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태규저는 죽은 ceo조롱한거 당연히 선 넘었다고 생각해요. 그게 아니라고 한 적도 없고요. 응급 구조 영상에 광고 제거 요청하는 것이 선 넘은 일인가 아닌가에 대한 것만 말씀드리고 있습니다.
유튜브가 응급구조 영상 보는 곳이 아니라고 하셨는데, 왜 아닐까요? 이미 많은 사람들이 보고 있을테고 본문의 일도 유튜브에서 응급구조 영상 찾아보다 생긴 일인데요. 유튜브의 탄생 목적이 구조법 영상 보라고 만든 것이 아닐지라도 실제로 구급법 찾아보는 사람들이 생길만큼 일상 생활에 영향력을 미치는 플랫폼이 되었으면 저 정도 요청은 할 수 있다고 봅니다. 첫 댓글에도 말했지만 그걸 들어주냐 안 들어주냐는 유튜브 마음이고요.
조롱하는 사람이나, 대답을 프리미엄 쓰라고 하는거나 어휴.. 대기업이면 거기에 걸맞게 행동해야죠. 광고를 그런 영상에다가도 다 붙이고싶음? 인지 못하고 그럴수는 있는데 답변을 저따위로 하는건 이해못하겠음. 설령 유투브가 그런 목적으로 사용하는것이 아니었다한들 누군가 그렇게 이용했으면 충분히 조정 가능하다고 보임.
첫댓글 와 진짜 심하네...
엥 ? 특정영상에만 광고를 달지말라는게 선 넘는 거 같은데;
구급법 같이 사람의 생명이 촉각에 달려 있을 수 있는 영상은 광고 없이 바로 재생되게 해달라는 요청은 정당해보입니다.
들어주냐 안 들어주냐는 기업하는 사람 맘이겠지만 선 넘은 요청으로는 안 보여요.
맞는 말씀이신데
구독하란식으로 조롱할것도 아니라고는 봅니다전 ㅎㅎ
@디턱스 유튜브가 그런 응급구조 영상을 의무적으로 올리는 플랫폼은 아니지 않나요?
공공의 의무를 하는 곳도 아니고.. 유튜브 입장에선 어떤 영상이던 그냥 영상에 불과하죠. 물론 선정적인 영상은 제외하고요.
@메리다 저는 조롱을 했다기 보단.. 위에 대댓에도 적었듯 그냥 유튭 입장에선 다 동일한 영상으로 판단하고 매뉴얼 적으로 답변 한 것으로 보여요. 유튜브가 뭐한다고 개인한테 조롱을 하겠습니까 ㅎㅎ
@봉태규 기업이 어느 정도 영향력이 있어지면 사회적 의무도 챙겨야 한다고 봐서요.
요금 안 내서 정지된 핸드폰이어도 112나 119 같은 응급전화는 발신이 가능한거처럼요.
그런 의미에서 저 요청 자체가 선을 넘은 요청은 아닌거 같다는 의견입니다.
@디턱스 사회적 의무를 챙기는 거 공감하지만 밑에 예시는 다른 얘기 같아요.
애초에 유튜브가 응급구조 영상을 보는 곳이 아니잖아요. 수억가지 영상들 중 하나일뿐이고, 특정 영상에만 광고 빼게 하면 다른 영상들에도 어떤 이유를 대면서 왜 안때냐 말 나오지 않을까요?
사람마다 생각이 다를 수 있어서 선넘는 게 아니라 생각하실 수 있는데 그렇다고 죽은ceo한테 조롱한다? 그냥 병신이죠.. 누가 유튜브로 응급 구조영상을 보면서 조치를 하라고 한 것도 아닌데요
@봉태규 저는 죽은 ceo조롱한거 당연히 선 넘었다고 생각해요. 그게 아니라고 한 적도 없고요.
응급 구조 영상에 광고 제거 요청하는 것이 선 넘은 일인가 아닌가에 대한 것만 말씀드리고 있습니다.
유튜브가 응급구조 영상 보는 곳이 아니라고 하셨는데, 왜 아닐까요?
이미 많은 사람들이 보고 있을테고 본문의 일도 유튜브에서 응급구조 영상 찾아보다 생긴 일인데요.
유튜브의 탄생 목적이 구조법 영상 보라고 만든 것이 아닐지라도
실제로 구급법 찾아보는 사람들이 생길만큼 일상 생활에 영향력을 미치는 플랫폼이 되었으면 저 정도 요청은 할 수 있다고 봅니다.
첫 댓글에도 말했지만 그걸 들어주냐 안 들어주냐는 유튜브 마음이고요.
ㄷ ㄷ ㄷ
수익창출은 동영상 게시자가 선택하는건데 뭘 그걸가지고 죽은 사람 조롱까지한데
저게 저 여자가 죽음을 조롱 받을 이유라고..?
유튜브 프리미언 구독하세요 ㅋㅋㅋㅋ 좀 둘러서 말하던가 참....
조롱하는 사람이나, 대답을 프리미엄 쓰라고 하는거나 어휴.. 대기업이면 거기에 걸맞게 행동해야죠. 광고를 그런 영상에다가도 다 붙이고싶음? 인지 못하고 그럴수는 있는데 답변을 저따위로 하는건 이해못하겠음.
설령 유투브가 그런 목적으로 사용하는것이 아니었다한들 누군가 그렇게 이용했으면 충분히 조정 가능하다고 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