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팬데믹과 2년동안 온라인 수업으로 대면접촉이 제한된 대학생들의 이야기입니다.
대학교에서 한국학을 가르치는 외국인의 눈으로 본 팬데믹의 영향입니다.
The pandemic's psychological effects on Korean youth
팬데믹의 한국 젊은이에 대한 정신적인 영향
By David A. Tizzard 데이비드 티자드
Dr. David A. Tizzard (datizzard@swu.ac.kr) has a Ph.D. in Korean Studies and lectures at Seoul Women's University and Hanyang University. He is a social/cultural commentator and musician who has lived in Korea for nearly two decades. He is also the host of the Korea Deconstructed podcast, which can be found online. The views expressed in the article are the author's own and do not reflect the editorial direction of The Korea Times.
데이비드 A. 티자드 박사는 한국학 박사학위를 가지고 있고 수원여자대학교와 한양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다. 그는 한국에서 20년 가까이 산 사회/문화에 대한 평론가이며 음악가이다. 온라인으로 방송하는 한국을 재해석하는 팟캐스트의 진행자이다. 이글에서 발표된 관점은 저자의 것이고 코리아 타임즈의 편집방향을 반영하지 않았다.
Posted : 2022-03-05 14:39Updated : 2022-03-05 14:39
Korea Times
Try explaining Confucianism to someone. Or how Korean people will often instinctively become aware of the hierarchy in a room and know where to position themselves, what language to use, and who to defer to. Try conveying the feeling carried by the scars and trauma of Japanese colonization and the anti-Chinese sentiment that gets whipped up sporadically. And then how Korea's journey toward modernization and democracy has demanded many individuals quieten their own identity and dreams. Has the economic and cultural success been worth it? And what of that cultural success: why are large swathes of the world going nuts over hyper-sexualized and overly-choreographed Korean idol groups?
유교를 누군가에게 설명해보라. 또는 한국인들은 방안에서 서열을 인식하고 자신을 어떤 위치에 두어야할 지, 어떤 언어를 써야할 지, 누구에게 의지할지를 본능적으로 안다. 일제시대의 트라우마와 상처, 가끔 불거지는 반중 정서를 전달해 보라. 얼마나 한국의 현대화와 민주화에 대한 여정속에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정체성과 꿈을 죽이도록 요구했는지 생각해 보자. 우리가 이룬 경제적, 문화적 성공이 그럴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인가? : 왜 세계의 많은 사람들이 지나치게 성적이고 안무가 지나친 한국의 아이돌 그룹에 열광할까?
None of these is easy to answer. They are difficult questions and don't lend themselves to explanations in a tweet. They require exploration, nuance, dialectical interactions, questions, challenges, humility and sensitivity. And then you still might not get close to coming up with an answer that satisfies everyone. Korean studies is a brilliant field to explore. It's never been more attractive and this is evidenced by the huge numbers of international students signing up to learn about Seotaeji, gugak, Park Chung-hee, gapjil, Gwangju, candlelight movements, nunchi, Bong Joon-ho, Queen Seondeok and Lee Young-ji.
어느 질문도 쉽게 대답할 수 없다. 어려운 질문들이고 트윗으로 설명할 수 없다. 이것들은 조사, 뉴앙스, 변증법적 상호작용, 질문, 도전, 겸손, 민감성이 필요하다. 그리고 당신은 아직 모든 사람들이 만족할 만한 답에 근접하지 못했다. 한국학은 공부하기에 훌륭한 분야이다. 그것은 훨씬 매력적이고 서태지, 국악, 박정희, 갑질, 광주, 촛불운동, 눈치, 봉준호, 선덕여왕, 이영지에 대해 공부하고 있는 수많은 외국학생들이 이를 증명하고 있다.
I've spent the last couple of years teaching these topics online through live discussions at two different universities. Zoom is certainly a substitute for the classroom, but only ever that. It will never replace the tangible experience of occupying the same physical and temporal space with other people. The weird awkwardness before a class begins where you can't just sit there with your camera off but instead have to acknowledge you're being looked at. That awareness of who's not really catching what's going on and who most definitely is despite their desire to stay somewhat quieter than others during discussions. Those fleeting conversations before and after class, the coffees during break-time, the huge sigh of relief when you're finished and say goodbye only to then have to greet people again when you get to the elevator.
나는 지난 수년동안 이런 토픽들을 두개의 다른 대학교에서 온라인으로 실시간 토론을 하며 가르쳤다. 줌은 현장수업의 대체물이지만 한계가 있다. 줌이 같은 공간과 시간속에서 다른 사람들과 교감하는 서로 접촉할 수 있는 경험을 대체할 수 없다. 수업이 시작되기전에 카메라를 끄고 앉아있을 수 없고 대신에 누군가가 당신을 보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한다. 토론 중에 다른 사람들보다 조용히 있으려는 바램에도 불구하고 가장 확실한 사람은 어떤 일이 있는지를 잘 알지 못한다.
Office workers, high school kids, coffee shop employees, delivery drivers, nurses and late night hostesses have all been largely at their regular places of employment while university students have remained off campus. I've benefited quite a lot in terms of money and time in that I've been able to stay at home and not have to worry about commuting, lunch and new pairs of trousers. While I've waved my kids off to school in the morning, I put on my slippers, shorts, and sit down dressed smartly from the waist-up to explain the presence of "han" in Korean dramas and literature in the 1980s. It never quite felt right seeing my young kids and wife go out while I stayed home secure: a backwards interpretation of the chivalry expected on boats and vessels in the west.
사무실 근로자, 고등학생, 커피숍종업원, 배달운전자, 간호사, 심야 호스티스 들은 모두 정규적인 일터가 있지만 학생들은 캠퍼스를 떠나 있다. 나는 집에 있고 통근걱정을 하지 않고 점심이나 새로 살 바지 걱정을 하지 않아서 시간이나 금전적으로 혜택을 받았다. 아침에 아이들을 학교에 보내면서 반 바바지와 슬리퍼를 신고 1980년대의 문학과 한국 드라마속의 “한”에 대해 설명하면서 옷을 입고 허리도 조인다. 나는 집에 안전하게 있고 나의 아내와 애들이 나가는 것을 보는 것은 마음이 편치 않다. : 반대로 서양의 기사가 배와 선박에 머무는 것 같다.
So I'm glad I'm going back to a degree of normalcy. And so are many students. Having spoken to some this week, it was eye-opening to hear how many of them openly said that they wanted to be here on campus, they wanted to see people, they wanted to make friends, they wanted to be a university student, they wanted to live. Students offered these observations to me without prompting but purely of their own choice. It was the friendship comments that I was most struck by. Some were volunteering their social media and other forms of contact to people they were meeting for the first time. And this wasn't just trying to get more followers or flex their latest Tik-Toks, it was a cry for help. And a brave one at that.
그래서 나는 정상으로 돌아가고 싶다. 많은 학생들도 마찬가지다. 이번주에 몇 학생들과 얘기해본 결과 너무나 많은 학생들이 캠퍼스에 가서 사람들을 만나고 친구를 사귀고 대학생의 삶을 살고 싶은 지 놀랄 만하다. 학생들은 이러한 견해를 강요가 아닌 자신의 선택으로 나에게 말했다. 이것은 내가 가장 충격을 받은 우정 어린 말이었다. 일부는 처음으로 소셜미디어와 다른 형태의 접속을 스스로 시도했다. 이것을 팔로우어를 늘리거나 최근 가입한 틱톡을 자랑하려는 것이 아니고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다. 한편으로는 용기있는 것이다.
Korean life can be a lonely and isolated experience sometimes. But I can't imagine what it must have been like to have left high school and all your friends, entered a new university where you know no one, and then be kept away from human contact for two years. I'm not a virologist and I also understand the motivation to keep people safe, but, beyond COVID-19, this week opened my eyes to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effects the pandemic and two years of online learning has had on the nation's youth and young adults. I've always read about it and tried to empathize as much as possible, but now the reality has presented itself.
한국에서의 생활은 때로는 외롭고 고립된 경험이다. 그러나 고등학교에 모든 친구들을 남겨두고 아무도 알지 못하는 새로운 대학교에 입학해서 2년동안 인간적인 접촉없이 지내는 것은 상상할 수 없는 일이다. 나는 바이러스학자가 아니고 사람들의 안전을 위한 것을 이해하지만 이번 주에 나는 2년간의 온라인수업이 우리나라의 어린이와 젊은이에게 미친 심리적, 감정적 영향에 대해 놀라지 않을 수 없다. 나는 이러한 사실에 대해 언제나 읽고 강조해왔지만 이제는 현실이 잘 보여주고 있다.
University students have often been at the forefront of Korea's liberalization and democracy. They have been vanguards for freedom and truth. A new generation are here, and they seem ready to assume the mantle. It's time we let them take up that responsibility.
대학생들은 자주 한국의 자유와 민주주의의 선봉에 서 왔다. 그들은 자유와 진리의 선두에 섰다. 새로운 세대가 여기 있고 그들은 역할을 할 준비가 된 것 같다. 이제 그들에게 책임을 맡겨야 할 때이다.
#줌 #온라인 #캠퍼스 #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