥) 복화(馥華) 복뢰(馥蕾) 복란(馥蘭) 복초(馥草)
점 복(卜)자는 나라에서 큰 점을 치려고 거북의 등껍질을 불에 구울 때에 등껍질이 갈라지는 금(線)을 그린 글자입니다. 복인(卜人) 복채(卜債) 복점(卜占) 복거(卜居) 복사(卜師) 구복(舊卜) 귀복(龜卜)
배 복(腹)자는 의부(義符)로 고기 육(肉,月)자에 성부(聲符)로 돌아올 복(㚆)자를 했습니다. 돌아올 복(复)자 엎드린 사람을 표시한 ‘𠂉’자에 날 일(日)자를 하고 천천히 걸을 쇠(夊)자를 해서 갔다가 다시 돌아오는 것을 나타냈습니다. 복통(腹痛) 복심(腹心) 복병(腹病) 복부(腹部) 할복(割腹) 고복(鼓腹) 구복(口腹)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