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집 형광등이 켜젔을 때, 당연히 220V 의 전압이 형광등에 걸림니다.
형광등의 스위치가 오프되었을 때, 당연히 전압이 걸리지 않지요, 스위치가 끊어져 있으니깐요,
그런데 끊어진 스위치에 전압테스터기로 전압을 측정했더니, 220V 가 측정이 되더군요,
그런데 이상한게, 스위치는 형광등에 직렬로 배치되는데, 테스터기로 전압이 측정될 때,
폐회로가 성립이 되어서 형광등도 동시에 전압이 나와야 되는건데, 스위치에서만 전압이 측정된다는게
이해가 안됨니다.
혹시 여기에 대해 설명이 가능하신분이 있다면 조언 부탁 드림니다.
첫댓글 스위치 꺼도 한선은 살았있어요.완전 차단된거 아니죠. r상 s상 t상 중에 n상이랑 2가닥 나가면 220v나오지는거는 아시죠? 여기서 전등에 들어가는 전원선이 n상이 들어가게되면 스워치 꺼도 전압이 나오지 않지만 반대로 rst상중에 하나가 전등 전원선에 들어가게 되면 스위치 꺼도 전원이 들어갑니다.
스위치를 껐을 때 형광등의 한쪽 전선이 차단되었으니 전압이 뜨지 않는 것은 당연 하구요~~~~
스위치를 껐을 때 스위치에서는 형광등이 저항역할을 하니 전압이 뜨는 것이 당연 합니다.
그림으로 설명하면 쉬운데 글로 표현 하려니 한계가 있네요~~~~
회로를 그려서 생각하시면 쉽게 이해가 될것 입니다.
스위치를 끄고 전압을 재셨다니 전기에 대한 관심이 대단하시네요~~~~~
일반적으로 스위치만 끄면 전기가 전혀 오지 않는 것으로 착각하는 것이 일반적 입니다.
전압계는 내부저항이 무한대를 이상적으로 봅니다. 그래야 연결했을때 회로에 영향을 거의 주지 않습니다.
실제로는 무한대까지는 아니지만 매우큰 저항값이기때문에 스위치의 전압을 측정하더라도 테스터기로 흐르는 전류가 매우 적어서 형광등에는 전압이 걸리않는걸로 생각되네요.
물론 이상적인 무한대의 내부저항이라면 전류가 전혀 흐리지 않으니 형광등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고 전압은 0 이 되겠죠.
쉽게 생각하세요.
등에는 -상이구요.
스위치에는 +상으로 결선합니다.
질문에 답해주신 모든 분께 감사드림니다.
그런데 특히 아카르웬씨! 뭐하시는 분인지 모르겠지만 저가 원하는 답이 아닌가 싶은데,
저가 아직 전기 이론이 너무 부족해서 정립이 안되어 안타깝습니다.
전압계는 내부저항이 무한대일때 이상적이다.
그런데 어떻게 내부저항이 무한대일수 있죠?
보통 내부저항은 미소값이 아닌가요,,,
정말 이론이 안되니깐 어렵습니다.
전류계의 내부저항은 0
전압계의 내부저항은 무한대
가 이상적이죠.
이는 측정할때의 그 오차와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 라고 볼 수 있어요.
스위치에 걸리는 전압을 측정하는데 전압계로 전류가 많이 흐르면 원래는 없는 길이 생긴거죠.
그러니 전압계로 흐르는 전류를 작게해서 회로에 영향을 주지않게 하기위해 내부저항은 커져야하는거죠.
아카르웬씨 하나만 물어볼게요!
님의 설명은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내부저랑이라고 하는건 의도에 의해 설정한 저항이 아니고
그냥 전자 소자에 흐르는 전류로 인해서 의도하지 않게 그자체적으로 생성되는 저항 아님니까?
그런 내부저항을 무한대로 때로는 0으로 의도대로 설정 가능한 저항임니까?
그리구 njoy락씨 시간내서 이렇게 설명을 적어줘서 감사합니다.
그런데 님의 설명이라면 오프되어있는 스위치가 중성선에 배치 되어있다면
전압이 나오지 않을거라는 말씀같은데? 그건 님이 조금 실수 하는것 아닌가 싶습니다.
내 생각하기엔 개방이 된선 어디서든 전압계를 되면 전압이 나옵니다.
물질의 고유저항에의한 내부저항은 변경이 불가능하겠지만
전압계, 전류계 같은 기기는 회로를 구성하여 제작됩니다. 이런경우 기기의 내부저항은 회로전체의 저항이니 소자의 종류, 조합및 회로설계에 따라 내부저항값이 달라질수 있는거죠.
원래 스위치쪽으로 220v가 걸려야 정상입니다
안전과 연관 되어 있습니다
그럼 2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