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 이호동 이호테우해수욕장.
이호천에서 내려오는 민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지점.
원담.
이호테우해수욕장 모래 속에서 솟아나는 제주 용천수 문수물.
이호동 용천수 대물.
이호동 현사마을.
이호동 덕지답. 현사마을 동남쪽에 있는 논을 일컫는다. 일주도로 윗쪽에 있는 물을 끌어들여 논을 경작하였다는 뜻에서 "덕지논"이라고 하였다. 지금은 논을 경작하는 사람은 없고 미나리를 재배하고 윗 논은 매립하였다. 예전부터 이곳에서 미나리를 재배했었고 지금도 미니리밭으로 이용하고 있다.
덕지답(덕지논) 미나리밭.
이호동 현사포구.
이호동 용천수 동물.
이호동 용천수 원장물. 원장천 안에 있고 여전히 물이 솟아나고 있다.
이호동 신당 남당.
이호동 현사마을 포제단.
현사마을 복지회관.
이호동 용천수 덕지물. 덕지. 덕지수. 덕지천. 덕지샘.
수운교 이호지부.
이호동 용천수 맹강물.
이호동 골왓마을에서 본 한라산.
이호동 골왓마을 방사탑.
이호동 오도롱마을 말보기소낭. 수령 150년 소나무. 예전에 제주목사가 대정현 행차를 할때 그 모습을 보고자 이 나무에 올라가서 조망했다고 하여 "망보기 소낭"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이호동 오도마을 복지회관.
오도롱마을에서 본 한라산.
잣벡길. 돌담과 길 기능을 함께하는 것이다.
오도롱마을 잣벡길에서 본 한라산.
외눈배기 바위. 이호천 안에 있으나 예전에는 바위가 세워져있었으나 집중호우로 인해 누워있는 상태가 되었다. 지나가는 사람들이 돌을 던져 이 외눈에 명중하면 재수가 좋다고 한다.
이호국민학교 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