螳螂搏蟬 (당랑박선)- 장자(莊子) 이론
매미 뒤에 사마귀, 그 뒤에 까치, 그 뒤에 …
국가 위기도 맨 뒤에 핵폭탄을 가진 자가 있다. 이점을 직시하여야 할 것이다.
(螳사마귀 당, 螂사마귀랑, 搏잡을 박, 蟬매미 선)
사마귀가 매미를 잡으려고 엿보고 있지만, 그 사마귀는 뒤에서 까치가 노리고 있음을 모른다.
"눈앞의 이익을 탐하다가 눈이 어두워져 바로 뒤에 닥칠 화를 알지 못한다는 뜻"
어느 날 장자가 사냥을 즐기고 있는데 남쪽에서 큰 까치 한 마리가 날아오더니, 장자의 이마를 스쳐
근처 밤나무 숲에 앉았다. 이상하게 생긴 그 까치는 날개의 길이가 일곱 자, 눈 둘레는 한 치나 되었다.
까치를 한참 바라보던 장자 는 혼자 생각했다. 저 놈은 분명히 까치 같아 보이는데, 저렇게 넓은 날개를
가지고도 왜 높이 날지 못하고 겨우 밤나무 숲에나 앉고, 저렇게 큰 눈을 가지고도 어째서 사람의 이마를
스칠 정도로 잘 보지 못할까?
고개를 갸웃거리던 장자 는 옷깃을 걷어 올리고 재빨리 까치를 향해 화살을 겨누었다.
그런데 까치 주변을 살피던 장자의 눈에 실로 기이한 광경이 들어왔다.
자기가 겨누고 있는 까치는 풀잎의 사마귀를 노리고 있고, 사마귀는 또 나무 그늘에서 세상모르고 맴맴
울어 대는 매미를 노리고 있는 게 아닌가!
모두 자기가 노리는 사냥감에 정신을 빼앗겨, 자기 몸의 위험에는 전혀 신경을 쓰지 않고 있었던 것이다.
"이(利)를 추구하는 자는 해(害)를 불러들이는구나."
장자는 이렇게 중얼거리며 활과 화살을 팽개치고 도망치듯 그곳을 빠져 나왔다.
그러나 그때 뒤쫓아 온 밤나무 숲을 지키던 사람에게 붙잡힌 장자는 밤 도둑으로 몰려 심한 욕설을 들어야
했다.
까치를 겨누던 장자 도 자기 뒤에서 자기를 노린 밤나무 지기가 있었던 것이다.
그 일이 겪은 뒤 3개월 동안 장자 는 자기 방에 틀어박힌 채 뜰에도 나오지 않았다.
우리도 작은 일 때문에 큰 일을 그르치는 일이 없는지 우리의 주변을 잘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이렇게 자기 눈앞의 것만 쫓는 ‘당랑 박선(螳螂搏蟬 ) 보며…
우리 위기도, 맨 뒤에 핵폭탄을 가진 자가 노리고 있음을 온 국민이 함께 알아야 할 터인데 ᆢ
매일이 어지러운 이 시국에 다시금 새겨 보아야 할 ‘장자 이론’이 아닐까요?.
-<박 종 구 님이 주신 카톡에서>
<받은 글 옮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