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행개요
- 산행일시 : 2016. 12. 11. 07:00~16:30
- 산행거리 : 19.7km
- 산행코스 : 싸리터재-오두방산갈림길-마령재-토곡산-만대산-노태산-지릿재
- 산행일행 : 김천 산악연맹 회원
* 기록들
새벽 4시 30분 산행준비로 부시럭 대는 소리에 와이프가 깬다.
카카오택시를 부르려 하는데 와이프가 김천터미널까지 픽업을 해준단다.
삼덕식당에서 아침식사만 해야 하는데 점심 도시락까지 챙겼다.
딱히 그러지 말라는 얘기는 없었으나 눈치는 보인다.
겨울이 성큼 다가왔다. 새벽녘 싸리터재는 나서기 싫을 정도로 춥고 스산하다.
2~30분 차안에서 눈을 부치다 주섬주섬 행장을 챙기며 길을 나선다.
비계산에서 오두산으로 이어지는 산줄기가 왼쪽에서 아름답게 조망이 된다.
이번 구간 오두산은 왼편에서 떠나지 않고 계속 우리를 지켜줬다.
<싸리터재>

<거창과 합천의 경계>





맨 처음 만나는 소두방산(564.4m)은 별 표시가 없이 죽은 소나무가지를 걸쳐 정상석을 대신하고 있다.
산의 형상이 솥뚜껑과 닮았다하여 소두방산이라 부른다한다.
날씨가 구름 한점 없는 최고의 날씨다.
약간 선선하면서 춥지 않고 거칠것 없는 조망때문에 몸과 마음이 가벼워진다.
<소두방산>

<오두산과 두무산, 그리고 비계산>




<조망바위에서 휴식 - 일망무제>




<512.3봉>


10시 30분 경 마령재에 도착했다. 원래 지난 구간 종점으로 계획했던 곳이다.
버스 정류장이 있고 말마(馬) 자를 쓰는 것으로 봐서는 모양새가 마등령처럼 말의 등과 같이 생겼다는 의미로 받아드려진다.
표지기를 달기 위해 희미한 등로를 따라 앞서 올라간다.
<마령재>





438봉을 넘어서자 약간의 된비알을 한번 더 넘어서야 했다.
그리고는 이내 토곡산(644m)에 이른다.
산 이름은 가야 문화의 영향 때문에 산과 계곡 등에서 그릇을 만들어 옹기터가 많다는 의미에서 토곡산(吐谷山)이라 불리운다.
한자로 봐서는 그렇지 않을 것 같은데, 의미가 색다르다.

<토곡산>


매화재는 옛날 고령군 쌍림면 산주리와 신촌리 지역 주민들이 합천을 오가던 길이었다.
매화재에서 만대산(688m)으로 이어지는 등로는 잘 정비되어 있다.
만대산에는 고령신씨 시조이자 신숙주의 선조인 신선용의 시조비와 묘가 있다.
고령신씨가 이 산에 시조묘를 쓰면서 만대에까지 자손들의 영화가 이어지길 바라는 염원에서 작명이 되었다고 한다.
또 다른 유래는 약 1000년 전에 어떤 지관이 산 중턱에 묘터를 점지하면서 자손들의 영화가 만대에까지 이를 것이라 해서 붙여졌다고 한다.
최근 최순실의 국정농단을 보면서 내 후손들만 잘 살면 된다는 풍수사상에 기초해서 붙여졌다고 생각하니 씁쓸하게 느껴진다.
<매화재>

<만대산>





만대산을 내려서서 넓은 등로를 따라가다 왼쪽으로 휘감으며 가파르게 덤불을 헤치며 내려선 다음 야트막한 오르막에서 오늘의 마지막 봉우리인 노태산(498m)을 만나게 된다.
노태산에서는 고령군 쌍림면 일대를 지나치는 안림천이 발원하고 있다.
고령군에서는 어태산이라 부르기도 한다.
<노태산>

국도가 지랫재 밑 터널로 관통함으로써 이제는 등산로가 아니면 별로 쓰임새가 없는 길이 되어 버렸다.
일행 몇 사람이 택시를 불러 앞서 갔고 밑에 세사람은 지릿재 주유소까지 걸어가기로 한다.
거기서 김문환 국장이 싸리터재에서 세워뒀던 차를 타고와 우리를 픽업하며 오늘의 일정을 마감한다.
<지릿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