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스포츠클라이밍 실내암벽 더탑 원문보기 글쓴이: sandokeb(정훈)
안전 벨트와 잠금 카라비너 사용시 주의! 영국등산 이사회의 기술위원회 위원장이다. 이글은 UIAA 소식지에서 번역한 것이다. 많은 등반자가 이 연결고리의 취약성을 걱정하고 의심하여 허리벨트와 다리벨트를 카라비너로 또다시 묶어주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그러나 허리벨트와 다리벨트가 벌어지는 작용을 하기에 여기에 잠금 카라비너를 걸을 경우라도 개폐구에 힘이 가해져 열리거나 파손될 우려가 많이 있습니다. 더군다나 카라비너와 8자하강기가 꽈배기처럼 틀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때에 위험이 발생 합니다. 하기글을 이러한 문제점을 제기하는 글이므로 모든이들은 숙지하여 절대로 이러한 실수를 범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방법이니 절대로 사용하지 마십시요. 당겨지는 줄의 강도가 약해질수 있으므로 허리와 다리벨트에 연결된 카라비너의 위치가 비뀔수 있습니다. 이때 8자하강기의 작은 구멍(카라비너와 연결된 부분)이 틀어지면서 카라비너의 개폐구를 열려고하는 작용이 발생됩니다. 이경우 카라비너가 비록 잠금카라비너일경우에도 커다란 강도는 버티지 못합니다. 잠금카라비너이건, 그렇지않던간에 카라비너는 종으로 힘을 받을때만 믿을수 있습니다. (종의 경우, 2-3톤정도, 회의 경우, 최대로 1톤 정도.) 다시한번 말하지만 절대로 카라비너가 횡으로 힘을 받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하강이나 확보시에 0자형 고리를 사용하는 것을 볼수 있습니다. 일단 이 0자형고리의 강도를 믿어야 합니다. 했을 껍니다. 꼭 알아 두길 바랍니다. 카라비너에는 힘을 종방향으로 받을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허리벨트만을 믿지 못한다하면 카라비너를 허리벨트와 0자형 연결고리에 동시에 걸어 주십시요. 이경우에도 반드시 카라비너가 종방향으로 향하도록 고무줄 등으로 묶어 고정을 시키길 바랍니다. 아주 중요한 사항이니 꼭 실천 바랍니다. (무슨 경우이든지 벨트와 연결된 카라비너가 자기 마음대로 움직이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