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교의 무위자연 사상을 통해 본 삶의 의미
: 영화 「왕의 남자」의 주요 장면들을 중심으로
제주대학교 독일학과 2020101089 조영현
영화 「왕의 남자」는 한국 영화 역사상 가장 흥행한 영화 중 하나이다. 이 영화는 뛰어난 영상미와 음악, 그리고 배우들의 열연으로 많은 사랑을 받았다. 또한, 영화는 동양의 전통문화와 현대적 감성이 조화를 이루는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왕의 남자」는 다양한 주제와 메시지를 담고 있는 작품이다. 이 영화는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 사랑과 자유, 삶의 의미 등에 관한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다. 또한, 영화는 동양의 전통문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작품으로, 한국 영화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왕의 남자」는 2005년 개봉한 한국의 로맨스 영화이다. 이 영화는 조선시대 연산군을 배경으로, 여장남자 광대 공길과 폭군 연산군의 사랑을 그린 작품이다. 「왕의 남자」는 도교의 무위자연 사상을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고 있다. 도교의 무위자연은 인간이 자연의 순리를 따르고, 의도나 조작을 배제하여 자연스러운 삶을 살아야 한다는 사상이다. 자연의 흐름에 따라 살아가는 삶의 태도를 의미한다. 이는 유가의 적극적인 개입과 통제에 반대하는 것으로, 인간이 자연 일부임을 인식하고,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삶을 추구한다. 인간의 욕망과 집착을 버리고 자연으로 돌아가는 것을 통해 진정한 자유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무위자연 사상은 도교의 창시자인 노자의 사상에서 비롯되었다. 노자는 「도덕경」에서 "도(道)는 행하지 않아도 되고, 말하지 않아도 알게 되고, 쌓아도 부풀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무위자연 사상의 핵심은 ‘도(道)’이다. 도는 만물의 근원이며, 모든 사물과 현상의 본질을 이루는 것으로 이해된다. 도는 인간의 의식이나 이성으로 이해할 수 없는 초월적인 존재이지만, 자연의 순리와 일치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자연은 스스로 존재하고 작동하며, 인간이 굳이 개입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무위자연 사상은 인간이 도에 가까워지기 위해서 ‘무위(無爲)’의 경지에 도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무위는 의도나 조작을 배제하고, 자연스럽게 사는 것이다. 인간이 욕망과 집착을 버리고, 자연의 순리에 순응할 때 비로소 도에 가까워질 수 있다고 여겨진다. 무위자연 사상은 도교의 윤리와 삶의 방식에 큰 영향을 미치며 다양한 분야에까지 확산하였다. 정치에서는 무위 정치, 예술에서는 무위의 미학, 종교에서는 무위의 수행 등이 무위자연 사상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도교의 무위자연 사상을 「왕의 남자」의 주인공 공길의 삶의 태도에서 찾아볼 수 있다. 공길은 양반의 아들이지만, 여장남자라는 이유로 차별과 멸시를 받는다. 그는 이러한 역경을 이겨내고 자신의 진정한 모습을 찾지만, 연산군과의 사랑을 통해 진정한 자유를 얻게 된다. 공길은 연산군과의 사랑을 통해 세상의 모든 것을 꿰뚫어 보고, 이제는 세상의 모든 욕망과 집착을 버리고 자연으로 돌아가고자 한다. 이는 무위자연 사상의 관점에서 보면, 공길은 세상의 모든 것을 깨닫고, 자연으로 돌아갈 때 진정한 자유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된 것이다.
또한, 연산군의 삶의 태도에서도 도교의 무위자연 사상을 볼 수 있다. 연산군은 권력에 집착하고 폭정을 일삼는 인물이다. 그는 자신의 욕망을 채우기 위해 수많은 사람을 희생시킨다. 그러나 공길과의 사랑을 통해 연산군은 자신의 욕망과 집착을 깨닫고, 진정한 자유를 얻게 된다. 이는 무위자연 사상의 관점에서 보면, 연산군은 공길과의 사랑을 통해 세상의 진리를 깨닫고, 자연으로 돌아갈 때 진정한 자유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된 것이다.
마지막으로 영화의 결말에서 공길은 연산군의 죽음 이후, 세상의 모든 것을 내려놓고 자연으로 돌아간다. 이는 공길과 연산군이 진정한 자유를 얻기 위해 자연으로 돌아가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무위자연 사상의 관점에서 보면, 공길과 연산군은 세상의 모든 것을 깨닫고, 자연으로 돌아갈 때 진정한 자유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처럼 영화 「왕의 남자」에 도교의 무위자연 사상이 다양한 방식으로 반영되어 있다. 무위자연 사상은 영화의 주제인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삶“과 그 메시지를 더욱 풍부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무위자연 사상은 자연의 흐름에 따라 살아가는 삶의 태도이다. 이는 인간의 욕망과 집착을 버리고 자연으로 돌아가는 것을 통해 진정한 자유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왕의 남자」는 이러한 무위자연 사상을 통해, 인간의 삶이 진정한 자유를 얻기 위해서는 세상의 모든 것을 내려놓고 자연으로 돌아가는 것이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이들 통해 우리는 자연의 흐름에 따라 살아가는 삶의 태도와 인간의 욕망과 집착을 버리는 것, 진정한 자유를 얻는 방법 등을 고찰할 수 있다. 이를 말미암아, 복잡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 사회에서 우리가 진정한 자유와 행복을 찾을 수 있는 길을 찾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중간고사제출과제에 대한 한글파일(.hwp), PDF파일(.pdf), 유사도(표절) 검사 결과 첨부했습니다.
첫댓글 "「왕의 남자」는 도교의 무위자연 사상을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고 있다."라고 하는 것보다는 "「왕의 남자」에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된 도교의 무위자연 사상을 읽어낼 수 있다."로 쓰는 게 더 정확하겠어요. "인간이 자연 일부임을 인식하고,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삶"은 보기에 따라서 은둔자, 곧 죽림칠현의 처세술로 오해될 수도 있습니다. 작품에서는 모든 게 덧없다는 깨달음으로 귀결되기는 하지만, 도가의 무위는 아무 것에도 집작하지 않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답니다. 오히려 자신의 본성에 따라서 해야 할 것을 꺾이지 않고 해낸다는 점에서 유가보다도 훨씬 현실참여적으로 볼 수 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