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조왕,다루왕,기루왕,개루왕,초고왕,구수왕,사반왕,고이왕,책계왕,분서왕,비류왕,계왕,근초고왕,근구수왕,침류왕,진사왕,아신왕,
전지왕,구이신왕,비유왕,개로왕,문주왕,삼근왕,동성왕,무녕왕,성왕,위덕왕,혜왕,법왕,무왕,의자왕..
개로왕은 삼국사기에 경사 외국기록에는 경..
문주왕은 외국기록에 도..
동성왕은 삼국사기에 모대 외국기록에 말다..
무녕왕은 삼국사기에 사마 외국기록에 영..
성왕은 삼국사기에 명농..
위덕왕은 삼국사기에 창..
혜왕은 삼국사기에 계..
법왕은 삼국사기에 선..
무왕은 삼국사기에 장..
고대라 시호가 없었을 수도 있겠지만 신라 같은 경우와 달리 일찍부터 강국으로 성장하여 고구려와 맞서던 나라로 생각한다면 의
문입니다..
기록자체가 워낙 적어서일 수도 있겠고요..
특히 왕의 이름이라고 쳐도 사반이나 삼근이 과연 이름으로 합당한 것인지..
단순히 한자로 해석하면 모래반쪽과 세근입니다..
첫댓글 동성왕때부터 시호제가 사용된듯 싶거든요....개로 문주 삼근은 백제식 이름인듯 싶고 중국사서에 기록된 이름들은 백제식 이름의 뜻을 한자로 빌린 이름이 아닐까요?
개로왕도 삼국사기는 여경사로 외국기록은 여경이라고 하죠..문주왕도 삼국사기는 여문주 외국기록은 여도..참고로 저 둘의 동생인 곤지도 백제식의 이름인 듯 싶고 외국기록은 여곤이라고 나오죠..
백제왕의 이름을 해석할때는 이두문으로 해석해야 하고 그것이 음차인지 훈차자인지를 잘해석해볼 필요가 있다고 보입니다 예를들어 삼국사기 近仇首王 은 近貴須王- 일본신찬성씨록에 나옴- 의 음만 빌려쓴것이며 초고왕의 肖는 고대어의 쇠를 의미한다고 합니다. 한자식으로 뜻을 빌려온게 아닌게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