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상반기 중국 식품 수입 특징 및 통관, 라벨링 규정 이해하기
- 상반기 주요 수입국 및 수입식품 목록에는 어떠한 것이 있나 -
- 수입식품 통관 프로세스 및 라벨 규정 정확한 이해 및 준수 필수 -
□ 2015년 상반기에도 식품 수입량 꾸준히 증가
○ 2015년 상반기 전국출입국검역기구(全國出入境檢机构)에서 검사한 수입식품은 총 55만2000로트, 2035만2000톤, 222억3000만 달러로 상품 종류와 수입량은 전년 대비 각각 11.9%, 21.2% 증가했으며 수입액에서만 10.8%의 감소율을 보임.
- 2005년부터 2014년까지 10년 동안 중국의 수입 식품교역액은 4.3배 증가했으며, 연평균 17.6%의 성장률을 기록함.
2005~2015년 상반기 중국 수입식품 교역액 변화

자료원: 中國質檢總局
□ 주요 수입 원산지 및 제품
○ 2015년 상반기 중국은 총 179개 국가 혹은 지역에서 식품을 수입함.
- 이중 수입식품 무역액 상위 10개 국가 혹은 지역은 유럽, 동남아, 미국, 뉴질랜드, 브라질, 호주, 러시아, 캐나다, 우크라이나와 한국 순임.
- 위의 국가 혹은 지역의 총 수입액은 177억 달러로 중국 식품 수입총액의 79.6%를 차지함.
- 한국은 수입 상위 10개국에 10번째로 포함돼 있으나 전체 수입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6%에 불과
2015년 상반기 중국 수입식품 원산지 상위 10개국 
자료원: 中國質檢總局
○ 수입식품 중 수입액 기준 상위 10종류는 유지, 유료, 유제품, 수산품, 주류, 설탕, 음료, 기타 가공식품과 견과류 순
- 위의 식품의 총 수입액은 208억7000만 달러로 수입식품 총액의 93.9%를 차지함.
- 세부 식품별 수입량을 살펴보면 식물성 기름(339만6000톤), 분유(98만7000톤), 육류(132만5000톤), 수산(200만6000톤)임.
2015년 상반기 중국 주요 수입식품 종류

자료원: 中國質檢總局
□ 수입항구, 여전히 연해지역에 집중
○ 최근 들어 중국의 수입식품 항구가 계속 확대되는 추세이지만 주요 항구는 여전히 연해지역에 집중돼 있음.
- 2015년 상반기 중국은 287개의 수입식품 항구를 보유하고 있음. 수입액 상위 10대 항구는 상하이, 톈진, 칭다오, 선전, 다리엔, 광저우, 샤먼, 옌타이, 난통, 베이징 순임.
- 위의 항구의 총 수입액은 160억3000만 달러로 수입 총액의 72.1%를 차지함.
2015년 상반기 중국 수입식품 항구별 수입액 추이

자료원: 中國質檢總局
□ 식품첨가제의 기준 미달이 가장 큰 문제
○ 2015년 상반기 대부분의 수입식품에서 중국 식품 안전표준과 법률에 부합하지 않는 제품이 검출됨.
- 중국 기준에 미달한 수입식품이 가장 많은 상위 10종류는 음료, 케이크·비스킷, 곡식 및 곡식제품, 설탕, 수산품 및 수산제품, 주류, 유제품, 향신료와 견과류 순이며, 기준 미달제품의 총검출 수의 90.1%를 차지함.
2015년 상반기 중국 수입식품 불합격 검출 종류

자료원: 中國質檢總局
○ 지역별 출입국검역기구(出入境檢驗檢机构)가 57개 국가 혹은 지역의 수입식품에서 중국 식품 안전표준과 법률에 부합하지 않은 식품을 검출함.
- 기준 미달제품이 가장 많은 상위 10개 국가 혹은 지역은 유럽, 대만, 동남아, 미국, 일본, 한국(6위), 캐나다, 노르웨이, 뉴질랜드와 호주 순이며, 기준 미달 검출 총 횟수의 91.5%를 차지함.
2015년 상반기 중국 수입식품 불합격 검출지역 현황

자료원: 中國質檢總局
○ 수입식품 기준 미달의 사유는 총 19가지이며, 상위 10가지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음.
- 식품첨가제 불합격, 미생물오염, 품질 불합격, 라벨 불합격, 인증 불합격, 오염물질 표준 초과, 화물 인증 부적합, 포장 불합격, 비식용 첨가물 포함, 유전자 변이 성분 포함 등. 이는 기준 미달식품의 총 로트 수의 97.4%를 차지함.
- 안전·위생문제 중 식품첨가제 표준 초과, 미생물 오염, 오염물질 표준 초과가 기준 미달 식품의 총 로트 수의 48.0%를 차지함.
- 안전·위생 문제 이외의 경우 품질 불합격, 라벨 불합격, 인증 불합격이 기준 미달 식품의 총 로트 수의 43.6%를 차지함.
2015년 상반기 수입식품 기준 미달 사유 현황

자료원: 中國質檢總局
□ 수입식품 통관 프로세스 및 라벨 규정 알아두기
○ 중국의 식품 수입관세는 10~35%(관세: CIF × 세율)이며 수입 부가세는 17%
- 부가세: [(CIF+관세액)×17%]로 모든 세수는 위안으로 납부해야 함.
식품 수입 프로세스

○ 수입식품 라벨 심사(進口食品標簽備案)
① 1:1 비율의 원 라벨 제출
② 원 라벨을 중국어에 맞게 번역
③ 라벨 견본 제작
④ 모든 규격화된 식품에 각각의 라벨을 부착
⑤ 상술한 식품을 심사를 보내 합격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수정
⑥ 표본검사 합격 후 2주 내외로 라벨 심사 서류 발급
○ 식품은 인체 및 건강과 직결되기 때문에 수입식품은 종류에 상관없이 모두 표본검사를 거쳐야 함.
- 표본검사를 받는 종류가 적을 경우 2주 내로 결과가 나오며, 10종을 초과하면 검사 기간이 더 길어지는 것이 일반적임.
○ 중국 식품안전 관련 법률에 따르면 현재 중국 내에서 판매되는 식품 중 식품 첨가제는 반드시 중국의 강제성 표준《GB 2760-2014食品添加劑使用標准》에 부합해야 함.
- 이 표준은 2015년 5월 24일부로 실시됨.
○ 중국으로 수출 시 식품별로 각각 제출해야 하는 서류는 다음과 같음.
- ① 원산지 인증 ② 위생 인증 ③ 식검증(植检证) ④ 밀봉증명서 ⑤ 영양성분 검측 결과 보고서 ⑥ 자유 판매 허가증 혹은 권한
□ 식품 수입 시 위생증서(衛生证書) 발급 중단
○ 지금까지 심사를 거쳐 합격한 수입식품은 입국 항구에서 겸역기관의 발급 및 통관 허가를 받은 후에야 해당 식품을 유통 및 판매할 수 있었음. 그러나 2015년 8월 이후로는 입국화물겸역증명서(入境貨物檢驗檢疫证明)로 대체하게 됨.
○ 최근 중국 질검총국(中國質檢總局)에서 수입식품, 화장품의 검사·검역 증명의 발급 작업을 더욱 규범화한다는 내용의 제91호 공고를 발표함.
- 검사·검역에 합격하거나, 검사·검역에는 불합격했으나 이미 기타 서류에서 유효 합격 처리를 받은 수입식품과 화장품에 대해 더 이상 위생증서를 발급하지 않고 입국화물겸역증명서(CIQ 증명)를 발급한다고 언급함.
- 이 공고와 관련해 KOTRA 상하이 무역관은 상하이 와이까오차오수출입검역국에 자문한 결과, 와이까오차오 등 자유무역구에서는 이미 선도적으로 1년 넘게 실행해오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檢驗檢疫证明 견본

자료원: 百度
□ 전망
○ 간식류 식품의 수요가 가장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관련 기준 준수의 중요성도 나날이 부각되고 있음.
○ 중국 사탕·과자박람회 조직위원회가 최근 발표한 조사 데이터에 따르면, 최근 들어 간식류로 대표되는 중국의 수입 레저식품 수요의 성장률이 15~20%에 달하며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이는 것으로 드러남.
○ 중국으로 주로 수입되는 간식류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주요 제품으로는 초콜릿, 사탕, 과자, 과일주스, 젤리, 커피, 말린 과일 등의 대분류 밑에 수만 종의 제품이 있음. 그 중 당제품이 총 수입량의 70% 정도를 차지함.
○ 중국질검총국의 발표에 따르면 케이크, 과자, 사탕 등의 식품이 검사·검역 불합격 횟수 상위 5위 안에 들어가며 가장 빈번히 수입이 금지된 품목으로 분류됨.
- 주요 사유는 식품첨가제 불합격인 것으로 밝혀짐.
○ 2020년까지 중국의 수입식품 시장규모가 4800억 달러에 이를 전망으로 우리 기업에 중국 식품시장 진출은 놓칠 수 없는 기회가 됨.
- 시장 진출 시 난관을 줄이기 위한 첫걸음으로 점차 까다로워지는 위생허가 검사 및 통관규정, 심사 등 관련 규정 준수를 위한 정확한 인식 및 대비임
자료원: 중국질검총국, 전국출입국검역국, 상하이 와이까오차오 보세구 및 KOTRA 상하이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