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춘절(立春節)
절기상 봄으로
접어든다는 의미의
입춘을 맞아
조상들이
대문에 붙였던
"입춘대길"
"건양다경" 에
대한 문의가 화제다
입춘(立春)은
24계절기 중 첫째로
새로운 해의 시작을 의미한다
입춘(立春)은
대한과 우수 사이에 있는
첫번째 절기로
해가 황도 315°에 위치할 때이고.
立春의 인사말과
健陽多慶 의 뜻은
봄이왔네 봄이와~🎶
봄처녀 가슴에도~^^
아~봄이 되였으니~♡
저도 봄처녀~♡ㅋㅋ
봄을 알리는
입춘이 코앞이라
봄이 시작되니 길하고
경사스런 일이 많기를 빈다는 뜻이다.
입춘대길 의 뜻
입춘대길 은
입춘이 되어 크게 길하다는 뜻으로
입춘날에 건양다경
(따스한 기운이도니 경사가 많으리라)
대문이나 대들보 마루기둥에
입춘첩을 써붙인다
입춘시에 붙이고 나면 경사스런 일이 생긴다는 것이다
옛부터
입춘 절기가 되면
농가 에서는 농사 준비를 한다.
아낙네 들은
집안 곳곳에 싸인
먼지를 털어내고
남정네 들은
겨우내 넣어둔
농기구를 꺼내 손질하여
한해 농사에 대비한다.
일년농사 시절이
이제부터 이기 때문이다.
또 이날 내리는 비는
만물을 소생 시킨다하여 반겼고
입춘때 받아둔 물을
부부가 마시고 동침하면
아들을 낳는다 하여
소중히 여겼다
그러나
입춘 한파니
입춘추위 김장독 깬다
간혹 매서운 추위가 몰려와
봄을 시샘하는 추위를
"꽃샘추위"라 했다
입춘날
농가 에서는
대문이나 집안 기둥에
입춘대길
입춘이 되니 크게 길할것이요.
건양다경
따스한 기운이도니
경사가 많으리라.
같은줄을 써붙인다
여기에는
한해의 무사태평과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는
뜻이 담겨있다.
立春大吉 과
健陽多慶 을
쓰게된 유래는
고종황제 즉위이후
건양이 연호로 사용된 후부터
써붙였던 것이
지금까지 이루게 된것이다.
옮겨온 글입니다
입춘(立春)날
부적을 사용하여
가정의 평안함과 만사형통 하기를 바란다는 뜻으로
방문입구에 붙이고
사용하기도 하였다
입춘(立春)날
장을 담그면 장 맛이좋고
변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입춘(立春)날
가정의 평안함과
풍년을 기원하는
굿도 하였다고 합니다.
수집자료 입니다 감사합니다
첫댓글 봄을 시작하는
입춘이 왔습니다.
추위에 움크렸던 겨울이 지나고 봄을 맞이하여 가슴을 활짝펴 활기를 찾아
다가오는 일년 동안 대길(大吉) 다경(多慶) 하시고
萬壽無康
所願成就
이루소서~♡
일년내내 건강하고 즐겁게 살아갑시다
입춘날 아침에
한겨을 수고많이 하셨읍니다 이제기지게을 펴시고 봄을기다리는 입춘이왔습니다 이미지사진 좋은글 감사합니다 항상건행하십시요
감사합니다
甲辰年 한해동안
대길(大吉)
다경(多慶) 하시기를 기원합니다
가정에는 평안과 화목한 웃음꽃이 활짝 피우는 행복한 날만 있으시기를 기원합니다
家和萬事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