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한미국상공회의소와 KoreaTimes가 주최한 AI Forum 2025에서 발표한 내용입니다.
전문가들은 "다음 산업 혁명은 물리적 인공지능의 완성에 달려 있다." 고 물리적 AI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물리적 인공지능은 궁극적으로 자율주행차를 위한 휴머노이드 및 수술용 인공지능의 개발로 이어질 것입니다.
유토피아가 될지 디스토피아가 될지는 기술보다 변화수용에 대한 거버넌스와 사회적 합의에 달려 있다고 말합니다.
Utopia or dystopia? Governance, social consensus to shape future led by physical AI
유토피아 또는 디스토피아? 물리적 AI가 주도하는 미래를 형성하기 위한 거버넌스, 사회적 합의
By Nam Hyun-woo 남현우 기자
Nam Hyun-woo has worked as a staff writer at The Korea Times since 2013, mostly covering business and politics. He currently belongs to the Business Desk where he covers topics such as emerging tech, AI, ICT and Korea's chaebol community. Prior to joining the team, he was the paper's correspondent for the presidential office of Korea during the Yoon Suk Yeol and Moon Jae-in administrations.
남현우는 2013년부터 코리아 타임즈에서 주로 비즈니스와 정치 분야를 담당하는 스태프 기자로 근무하고 있습니다. 현재 비즈니스 데스크에 소속되어 있으며 신흥 기술, AI, ICT, 한국 재벌 커뮤니티 등의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입사 전에는 윤석열과 문재인 정부 시절 청와대 특파원으로 근무했습니다.
Published Aug 26, 2025 4:08 pm KST
Korea Times
As artificial intelligence (AI) expands from cyberspace into physical reality, the world is bracing for another profound transformation in the form of “physical AI,” a term that refers to AI systems that have physical forms that can interact with the real world.
인공지능(AI)이 사이버 공간에서 물리적 현실로 확장됨에 따라, 세계는 현실 세계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물리적 형태를 가진 AI 시스템을 지칭하는 "물리적 AI" 형태의 또 다른 심오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During a fireside chat at the AI Forum 2025, co-hosted by The Korea Times and the American Chamber of Commerce in Korea (AMCHAM Korea), Tuesday, experts said they are certain that physical AI will transform industry, manufacturing, health care and every other sector of human life. At the same time, they stressed that whether the future turns into “a utopia or a dystopia” will depend not on the technology itself but on governance and social consensus on how to embrace the change.
화요일 코리아 타임즈와 주한미국상공회의소(AMCHAM 코리아)가 공동 주최한 AI 포럼 2025에서 전문가들은 물리적 AI가 산업, 제조업, 의료 및 인간 생활의 모든 다른 분야를 변화시킬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동시에 미래가 '유토피아'가 될지 디스토피아가 될지는 기술 자체가 아니라 변화를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지에 대한 거버넌스와 사회적 합의에 달려 있다고 강조했다.
“According to recent research, the digital AI market is projected to reach $1.8 trillion by 2030, but that of physical AI will amount to $50 trillion during the same period,” said professor Lim Jong-in of Korea University’s School of Cybersecurity.
고려대학교 사이버보안대학 임종인 교수는 "최근 연구에 따르면 디지털 AI 시장은 2030년까지 1조 8천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같은 기간 물리적 AI 시장은 50조 달러에 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The next industrial revolution hinges on the completion of physical AI.”
"다음 산업 혁명은 물리적 인공지능의 완성에 달려 있다."
Lim said the global race for physical AI has accelerated since Nvidia CEO Jensen Huang unveiled the company’s generative world foundation model, Cosmos, and AI training simulation platform, Omniverse, at CES 2025 in January. He added that the expanded use of synthetic data in AI training is further accelerating the development of physical AI.
임교수는 지난 1월 CES 2025에서 엔비디아의 젠슨 황 CEO가 자사의 세계적 기반 모델인 코스모스와 AI 훈련 시뮬레이션 플랫폼인 옴니버스를 공개한 이후 물리적 AI를 위한 글로벌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AI 훈련에서 합성 데이터의 사용이 확대되면서 물리적 AI 개발이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Less than a decade ago, training AI relied mostly on human-created data. With advances in generative AI and synthetic data, however, AI has begun to train on artificial information created by algorithms, and the progress in simulation technology has enabled it to learn even from situations where real-world data is scarce.
10년도 채 되지 않아 AI 학습은 대부분 인간이 만든 데이터에 의존했다. 하지만 생성 AI와 합성 데이터의 발전으로 AI는 알고리즘이 만든 인공 정보를 학습하기 시작했고, 시뮬레이션 기술의 발전으로 실제 데이터가 부족한 상황에서도 학습할 수 있게 되었다.
“We have several clients in the shipbuilding and heavy industries sector, and the chronic challenge for physical video AI is those related to worker safety management,” said Kim Hyun-soo, CEO of Superb AI, which provides data labeling solutions and a vision foundation model called Zero.
"우리는 조선 및 중공업 분야에서 여러 고객을 보유하고 있으며, 물리적 비디오 AI의 만성적인 도전 과제는 근로자 안전 관리와 관련된 것이다."라고 데이터 라벨링 솔루션과 비전 기반 모델인 Zero를 제공하는 Superb AI의 김현수 CEO가 말했다.
“Detecting safety issues such as a worker collapse or fire requires training data, but such incidents rarely occur in reality. As a result, the lack of data on such events has hampered the performance of AI models. So we are now developing technologies that leverage synthetic data, creating virtual scenarios and data of such situations using generative AI.”
"작업자 붕괴나 화재와 같은 안전 문제를 감지하려면 교육 데이터가 필요하지만 실제로는 이러한 사건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그 결과 이러한 사건에 대한 데이터가 부족하여 AI 모델의 성능이 저하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 합성 데이터를 활용하여 생성 AI를 사용하여 이러한 상황에 대한 가상 시나리오와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Kim noted that he used to be a skeptic of synthetic data due to the so-called simulation-to-real gap, but stressed that he is now “an ardent advocate” as the gap narrowed when AI models trained on simulated data are applied to actual worksites.
김 대표는 소위 시뮬레이션 대 실제 격차 때문에 합성 데이터에 회의적이었지만, 시뮬레이션 데이터로 훈련된 AI 모델이 실제 작업 현장에 적용될 때 격차가 좁혀지면서 이제는 "열렬한 옹호자"가 되었다고 강조했다.
Lim noted that the progress of physical AI in the manufacturing sector could serve as a model for Korea-U.S. cooperation, forecasting that combining U.S. fundamental technologies with Korea’s manufacturing capabilities would create “unmatched competitiveness.”
임 교수는 제조업 분야에서 물리적 인공지능의 발전이 한미 협력의 모델이 될 수 있다고 언급하며, 미국의 기본 기술과 한국의 제조 역량을 결합하면 "불일치의 경쟁력"을 창출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At the same time, the two speakers cautioned that the introduction of physical AI could still spark public fears, as well as a decline in jobs for humans.
동시에 두 연사는 물리적 AI의 도입이 여전히 대중의 두려움을 불러일으킬 수 있으며, 인간의 일자리가 감소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Even video AI causes backlash such as privacy concerns at worksites,” Kim said. “And resistance is expected to be even greater if AI-powered robots are deployed.”
김 대표는 "영상 AI도 직장 내 프라이버시 문제 등 반발을 불러일으킨다"며 "AI 기반 로봇이 투입되면 저항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Both Lim and Kim stressed that social acceptance and AI literacy education must go hand in hand with the progress of physical AI, and a proper governance system is required to capitalize on any opportunities the technology will bring.
임 교수와 김 대표는 사회적 수용과 인공지능 문해력 교육이 물리적 인공지능의 발전과 함께 이루어져야 하며, 기술이 가져올 모든 기회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거버넌스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Physical AI will ultimately lead to the development of humanoids and even surgical AI for autonomous vehicles,” Lim said. “In such cases, errors or hacking could cause serious human and corporate losses. That is why we need human-in-the-loop systems, stop mechanisms and international standards.”
임 교수는 "물리적 인공지능은 궁극적으로 자율주행차를 위한 휴머노이드, 심지어 수술용 인공지능의 개발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경우 오류나 해킹은 심각한 인적, 기업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휴먼 인 더 루프 시스템, 스톱 메커니즘 및 국제 표준이 필요하다."
Kim also said the governance for physical AI “should be stronger” than existing security measures, since robots can cause direct harm. “There must be standards to ensure traceability and clarify accountability in the event of a malfunction,” he said.
김 대표는 또한 로봇이 직접적인 피해를 입힐 수 있기 때문에 물리적 AI에 대한 거버넌스는 기존 보안 조치보다 "강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추적 가능성을 보장하고 오작동 시 책임을 명확히 하기 위한 기준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PhysicalAI물리적인공지능 #Governance거버넌스 #SyntheticData합성데이터 #SocialConsensus사회적합의 #Human-in-the-loop휴먼인더루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