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운동회>/구연식
1950~60년대 초등학교 운동회 날은 그 고을의 잔칫날이다.
6·25전쟁 후 사회가 불안하여 안정이 안 된 상태이기 때문에 경기 놀이문화는커녕 모두 다 하루 세 끼 해결이 농촌에서는 가장 급선무이었던 시절이다.
그래서 도시 시골 모두 다 초등학교 운동회 날은 즐거운 날이요, 그날만은 동네 어른들은 일손을 놓고 거동할 수 있는 자는 시골 학교 운동회 구경을 1년 중 기다려지는 행사이다.
집안에는 식구들 간에 역할 분담을 하기도 한다. 한 사람은 아침 일찍 학교에 가서 온 종일 햇빛이 비치지 않고 나무 그늘에서 구경할 수 있는 곳이나, 운동회 구경 시야가 가장 좋은 곳을 차지하여 가마니때기를 미리 깔아 놓고 식구들을 기다리는 역할이 가정마다 정해져 있었다.
학교 운동장 하늘에는 처음 본 만국기가 펄럭이었고, 교육 재정이 어려운 시절이라 운동장에는 하얀 석회 가루를 뿌릴 형편이 안 되어 새끼줄로 줄을 띄고 그 자리를 호미나 막대기로 학생들을 동원하여 소위 트랙을 그리고 팠다.
처음으로 보고 들어보는 마이크와 연결된 스피커 소리가 너무나 신비스러워서 어린 눈으로 아무리 살펴봐도 신기함은 풀리지 않았다. 나는 운동장에서 좀처럼 경기에 집중할 수 없어서, 마이크와 스피커가 있는 교장 선생님이 계신 곳까지 옆걸음을 치면서 겨우 도착하여 살금살금 기어서 마이크가 있는 책상 아래까지 도착하는 데 성공했다. 초등학생의 작은 키에 앉아 있으니 단상에 계신 어른 선생님들 눈에는 보일 턱이 없다. 그런데 눈에 띄는 검은 상자 주위에서 우리 집에서는 맡아 보지 못했던 냄새가 나고 그 검은 상자는 땀을 뻘뻘 흘려서인지 걸쭉한 액체가 흥건히 상자 아랫부분에 고여 있었다.
나는 우선 냄새가 하도 신기해서 코를 최대한 바짝 대고 맡아보니 역시 의문이 풀리지 아니하여 너무 가까이 밀착시킨 탓에 턱 끝에 그 액체가 묻어 쓰라려서 견딜 수가 없었다. 하는 수 없어 의문을 뒤로하고 턱의 이물질을 사정없이 비비면서 우리 학급 응원석으로 돌아왔다.
지금 생각하니 검은 상자는 밧데리였고 걸쭉한 액체는 밧데리 액으로 살갗에 닿으면 상처를 입히는 유독성 화합 물질인 묽은 황산이었다.
학생들의 유니폼은 남녀 똑같이 검정 팬티(반바지)에 하얀 러닝셔츠였고, 그 검정 팬티 양옆에는 하얀 줄 헝겊을 되박아 조금은 산뜻하고 역동적인 느낌을 주는 운동복이었다. 각 팀의 구분은 홍군과 백군 또는 홍군과 청군으로 구분하여 팀의 표시는 하찌마끼(머리띠)로 표시하여 남녀 다 같이 머리에 띠를 두르는 것이 유일한 팀 표시였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홍군은 살며시 사라지고 청·백으로 바뀌었다. 지금 생각해보면 홍색은 공산주의를 상징하는 대표적 색깔이어서 청·백으로 교체되었다고 생각이 든다.
하찌마끼는 처음에는 안팎이 단일 색으로 만들어서 팀이 바뀌면 또 다른 색의 머리띠를 구입해야 했는데 그 후 조금 발달하여, 한쪽은 청색 다른 쪽은 백색으로 만들어 본인이 청팀에서 다른 백팀으로 바뀌었어도 바로 뒤집어 두르면 됐기에 조금은 편리했다. 전교생 단체경기를 할 때 어떤 친구는 경기 도중에 살짝 팀 머리띠를 바꾸고 아군으로 위장하여 적을 공격하는 얌체 친구도 있었다.
경기 종목은 그 학급만의 독특한 청백 게임과 학급 친구끼리의 100m 경주와 학년에서 반대표 경주가 있었고, 상급 학년(4.5.6학년) 중심의 매스게임으로는 오재미로 큰 종이 공 터치는 게임, 남학생 중심의 탑 쌓기. 기마전. 줄다리기. 공굴리기 등이 있었다.
학부모 여자 경기로는 주로 배턴터치 게임이다. 출발 대기선에서 준비하시는 선생님은 어머니들에게 자기편 앞뒤 사람 얼굴을 잘 익혀 두었다가 꼭 그 사람에게 배턴을 주고받아야 된다고 몇 번이고 강조한다. 스타트를 알리는 화약총 소리가 ‘딱’하자 처음 들어본 총소리에 놀라 제자리에서 주춤하는 사람, 옆 사람 눈치는 보는 사람 등으로 운동장은 왁자지껄 해지기 시작한다. 그보다 더 웃기는 것은 달리면서 배턴 떨어뜨리기, 다른 팀에게 배턴 주기는 기본이고, 각자 뛰는 모습이 평소 걷는 모습과는 전혀 다른 목도리도마뱀 모양 팔자걸음을 하며 상체는 뒤로 젖히고 뛰기, 씨암탉 모습으로 무거운 엉덩이 주체를 못하여 아장아장 뛰는 모습, 캥거루처럼 무거운 배를 손으로 받쳐 들고 연신 입을 벌려 헉헉거리면서 뛰는 모습들에 맞춰 운동장은 한바탕 웃음소리가 소나기처럼 몰려왔다 그치기를 반복한다.
게임은 친목을 도모하는 경기이므로 승패와 관계없이 모두 다 참가 상품을 나누어 주었다. 상품으로는 농촌 가정에서 긴요하게 쓸 수 있는 통 성냥이나 빨래비누를 주어 경기 후 시상석에서 상품을 받고 운동장을 가로질러 들어오는 아낙네들 입가에는 함박웃음 주체를 못 하여 아직은 쨍쨍한 가을 햇빛에 하얀 이가 빛나고 있었다.
남자 학부모 경기로는 마라톤이었다. 경기코스는 지역 학부형들이 잘 알고 있는 적당 코스로 정한다. 내가 다녔던 금마국민학교의 경우는 얼마 전 백제 역사 유적지구 세계유산에 등재된 국보 289호 익산시 왕궁면 왕궁리 5층 석탑이 지정 코스였다. 우승자에게는 농촌에서 가장 유일한 농기구인 삽을 대상(大賞)으로 하고 그 외 참가자에게도 그 당시로는 푸짐한 상품을 줬다.
참가자 남자들의 복장은 대부분 시골에서 농사짓는 농부들이어서 격에 맞는 운동복이 아닌 한복을 입고 고무신을 신고, 삽 한 자루 탈 욕심으로 참가하니 그 모습은 요즈음으로 상상하면 사극에 나오는 엑스트라의 무리로 그려진다. 결승선에 들어오는 사람 중에는 한 손으로는 고무신짝을 다른 손으로는 자꾸 아래로 처지는 한복 바짓가랑이를 움켜잡고 뛰어 들어오던 모습이 지금도 생생하다.
첫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