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죽도 깃대봉
산행지도
여수시 손죽도(巽竹島)
성격 | 섬 |
유형 | 지명 |
면적 | 면적 2.92㎢, 해안선 길이 11.6㎞ |
소재지 | 전라남도 여수시 삼산면 손죽리 |
분야 | 지리/자연지리 |
요약: 전라남도 여수시 삼산면 손죽리에 있는 섬.
개설
동경 127°21′, 북위 34°16′에 위치하며, 여수에서 남서쪽으로 58㎞ 지점에 있다. 면적은 2.92㎢이고, 해안선 길이는 11.6㎞이다. 손죽도를 비롯하여 주변의 여러 섬이 손죽열도를 형성한다.
명칭 유래
임진왜란 때 이 섬 앞바다에서 이대원(李大源)이 왜구들과 싸우다 순국하여 이곳 주민들은 장군을 잃었다는 뜻으로 이 섬을 손대도(損大島)라 부르다가 손죽도로 개칭되었다고 한다. 그 뒤 이곳 주민들은 장군을 모신 사당을 짓고 매년 3월 3일에 제를 지내고 있다. 그러나 임진왜란 이전부터 손죽도라는 지명은 존재하였으며, 섬에 시누대가 많아 시누대섬이라 부르던 것을 한자로 표기한 것이라는 설도 있다.
자연환경
지질은 대부분 마산암류로 이루어져 있다. 중앙에 위치한 깃대봉(242m)을 비롯하여 경사가 비교적 완만한 구릉지가 분포하나 서쪽 해안 일대는 급경사를 이루고 있다. 해안은 암석해안이 많으나 섬 북쪽에 형성된 만(灣) 일대에는 사빈해안(沙濱海岸)이 발달해 있다. 해안은 북쪽에 크게 만입된 부분이 있을 뿐 드나듦이 비교적 단조롭다. 1월 평균기온은 2.1℃, 8월 평균기온은 24.7℃, 연강수량은 1,247㎜이다.
형성 및 변천
원래 흥양현(興陽縣)에 속한 섬인데 1896년 지방제도개편 때 돌산군(突山郡)에 편입되어, 손죽도와 초도(草島)는 상도(上島)라 부르고 거문도(巨文島)는 하도(下島)라고 하여 집강(執綱)이 다스렸다. 1908년에 상·하도를 합하여 삼산면이라 칭하고 집강 대신 면장을 두었다. 1914년에 행정구역 개편으로 돌산군에서 여수군으로 이속되었다. 1949년에 여천군 삼산면이 되었고 1998년에 통합 여수시 삼산면 손죽리가 되었다.
현황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155명(남 74명, 여 81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84세대이다. 취락은 북쪽 해안의 만에 위치한 선착장을 중심으로 한 완경사지에 집중 분포한다.
토지이용 현황은 논 0.02㎢, 밭 0.58㎢, 임야 2.16㎢이다. 주민들은 어업보다 농업에 치중하며 주요 농산물로 고구마·마늘·감자·보리·양파·콩 등이 생산된다. 연근해의 수심은 10~30m로 문어·삼치·방어·도미 등이 잡히고, 자연산 톳의 채취와 미역·김 등의 양식이 활발하다. 교통은 여수에서 정기여객선이 운항된다. 교육기관으로는 초도초등학교 손죽분교장이 있다.
해금강 옮겨 놓은 것 같은 ‘손죽도 비렁길’
글·사진 김희순 광주샛별산악회 고문
월간 산 기사 입력일: 2020.10.16.
여수 손죽도 깃대봉 237m
이대원 장군의 혼이 깃든 섬…백패킹 명소도 많아
“청하오건데 정운 장군을 이대원 장군과 함께 사당에 모셔줄 것을 고합니다.”
1592년(선조25) 9월, 이순신 장군은 부산포해전에서 승리한 후 선조에게 장계를 올렸다. 이 전투에서 이순신 장군이 가장 아꼈던 녹도만호 ‘정운鄭運(1543~1592)’ 장군이 전사했다. 그를 위해 손수 제문을 지어 제사를 지냈고 왕에게 이대원李大源(1566~1587) 장군 사당에 위패 안치를 요청했다.
이순신 장군이 정운 장군만큼 아꼈던 이대원 장군은 경기도 평택 출신으로 조선 역사상 최연소인 18세에 무과에 급제했고, 21세가 되던 1587년에 녹도만호로 부임했다. 사후에 병조참판으로 제수된다.
이대원 장군은 녹도만호(종4품)로 근무하던 1587년(선조20년) 1월 말 녹동을 침범한 왜구들을 토벌하는 큰 전공을 세웠다. 그리고 그해 2월 1일 왜선 18척이 손죽도巽竹島에 출몰했다. 전라좌수사 심암沈岩은 깊은 밤인데도 출동 명령을 내린다. 이대원 장군은 지원병을 보낸다는 약조를 받고 100여 명의 인원을 데리고 출병한다.
하지만 전라좌수사가 지원병 약속을 지키지 않는 바람에 촉망받는 젊은 장수 이대원은 손죽도 해전에서 중과부적으로 전사했다.
사람들은 나라에서 큰 인물을 잃었다 하여 잃을 손損, 큰 대大자를 써 한때는 ‘손대도’라고 불렀다, 후에 이 이름은 손죽도로 바뀌었다. 소록도가 내려다 보이는 고흥 녹동 쌍충사雙忠祠에 가면 지금도 두 장군의 영정이 모셔져 있고 400년 넘게 ‘쌍충제전’을 통해 추모하고 있다.
탁 트인 바다와 기암절벽이 압권
손죽도는 여수시내에서 74km 거리지만 고흥 나로도항에서는 23.5km 거리에 위치한다. 찾아가기가 조금 불편하지만 한 번 다녀간 사람은 꼭 다시 오고 싶다고 말한다.
손죽도 비렁길은 여수 금오도 비렁길에 비해 결코 뒤떨어지지 않는다. 특히 마제봉(173.3m)에서 봉화산(162.3m)으로 이어지는 해안 절벽지대는 ‘해금강일부를 옮겨 놓은 것 같다’는 찬사를 받는다.
섬 북쪽에 있는 삼각산(142.1m)은 바다 한가운데 우뚝 솟은 쌍둥이 바위산으로서 백패킹 마니아가 꼽는 최고의 비박 장소다. 일몰과 일출을 모두 볼 수 있어 해맞이 여행 상품이 있을 정도다.
손죽도항에 내리면 이대원 장군 동상이 먼저 눈에 띈다. 등산로 입구는 방파제 옆에 있는 팔각모정 뒤 데크계단이다. 등산 개념도나 이정표는 따로 없다. 진입로부터 시누대가 터널을 이룰 정도로 울창하다.
손죽도는 2017년 전라남도의 ‘가고 싶은 섬’으로 지정되었다. 이것으로 40억 원의 지원금을 받아 섬 전체 등산로에 로프가 설치된 안전 기둥을 만들어 이 기둥만 따라가면 등로에서 벗어날 염려는 없다.
시누대숲을 빠져 나오면 완만하게 오르막길이 이어진다. 농작물을 기를 수 있는 넓은 농토가 늪지대처럼 방치되고 있는 것이 의아해 주민에게 “왜 땅을 그냥 놀리느냐”고 물었더니 “일할 젊은 청년들이 없어서 그런다”고 한다. 저출산 시대, 앞으로는 얼마나 더 많은 땅이 그냥 방치될지 염려스럽다.
염소 방목장을 지난다. 탁 트인 바다풍경을 보며 걸으면 첫 번째 전망데크에 닿는다. 출발한 지 20여 분이 지난 지점이다. 아무것도 없는 바다에 점 하나 살짝 찍어 놓은 듯한 섬들의 모습에서 남도의 바다가 주는 평화가 온몸으로 느껴진다.
나무계단을 100여 m 더 오르면 바람이 잘 통하는 언덕에 이르고 이곳에 육각형 모정이 있다. 이곳에서 바라보면 크고 작은 섬 너머로 완도 평일도, 고흥 거금도 등이 아스라이 조망된다.
5분 정도 예덕나무와 사스레피나무, 소나무가 주종인 숲길을 걷는다. 마제봉은 등산로에서 10여 m 살짝 비켜 있는데다가 크게 볼거리가 없어 일부러 갈 필요는 없다.
벼랑을 옆에 두고 걷는 길
숲을 벗어나면 해안선을 옆에 두고 걷는다. 발아래는 수십 미터 수직 낭떠러지 절벽이다. 이처럼 벼랑을 낀 길을 ‘비렁길’이라 부른다. 비렁은 벼랑의 여수 사투리다. 여기서부터 ‘손죽도 비렁길’이 시작된다. 억새와 띠밭이 울창해 초원지대 같은 풍경이 펼쳐진다.
조망 좋은 곳엔 어김없이 전망데크가 있다. 두 번째 전망데크는 수십 명이 앉아 쉴 수 있을 만큼 넓고 경치도 매우 좋다. 좌우로 보이는 해안 절벽은 소거문도, 평도 등과 어우러져 마치 목판화 같은 절경을 뽐낸다.
바다 쪽으로 바짝 붙어 있는 데크계단을 10여 분 지나면 세 번째 전망데크와 만난다. 이곳에서 손죽마을 전체가 보인다. 섬 마을 민가의 울긋불긋한 지붕들은 매우 풍요로워 보인다. 손죽도는 해방 전후 안강망(중선배)어선으로 유명했던 어업전진기지였기에 부촌이었다.
봉화산 정상으로 다가갈수록 바닷가 경치가 물이 오른다. 기암괴석이 발달되어 있고 여기저기 포토존이 많다. 봉화산 정상은 GPS 기준으로 등산로에서 살짝 비켜 있어 그냥 지나치는 것이 좋다. 목넘어전망대는 등산로에서 30m 정도 비껴 있지만 아담한 너럭바위가 있는 쉼터다. 큰재는 헬기장처럼 커다란 분지를 이루고 있고 육각모정이 있다. 이곳은 바람의 통로여서 매우 시원하다.
육각모정에서 깃대봉 정상까지 왕복 25분 정도 잡으면 된다. 정상에는 해상교통관제센터VTS레이더 철탑시설이 있다. 잡목에 가려서 조망은 없고 길은 막혀 있다. 삼각산으로 연결되는 등산로를 조속히 개설했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
큰재 육각모정에서 오른쪽 길로 가면 손죽마을로 바로 내려간다. 왼쪽길은 삼각산 방향이다. 10분 정도 내려오면 시멘트 도로를 만난다. 왼쪽 방향으로 벚나무 가로수를 따라 5분 정도 내려가면 ‘손죽도 내연발전소’ 입구다. 손죽도항은 오른쪽, 삼각산은 왼쪽 시멘트길로 가야 한다.
구불구불한 도로를 10분 정도 가면 언덕에 바다를 바라보고 있는 이대원 장군 동상이 있다. 왜구들을 감시하고 있는 듯한 형상이다. 3분 더 가다가 갈림길에서 우측으로 꺾어 언덕을 올라가면 하얀색 단독주택이 있다. 집 입구 전봇대 사이에 등산로가 있다.
백패킹하기 좋은 전망대
삼각산은 두 개의 옹골찬 암봉이다. 가파른 경사면에는 안전한 데크 계단이 설치되어 있어 누구나 쉽게 정상에 오를 수 있다. 첫 번째, 두 번째 데크에서 바라보는 바다의 풍경은 ’세상 어디에도 부럽지 않은 경치‘라고 백패커들은 말한다. 주말에는 백패커들이 거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고 한다.
정상에 세 번째 데크가 있다. 이곳에선 연녹색 바다에 떠 있는 손죽도의 전경이 내려다보인다. 동쪽으로 장거리도, 소거문도, 평도, 광도 등 그동안 보이지 않던 열도들도 한눈에 보인다. 이웃한 봉우리로 가는 등산로가 아직 개설되지 않아서 왔던 길로 되돌아 내려가야 한다. 갯가길 해안데크는 등산로와는 무관하다.
걷기 길잡이
손죽도항~마제봉~봉화산전망대~큰재(육각 모정)~깃대봉 정상~큰재(육각 모정)~손죽도 내연발전소~포장도로~이대원 장군 동상~삼각산 입구(민가 입구)~전망데크1~전망데크2~정상(전망데크3)~원점회귀~삼각산 입구~손죽도 내연발전소~손죽마을~이대원 장군 사당(충렬사)~손죽도항<총 9.32km, 4시간 30분 소요>
교통
여수에서 출발하는 쾌속선은 나로도항을 경유한다. 나로도항에서 1일 2회(08:30, 11:50) 출항한다. 승선요금 편도 1만6,400원. 배시간과 출항여부를 사전에 확인해야 한다. 문의 오션해운호프(662-1144).
나로도항에서 손죽도항으로 들어갈 때는 30분 걸리지만 손죽도에서 되돌아 올 때는 거문도를 경유해서 오기 때문에 1시간 30분 이상 걸린다.
숙식
손대점빵(010-9747-8845)은 손죽도의 유일한 상점이다. 생필품과 식료품 등 웬만한 것은 갖추고 있다. 식당은 따로 없지만 민박집에서 식사도 할 수 있다. 음식에 대한 만족도는 대체로 좋은 편이다. 백반 1인분 1만 원, 숙박은 부두민박(665-2222), 손죽민박(010-9875-3626), 빨간집 민박(010-3194-6389) 등 5만 원 선.
손죽마을은 약초막걸리가 유명하다. 박근례(82) 할머니표 막걸리를 맛보기 위해 일부러 손죽도에 오는 마니아도 있단다. 약초향이 배인 걸쭉한 단맛이 일품이다. 2리터 1병에 6,000원, 1인당 2병씩만 판매한다. 문의 박근례 손죽막걸리(665-78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