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부분의 영어교사들이 영어만 사용해서 영어를 가르치지 못하는 중요한 이유 중에 문법설명이 있다. 다시 말하면 문법설명은 우리말로 할 수밖에 없으며 혹시 영어로 설명을 하려고 해도 그것은 불가능한 일로 보인다는 것이다. 물론 초급학생들에게는 문법을 설명해 줄 필요도 없는 것이지만 중급이나 고급 수준의 학생들에게는 역시 문법 설명은 필요한 일이라고 생각된다. 다음에 문법설명에 필요한 표현들을 살펴 보자.
1. 품사와 관련된 표현
The English language has eight major word groups.
(영어는 8개의 단어군으로 나뉘어져 있다.)
They are nouns, pronouns, verbs, adverbs, adjectives, prepositions, conjunctions,
and interjections.
(명사, 대명사, 동사, 부사, 형용사, 전치사, 접속사, 감탄사가 그것이다.)
They are the building blocks of the language.
(이 언어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이다.)
A noun points out a person, place, thing, or idea.
(명사는 사람, 장소, 물건, 생각등을 지칭한다.)
It can act or be acted upon.
(명사는 무엇을 하거나 하게 된다.)
There are two classes of nouns, proper nouns and common nouns.
(명사에는 고유명사와 보통명사가 있다.)
"a teacher" is a common noun.
('a teacher'는 보통명사이다.)
"Jennifer" is a proper noun.
('Jennifer'는 고유명사다.)
A pronoun is a word used in place of a noun.
(대명사는 명사대신 사용되는 단어이다.)
Different pronoun forms are used to show person, number, gender, and case.
(여러 종류의 대명사들이 인칭, 수, 성, 격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An adjective is a word that is used to describe a noun or a pronoun.
(형용사는 명사나 대명사를 기술하는데 사용된다.)
It tells what kind, how many, or which one.
(형용사는 어떤 것, 얼마, 어느 것을 가리킨다.)
It modifies a noun or a pronoun.
(형용사는 명사나 대명사를 수식한다.)
Some examples are "lazy, beautiful, three, that..."
(형용사의 예로는 'lazy, beautiful, three등이 있다.)
The most frequently used adjectives are "a, an, and the."
(가장 자주 사용되는 형용사에는 'a, an, the'가 있다.)
These little words are usually called "articles."
(이 단순한 단어들은 관사라고 불린다.)
"A and an" are indefinite articles.
('a, an'은 부정관사라고 한다.)
They refer to one of a general group.
(부정관사는 전체무리중 하나를 의미한다.)
"A" is used before words beginning with a consonant sound.
('a'는 자음으로 시작되는 단어 앞에 사용된다.)
"An" is used before words beginning with a vowel sound.
('an'은 모음으로 시작되는 단어 앞에 사용된다.)
"The" is a definite article.
('the'는 정관사이다.)
It indicates that the noun refers to someone or something in particular.
(정관사는 특정한 명사를 지칭한다.)
A verb is a word that expresses action or otherwise helps to make a statement.
(동사는 활동성을 표시하거나 상황을 나타낸다.)
Words such as "do, come, go, and write" are action verbs.
('do, come, go, write'등은 활동동사라고 한다.)
Some verbs help to make a statement by serving as a link between two words.
(어떤 동사는 두 단어를 연결시키므로 상황을 묘사한다.)
These verbs are called linking verbs or state-of-being verbs.
(이런 동사를 계사라고 한다.)
A transitive verb has an object.
(타동사는 목적어를 가진다.)
An intransitive verb does not have an abject.
(자동사는 목적어가 없다.)
An adverb is a word used to modify a verb, an adjective, or another adverb.
(부사는 동사, 형용사, 다른 부사를 수식하는 단어이다.)
A conjunction joins words, or groups of words.
(접속사는 단어와 단어의 무리들을 접속시킨다.)
A preposition is a word that is used to show the relationship of a noun or
pronoun to another word.
(전치사는 명사, 대명사와 다른 단어와의 관계를 보여준다.)
Some examples of the most commonly used prepositions are "about, behind, from,
to, etc..."
(가장 자주 사용되는 전치사는 'about, behind, from, to'등이다.)
An interjection is a word that is used alone to express strong emotion.
(감탄사는 강한 감정을 표시하는 단어이다.)
Some examples are "Oh, Oops, Bravo, etc..."
(예를 들면 'oh, oops, bravo'등이다.)
What part of speech a word is depends upon how the word is used.
(한 단어가 어떤 품사에 속하느냐는 그 단어가 어떻게 사용되느냐에 달려있다.)
2. 문장과 관련된 표현
A sentence is a group of words expressing a complete thought.
(문장은 완전한 생각을 표현하는 단어의 무리이다.)
A sentence consists of two parts: the subject and the predicate.
(문장은 주어와 술어로 구성된다.)
The subject of the sentence is that part about which something is said.
(주어란 무엇에 관하여 말해지는 요소이다.)
The predicate is that part which says something about the subject.
(술어란 주어에 대하여 말하는 부분이다.)
A complement completes the meaning begun by the subject and the verb.
(보어란 주어와 동사에 의하여 시작된 의미를 완결시킨다.)
A subject complement is a noun, pronoun, or adjective that follows a linking
verb.
(주격보어란 계사 뒤에 따르는 명사, 대명사나 형용사를 말한다.)
It describes or explains the simple subject.
(주격보어는 단순주어를 설명한다.)
The direct object of the verb is a noun or pronoun that receives the action of the
verb.
(동사의 직접목적어는 동사의 action을 받는 명사나 대명사이다.)
The indirect object of the verb is a noun or pronoun that precedes the direct
object.
(동사의 간접목적어는 직접목적어 다음에 오는 명사나 대명사이다.)
Sentences may be classified as declarative, imperative, interrogative, or
exclamatory.
(문장은 서술문, 명령문, 의문문, 그리고 감탄문으로 나뉜다.)
A declarative sentence makes a statement.
(서술문은 서술한다.)
An imperative sentence gives a command.
(명령문은 명령을 내린다.)
An interrogative sentence asks a question.
(의문문은 질문을 한다.)
An exclamatory sentence expresses strong feeling.
It exclaims.
(감탄문은 강한 감정을 표현한다.)
3. 구와 관련된 표현
A phrase is a group of related words that is used as a single part of speech.
(구는 품사처럼 사용되는 서로 관계된 단어의 무리이다.)
It does not contain a verb and its subject.
(구는 동사나 주어를 포함하지 않는다.)
A prepositional phrase is a group of words beginning with a preposition and
ending with a noun or pronoun.
(전치사구는 전치사 뒤에 명사나 대명사가 따르는 단어무리이다.)
A participle is a verb form used as an adjective.
(분사란 형용사처럼 쓰이는 동사이다.)
A gerund is a verb form used as a noun.
(동명사란 명사처럼 쓰이는 동사이다.)
An infinitive is a verb form, usually preceded by "to", that is used as a noun,
adjective, or adverb.
(부정사란 'to'뒤에 동사가 따르는 형태로 명사, 형용사, 부사처럼 사용된다.)
4. 절과 관련된 표현
A clause is a group of words that contains a verb and its subject and is used as
part of a sentence.
(절이란 문장의 한 부분으로 사용되는 주어와 동사를 가지고 있는 단어무리이다.)
An main clause expresses a complete thought and can stand by itself.
(주절은 완전한 생각을 표현하고 이 절만으로도 문장이 된다.)
A subordinate clause does not express a complete thought and cannot stand alone.
(종속절은 완전한 생각을 표현하지 못하고 이 절만으로는 문장이 될 수 없다.)
5. 일치와 관련된 표현
When a word refers to one person or thing, it is singular in number.
(한 단어가 한 사람, 한 물건만 지칭할 때는 단수이다.)
When a word refers to more than one, it is plural in number.
(한 개 이상이면 복수가 된다.)
A verb agrees with its subject in number.
(동사는 그 주어와 수에 있어서 일치하여야 한다.)
The following pronouns are singular: "each, either, neither, one, everyone,
everybody, no one, nobody, anyone, anybody, someone, somebody."
(아래 적힌 대명사들은 단수이다.)
The following pronouns are plural: "several, few, both, many."
(아래 적힌 대명사들은 복수이다.)
The pronouns "some, all, most, any, and none may be either singular or plural."
(아래 적힌 대명사들은 단수도 되고 복수도 된다.)
Subjects joined by "and" take a plural verb.
('and'로 연결된 주어들은 복수가 된다.)
Singular subjects joined by "or" or "nor" take a singular verb.
('or, nor'로 연결된 주어들은 단수이다.)
"Don't" and "doesn't" must agree with their subjects.
('don't, doesn't'는 반드시 주어와 일치되어야 한다.)
Collective nouns may be either singular or plural.
(집합명사는 단수거나 복수가 된다.)
A few nouns such as "news, measles, physics" take a singular verb.
('news, measles, physics'등은 단수동사를 취한다.)
문법과 관계된 설명을 일일이 다 할 수는 없지만 위의 예에서 보듯이 문법설명은 대체로 "A noun is ..." 형식을 취하는 아주 평이한 문장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명사"라고 말하는 것이 "a noun"이라고 말하는 것보다 결코 쉽다고 할 수는 없는 것이다. 그렇다면 과감하게 처음부터 영어로 그 이름을 알려 주는 것이 학습자들에게 긍지를 주고 단어 하나라도 더 가르쳐 줄 수 있다는 이점을 갖게 된다. 그러나 실제로 위에 제시된 표현들보다는 다음에 제시된 표현들이 영어교실 현장에서는 더욱 유용하고 실제로 필요한 일반적인 표현들이다.
6. 일반적 문법설명과 관련된 표현
Is a relative pronoun necessary here?
(관계대명사가 여기 필요한가요?)
Which tense do we use after "if"?
('if'다음에 어느 시제를 써야 할까요??)
Which preposition comes after "to concentrate"?
('concentrate'다음에는 어느 전치사가 와야 하지요?)
What's the rule about "some" and "any"?
('some, any'사용과 관련된 규칙은 뭡니까?)
What is the past tense of "to go"?
('go'의 과거형은 뭐지요?)
Is the word order right?
(단어의 배열순서가 맞습니까?)
Mind the preposition.
(전치사를 주의하세요.)
Put the adverb at the end of the sentence.
(문장 끝에 부사를 넣으세요.)
What is the noun derived from "electric"?
('electric'에서 파생된 명사는 뭐지요?)
What is the opposite of "generous"?
('generous'의 반대말은 뭐지요?)
What's the prefix that means "against"?
('against'와 같은 뜻을 가진 접두사는 뭐지요?)
It is a synonym of "jealous".
('jealous'와 동의어는 뭐지요?)
What do you call a person who moves to another country?
(다른 나라로 이사가는 사람을 뭐라고 하지요?)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stick" and "rod"?
('stick'와 'rod'의 다른 점은 무엇입니까?)
Complete the sentences with a suitable word.
(적당한 단어를 넣어 문장을 완성하세요.)
Fill in "a" or "the" where necessary.
(필요한 곳에 'a'나 'an'을 넣으세요.)
Complete the sentences, using the words provided.
(제시된 단어를 사용하여 문장을 완성하세요.)
Use one of the following words to complete the sentences.
(아래 제시된 단어를 사용하여 문장을 완성하세요.)
Use appropriate forms of "to be" to complete the sentences.
('be'동사의 적합한 어형을 사용하여 문장을 완성하세요.)
Fill in the blanks, using the words given.
(주어진 단어를 사용하여 빈칸을 채우세요.)
Put "shall" or "will" into the blank spaces.
(빈칸에 'shall'이나 'will'을 넣으세요.)
Supply the missing word.
(빈칸에 단어를 넣으세요.)
Choose the verb that best fits each sentence.
(각 문장에 꼭 맞는 동사를 넣으세요.)
Mark the appropriate answer.
(맞는 답에 표시하세요.)
Ring the appropriate answer.
(맞는 답에 O표 하세요.)
Underline the accented syllable in these words.
(아래 단어 중 악센트가 있는 어절에 줄을 그으세요.)
제 18 장 일반적 학생활동과 관련된 표현
교실에서 나눌 수 있는 대화 중에 자주 등장할 수 있는 것은 아마도 하루 일과에 관한 것이 될 것이다. 예를 들면
I get up six o'clock in the morning.
(나는 아침 6시에 일어난다.)
I do exercise every morning.
(나는 매일 아침 운동을 한다.)
I eat breakfast at seven.
(나는 7시에 아침을 먹는다.)
I go to school at seven thirty.
(나는 7시 반에 학교에 간다.)
I study in the class in the morning.
(나는 아침에는 교실에서 공부를 한다.)
I eat lunch at noon.
(나는 12시에 점심을 먹는다.)
I study in the library in the afternoon.
(나는 오후에는 도서관에서 공부를 한다.)
I go back home at six o'clock pm.
(나는 오후 6시에 집으로 돌아간다.)
I have dinner at home about seven o'clock.
(나는 7시에 집에서 저녁식사를 한다.)
I do homework assignments and watches TV in the evening.
(나는 저녁때에는 숙제하고 텔레비젼을 본다.)
I go to bed at ten o'clock.
(나는 10시에 잔다.)
이러한 하루 일과에 관한 표현은 연습목적을 위하여 위에 열거된 것 말고도 얼마든지 학생들에 의하여 첨가될 수 있을 것이다. 교사는 이러한 표현들을 가르친 후에
When do you get up?
(언제 일어나니?)
What do you do in the morning?
(아침에는 뭘하니?)
What time do you eat breakfast?
(아침은 몇 시에 먹니?)
Where do you go at seven thirty?
(7시에 너 어디 가니?)
Where do you study in the afternoon?
(오후에는 너 어디에서 공부하니?)
What do you do at home in the evening?
(저녁에는 집에서 뭘하니?)
식으로 질문을 던짐으로서 학생들에게 이른바 Wh-question을 가르쳐 줄 수 있을 것이다.
또 이 질문을 학생들이 던지고 학생들이 대답하게 함으로써 정보를 주고받는 의사소통을 연습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학생들에게 자신들이 날마다 하고 있는 일상생활을 영어로 말하게 하는 훈련은 너무나도 중요한 것으로 어린이들이 here and now 에 관하여 먼저 배우는 것처럼 학생자신들이 하고 있는 일들을 먼저 가르쳐 주어야 할 것이다.
I go to school from Monday to Saturday.
(나는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학교에 간다.)
I go to the gym on Saturdays.
(나는 토요일에는 체육관에 간다.)
I go to the movies on Saturday nights.
(나는 토요일 밤에는 영화를 본다.)
I go to church. on Sundays.
(나는 일요일마다 교회에 간다.)
I listen to music on the radio at night.
(나는 밤에는 라디오로 음악을 듣는다.)
영어를 가르칠 때 늘 생각해야할 가장 중요한 사실은 학생들이 정말 말하고 싶어하는 것을 영어로 말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대부분의 영어교육현장의 경우 학생들은 자신들이 말하고 싶은 표현을 배우거나 훈련할 기회를 갖지 못하고 교사가 원하는 표현이나 교과서가 요구하고 있는 표현만을 익히도록 강요받고 있기 때문에 영어에 대한 흥미를 잃어 버리는 것을 흔히 발견하게 된다. 따라서 교사는 교과서에만 의존하지 말고 과감하게 학생들이 말하고 싶어하는 우리말 표현들을 모아서 영어로 가르쳐 주는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필자가 중학교 학생들에게 영어로 어떤 표현을 하고 싶으냐고 물어 보았을 때 학생들은 다음과 같은 표현들을 영어로 말하고 싶어한다고 대답했다.
I go to the private institute to study English every nights.
(나는 매일 밤 영어를 배우러 학원에 간다.)
I go to the game room everyday.
(나는 날마다 오락실에 간다.)
I always play the electronic game at home.
(나는 집에서 언제나 전자오락 게임을 한다.)
I play computer games every night.
(나는 매일 밤 컴퓨터 게임을 한다.)
I pretend to study at home at night.
(나는 밤에 집에서 공부하는 체 한다.)
But, frankly speaking, I read cartoons every night.
(그러나 솔직히 말하면 나는 날마다 만화를 본다.)
I study English with my tutor on Tuesdays and Thursdays.
(나는 매주 화요일과 목요일에 가정교사와 같이 영어공부를 한다.)
I hate to study.
(나는 공부하기가 싫다.)
왜 이런 진솔한 표현들은 교실에서 말해질 수 없는 것인가? 필자가 학생들에게 이러한 표현들을 가르쳐 주었을 때 학생들은 더욱 더 영어에 흥미를 가지고 몇 번이고 이들 문장이 완전히 외워질 때까지 열심히 공부하는 것을 보았다. 고등학생들의 경우는 아마도 날마다 하는 활동이 중학생보다는 더 다양해서
I have a date on Sundays.
(나는 일요일에는 데이트를 한다.)
I play my electric guitar on Saturdays.
(나는 매주 토요일마다 전기 기타를 연주한다.)
I often go to the rest room and smoke a cigarette.
(나는 가끔 화장실에 가서 담배 한 대 피운다.)
I have to go to the private institute to improve my English every night.
(나는 매일 밤 영어실력 향상을 위하여 학원에 가야 한다.)
물론 고등학교학생이 일요일마다 데이트를 한다는 것이나 화장실에 몰래 가서 담배를 피우는 행동이 올바른 것은 아니지만 필자가 여기에서 강조하려는 것은 here and now 에 대하여 영어로 이야기할 때 진정한 의미로서의 생활영어를 배우게 되고 영어에 흥미를 갖게 된다는 것이다. 만일 어떤 문제 학생이
I often go to the rest room and smoke a cigarette.
(나는 가끔 화장실에 가서 담배를 피운다.)
라고 말했을 때 이 문제를 교도주임에게 가지고 갈 것이 아니고
Well, smoking is dangerous to your health.
(흡연은 건강에 해롭다.)
It often causes shortness of breath and other respiratory sickness.
(흡연 때문에 숨이 가빠지고 호흡기병에 걸리게 된다.)
It may lead to lung or throat cancer.
(흡연 때문에 폐암이나 후두암에 걸릴 수도 있다.)
Indigestion comes from smoke that gets into your stomach.
(소화불량은 위장 속으로 들어간 담배연기 때문이다.)
Your teeth are going to become yellow with stain.
(하얀 치아가 누렇게 변할거다.)
Your life span will be shorter than a non-smoker's.
(너의 수명이 비흡연자보다 더 짧아질 거다.)
If you don't stop smoking, you will have difficulty to climb stairs in a few years.
(금연하지 않으면 수년내에 계단을 오르기가 어려워질 거다.)
It's going to be difficult for your body to play any sport.
(운동을 하는데도 어려움을 느끼게 될 거다.)
However, if you stop smoking, you will add years to your life.
(그러나 네가 금연을 한다면 너의 수명은 연장될 것이다.)
So if I were you, I would stop smoking.
(그러니까 내가 너라면 금연을 하겠다.)
Please stop smoking.
(제발 금연해라.)
라고 구체적이면서도 인생의 선배로서 영어로 점잖게 충고를 해 준다면 영어연습도 하면서
금연을 하는 효과를 거둘 수도 있지 않을까?
또 같은 내용의 하루 일과를 이야기 할 때도 그냥 똑같은 유형의 문장만을 이용하여 연습을 시킬 것이 아니고 어느 정도 훈련이 된 다음에는 다음과 같이 긍정적이고 재미있고 다양하게 일상생활에 대하여 말할 수 있도록 훈련을 시킨다면 더욱 더 즐거운 영어교실이 될 것이다.
I am a morning person.
(나는 아침에 아주 활동적인 사람이다.)
I get up early in the morning.
(나는 아침에 일찍 일어난다.)
I get up about six o'clock.
(나는 6시쯤에 일어난다.)
My eyes open immediately.
(나는 꾸물거리지 않고 금방 눈을 뜬다.)
I welcome the morning sun and greet my family happily.
(나는 아침태양을 환영하고 가족들에게 반갑게 인사한다.)
I do exercise every morning.
(나는 아침에 운동을 한다.)
I usually take a walk in the morning.
(나는 보통 아침에 산책을 한다.)
For me, morning is the best part of the day.
(나에게는 아침이 하루중 가장 좋은 시간이다.)
But my brother is lazy.
(그러나 내 동생은 게으르다.)
He gets up late every morning.
(그는 매일 아침 늦게 일어난다.)
His alarm clock wakes him on time.
(시계는 내 동생을 제 시간에 깨운다.)
But he doesn't make himself get up right away.
(그렇지만 내 동생은 금방 일어나지 않는다.)
He doesn't welcome the morning sun.
(내 동생은 아침태양을 환영하지 않는다.)
He doesn't greet his family happily.
(내 동생은 아침에는 가족들에게 즐겁게 인사하지 않는다.)
He doesn't do exercise every morning.
(내 동생은 마일 아침 운동을 하지 않는다.)
For him, morning is not the best part of the day.
(내 동생에게는 아침은 하루중 가장 좋은 날이 아니다.
He is a night person.
(내 동생은 저녁에 아주 활동적인 사람이다.)
위의 문장들은 평이한 문장들이지만 그러나 아주 세련된 문장들이고 이런 식으로 길게 자신의 일과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면 그는 아주 영어를 잘하는 사람이다. 교사들은 과감하게 학습자들에게 기회를 주어서 교과서대로가 아니고 학습자들이 말하고 싶어하는 이야기를 영어로 말해 보도록 하는 훈련을 시켜야 할 것이다.
There is no King's way for learning English.
(영어학습에는 왕도가 없다.)
그러나 하나 분명한 것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즐겁게 연습할 수 있는 환경을 교사가 제공할 수만 있다면 학습자들은 이 연습을 통해서 영어를 정복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학습자들이 즐겁게 공부할 수 있는 학습자료들이 필요한데 그 자료들은 바로 학생들이 가장 말하고 싶어하는 문장들인 것이다.
Whenever you find a good sentence, memorize it by heart.
(좋은 문장을 발견하면 그걸 죽어라하고 외우세요.)
Then, practice it.
(그리고는 연습을 하세요.)
Do it every day.
(연습을 날마다 하세요.)
Practice makes you perfect.
(연습을 통해서만 완전하게 됩니다.)
제 19 장 학급통제 활동과 관련된 표현
교실에서 영어를 가르치는 교사들은 누구나 우리 나라와 영미인들의 차이에서 오는 문화적 차이로 인하여 여러 가지 갈등을 겪게 된다. 사실상 영어를 원어민처럼 말하게 되려면 학습자들이 영미인들의 비언어적 기호에 대한 지식도 가지고 있어야 하고 영미인들의 문화도 잘 이해해야 한다. 학급통제 활동과 관련된 영미인들의 교실영어를 분석해 보면 직선적인 표현보다는 학생들을 인격적으로 대우하려는 표현들이 많다. "Would you ---" 또는 "Could you ---"로 시작되는 표현들은 영미인 교사들이 어린 학생들일지라도 인격체로 대우하는 모습을 단적으로 보여 주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한 학급에 50여명의 학생들을 통제해야 하는 우리 교사들로서는 점잖은 표현보다는 한손에 무시무시한 교편을 들고 들어가서 엄격한 교사의 모습으로 학급을 통제할 수 밖에는 없는 형편이다. 따라서 교사들은 직설적인 방법으로 학급을 통제하게 되며
Sit up, please!
(똑바로 앉아!)
You all straighten your desks.
(모두 책상을 바르게 정렬!)
Attention!
(주목!)
Close your eyes!
(눈감아!)
Open your eyes!
(눈 떠!)
Be quiet!
(떠들지 마라!)
등의 이른바 잔소리를 하게 된다. 그러나 같은 잔소리를 하더라도 좀 더 긍정적으로 멋있게 할 수는 없을까?
Please sit up!
(똑바로 앉으세요.)
Very good.
(아주 좋아요.)
Now you look like a gentleman.
(야, 여러분은 정말 신사들 같이 보여요.)
Open your eyes. Make your eyes beautiful.
(눈을 뜨세요. 눈을 아름답게 만들어 보세요.)
Smile! Make your smile as pretty as possible.
(미소를 지으세요. 미소를 가능한 한 예쁘게 지어 보세요.)
Wow! You have the most beautiful smile.
(야, 여러분은 정말 가장 아름다운 미소를 짓고 있네요.)
You look like an angel.
(천사같이 보이네요.)
교사가 이런 식으로 말해 준다면 "떠들지 말라"고 부정적인 피이드백(feedback)을 주는 것보다 훨씬 더 좋은 결과를 얻게 될 것이다. 사실상 아이들에게 자부심(self-confidence)을 준다는 것은 영어교육에 있어서 너무나도 중요한 일이다. 따라서 어떤 명령을 내린 다음에 그대로 시행이 되었을 때 칭찬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고 아이들을 공주님처럼 왕자님처럼 대우해 주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요즘 공주병(Princess syndrome)이 유행한다고 하는데 자신을 공주처럼 귀하게 생각하는 게 나는 참으로 좋은 현상이라고 생각한다.
I am a princess.
(나는 공주다.)
I am a beautiful princess.
(나는 아름다운 공주다.)
I am OK.
(나는 괜찮은 사람이다.)
I am optimistic.
(나는 낙천적이다.)
Everyone loves me.
(누구든지 나를 사랑한다.)
Everyone takes care of me.
(누구든지 나를 도와주고 싶어한다.)
I love my father and mother.
(나는 아버지하고 어머니를 사랑한다.)
I love my brother and sister.
(오빠와 내동생을 사랑한다.)
I love to meet new people.
(나는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는 걸 좋아한다.)
I like the world around me.
(나는 나를 둘러싸고 있는 온 세상을 다 사랑한다.)
공주병을 이용하여 자신을 영어로 아름답게 긍정적으로 묘사하는 연습을 시킨다는 것은 정말 우리의 가슴을 설레게 하는 일이다. 실제로 불교에서는 자기자신을 부처님으로 여기라고 가르치고 있고 기독교에서는 자기자신을 하나님의 아들로 또는 딸로 생각하라고 가르치고 있는데 왜 우리 교사들은 우리 학생들이 영어를 좀 못한다고 해서 무시하고 멍청이로 취급하고 있는가? 이상스럽고 이해도 되지 않는 영어문법을 열나게 가르치면서 그걸 이해하지 못한다고 야단을 쳐서 학생들에게 열등감만 잔뜩 만들어 주는 식의 영어학습은 이제는 정말 지양되어야 할 것이다. 한번 깊이 생각해 보자. 얼마나 우리가 학생들을 인정해주지 않았으면 학생들에게 자기자신에 대하여 말해 보라고 하면
I am nobody.
(나는 아무 것도 아닙니다.)
I know nothing.
(나는 아무 것도 모릅니다.)
I am a problem child.
(나는 문제아입니다.)
I am a slow learner.
(나는 학습지진아입니다.)
I am hopeless.
(나는 소망이 없어요.)
Everybody hates me.
(누구든지 나를 싫어해요.)
Nobody takes care of me.
(아무도 나를 돌보지 않아요.)
I hate the world around me.
(나는 이 세상이 미워요.)
하고 얼마나 부정적인 표현을 하고 있는가? 우리는 영어를 가르치기에 앞서 우리 학생들을 격려하고 칭찬해 줌으로써 자기자신을 긍정적으로 볼 수 있는 그래서 자신을 공주님처럼 왕자님처럼 아름답게 볼 수 있는 긍지를 불어 넣어주어야만 영어도 잘 가르칠 수 있고 정말 세계 속의 한국인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자! 우리 학생들로 하여금 교실에서 다음과 같은 대화를 서로 교환할 수 있도록 격려하자.
I am a princess. I am pretty.
(나는 공주다. 나는 아름답다.)
I am the MIP.
(나는 MIP다.)
I mean I am the Most Important Person (MIP) in the world.
(즉 나는 이 세상에서 가장 귀중한 사람이란 말이다.)
I love the world around me.
(나는 세상을 사랑한다.)
MIP라는 말은 "세상에서 가장 중요한 사람"이라는 뜻인데 영어에서 많이 쓰이는 VIP 즉 "Very Important Person"에서 아이디어를 따 온 것이다. 사실상 우리 교사들은 학생들 이 영어를 잘 하든지 못하든지 자기자신이 "아주 중요한 사람"이라고 하는 긍정적인 생각을 학생들에게 넣어 주어야 한다. 그러나 어떤 사람을 "Very Important Person"이라고 말한 다면 이 사람 보다 더 중요한 "Very Very Important Person"이 또 나올 것이고 이 사람보다 더 더욱 중요한 "Very Very Very Important Person"이 나올 것이기 때문에 역시 사람에게 등수를 먹이는 것이 됨으로 그렇다면 누구나 나름대로 가장 소중한 MIP가 되어야 하지 않겠는가? 우리 나라처럼 등수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그래서 대학수능고사를 봄으로서 우리 나라 전체 고3 학생 중에서 누가 1등이고 누가 꼴등인가를 그리고 자기자신은 전체 고3 학생 중에서 113568등이라고 명명백백하게 보여주는 우리의 수능고사는 참으로 기네스북에 올라야 하는 웃기는 제도라고 할 것이다. 실상 교실영어 중에서 가장 중요한 표현들은 학생들을 격려하는 말들이다.
You speak good English.
(너 영어 참 잘한다.)
Your pronunciation is perfect.
(네 발음은 완벽하다.)
You are absolutely right.
(네가 정말 맞다.)
Wow, that's a good question.
(야, 정말 좋은 질문이네요.)
I am sure you can do better next time.
(다음번에는 너 정말 잘 할거야.)
Have you done your homework? Wonderful!
(숙제를 다 했다구? 야, 굉장하네.)
Your handwriting is so beautiful.
(너 글씨 참 예쁘게 썼다.)
I don't think I can do better.
(나도 너보다 잘 쓰진 못할 거야.)
Nice try.
(아주 좋은 시도였다.)
Wonderful work!
(야, 정말 잘 했네.)
You are improving.
(너 점점 발전하고 있어.)
Good for you.
(정말 잘된 일이야.)
How wonderful you are!
(야, 정말 멋있다.)
You are a joy to me.
(너는 나의 기쁨이야.)
You are smart.
(야, 너 머리 참 좋다.)
You have plenty of energy.
(넌 정말 힘이 좋구나.)
You make me happy.
(넌 나를 기쁘게 해.)
You are a good mixer.
(넌 정말 사람들과 잘 어울려.)
I am proud of you.
(난 널 자랑스럽게 생각해.)
영어교실에서는 늘 상대방을 인정하고 격려하는 말만 사용하도록 힘써 노력해 보자. 학생들로 하여금 선생님으로부터 듣고 싶어하는 좋은 말을 적어 보게 하고 그걸 영어로 번역해서 열심히 연습한다면 모든 학급들은 정말 사랑이 넘치는 행복한 교실이 될 것이다. 자 우리 다같이 행복한 교실 속에서 진정한 언어교육이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증명해 보이도록 하자.
자, 어쨌든지 교사는 원만한 학급운영을 위하여 학생들을 통제하는 표현을 자주 사용할 수 밖에 없는데 다행스러운 것은 이러한 통제표현들이 실제로는 단순히 교실영어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고 일상생활에도 자주 사용되는 표현임으로 자주 사용해서 학생들로 하여금 이러한 표현에 익숙하도록 지도하여야 한다. 다음에 학급통제와 관련된 표현들을 몇 개로 구분해서 제시하고자 한다.
1. 주의를 끌고자 하는 표현
Look at me.
(날 보세요.)
Look over here.
(여기 주목하세요.)
Pay attention now.
(주목해 주세요.)
Could I have your attention, please.
(잠깐 주목해 주세요.)
Try to concentrate now.
(관심을 여기에만 집중해 보세요.)
Don't look out of the window.
(창밖을 보지 마세요.)
Eyes to the front, please.
(눈을 앞쪽으로)
Face the front.
(앞쪽을 보세요.)
I'm sorry to interrupt you.
(방해해서 죄송합니다만.)
But could you look this way for a moment?
(잠깐 이쪽을 봐 주실래요?)
Don't sit there daydreaming.
(쓸데없는 생각 중지!)
Be quiet.
(조용히!)
Everyone listen.
(모두들 들으세요.)
Stop talking now.
(잡담 중지!)
Ssshhh!
(쉿!)
Silence, please.
(조용히!)
Don't talk.
(말하지 마세요.)
Stand still.
(움직이지 말고 가만히!)
Don't move.
(동작 중지!)
Settle down, all of you.
(모두들 조용히.)
Turn round and face me.
(돌아 서서 날 보세요.)
Behave yourself!
(행동을 조심하세요.)
Be a good boy.
(행동을 조심하세요.)
2. 그룹활동을 위한 표현
Work together with your friend.
(친구들과 같이 하세요.)
Find a partner.
(파트너를 찾으세요.)
Work in pairs.
(둘씩 짝을 지어서 하세요.)
Work in threes.
(셋씩 짝을 지어 하세요.)
Work in fives.
(다섯씩 짝을 지어 하세요.)
Work in groups of two.
(둘씩 짝을 지어서 함께 하세요.)
Work in groups of five.
(다섯씩 짝을 지어서 함께 하세요.)
I want you to form groups.
(그룹을 만드세요.)
Three students in each group.
(한 그룹에 세명씩)
Line up, please.
(줄을 서세요.)
I'll divide the class into two groups.
학급을 두 그룹으로 나누겠어요.)
Form two groups of six.
(6명씩 두 그룹으로 만드세요.)
Here are some tasks for you to work on in groups.
(그룹으로 함께 할 과제가 있어요.)
Everybody work individually.
(각자 따로 따로 하세요.)
Work by yourselves.
(도움받지 말고 각자 혼자 하세요.)
Try to work independently.
(각자 혼자 힘으로 하세요.)
No cheating, please.
(컨닝하면 안돼요.)
Don't disturb your neighbour.
(친구를 방해하지 마세요.)
Stay in your seat.
(자리에 그냥 앉아 있으세요.)
There is no need to discuss it with your neighbour.
(친구와 같이 의논하지 마세요.)
3. 시범 보이기
Do it like this.
(이렇게 하세요.)
Watch me first.
(먼저 내가 하는 걸 잘 보세요.)
Watch me doing it.
(내가 하는 걸 잘 보세요.)
Listen to me saying it.
(내가 말하는 걸 들으세요.)
Copy me.
(따라 하세요.)
Do what i'm doing.
(내가 하는대로 따라 하세요.)
Do this.
(이걸 해 보세요.)
Do it this way.
(이렇게 하세요.)
Like this, not like that.
(이렇게 하세요. 저렇게 하면 안되구요.)
Try to do it exactly the same way as I'm doing it.
(내가 하는 그대로 해 보세요.)
4. 중지 요청
Stop what you are doing.
(네가 하는 일을 중지해라.)
That's enough for now.
(그만하면 됐다.)
OK, that's enough.
(그만하면 됐다.)
All right, you can stop now.
(자, 이제 그만.)
You will have to finish in a minute.
(몇분안에는 끝내야 돼요.)
I'll have to stop you in two minutes.
(2분후에 그만입니다.)
Your time is up now.
(시간 다 되었어요.)
Stop it.
(중지!)
Cut it out.
(그만 둬!)
Leave it alone.
(그냥 놔 둬.)
Don't touch it.
(만지지 마.)
Hands off!
(손 떼!)
Leave it where it is.
(자, 거기에서 중지.)
Speak softer.
(부드럽게 말하세요.)
There's no need to shout.
(소리지를 필요 없지요.)
I'm not deaf.
(난 귀머거리가 아니니까.)
5. 되묻기
Sorry?
(뭐라고 그러셨어요?)
What?
(뭐라고?)
Pardon?
(방금 뭐라고 그러셨어요?)
What was that?
(그게 뭐지?)
I missed that. What did you say?
(아, 그거 못 들었는데. 뭐라고 하셨죠?)
Sorry, I can't hear you.
(미안하지만 안 들립니다.)
Sorry, I didn't quite hear what you said.
(미안하지만 뭐라시는지 잘 못 들었어요.)
I beg your pardon.
(다시 한번 말씀해 주시겠어요?)
6. 격려하기
Very good.
Well done.
Excellent work.
(잘 했어요.)
Fantastic.
(너무 멋있어요.)
You made a very good job.
(정말 잘 했어요.)
There's nothing wrong with your answer.
(답에 틀린 게 하나도 없어요.)
That's exactly the point.
(그래, 바로 그거야.)
You didn't make a single mistake.
(오답이 하나도 없어요.)
That's better.
(아주 좋아졌어요.)
That's much better.
(아주 더 좋아졌어요.)
That's a lot better.
(정말 정말 좋아졌어요.)
Great improvement.
(아주 많이 발전되었어요.)
Try it again.
(다시 한번 해 보세요.)
Have another try.
(다시 한번 해 보세요.)
Not quite right. Try again.
(정답이라고 보기는 어려운데요. 다시 한번 해 보세요.)
Almost right.
(거의 맞았습니다.)
You are half way there.
(반쯤 맞았어요.)
You are almost there.
Take it easy.
(자, 마음놓고 하세요.)
There's no need to hurry.
(빨리 할 필요 없어요.)
There's no hurry.
(천천히 하세요.)
You have a plenty of time.
(아직 시간이 많이 있습니다.)
Go on. Have a try.
(자, 계속해서 해 보세요.)
Guess if you don't know.
(잘 모르겠거든 추측을 해 보세요.)
Don't worry.
(염려 마.)
Don't worry about your pronunciation.
(발음에 대해서 신경쓰지 마.)
Don't worry about your spelling.
(철자법에 대해서 신경쓰지 마.)
What if I give you a clue?
(내가 힌트를 줄까?)
I'll help you if you get stuck.
(꽉 막히면 내가 가르쳐 줄게요.)
You have very good pronunciation.
(발음이 참 좋아요.)
Your pronunciation is very good.
(아주 발음이 좋아요.)
You speak very fluently.
(아주 유창하게 말합니다.)
You have made a lot of progress.
(아주 많이 발전했어요.)
You still have some trouble with your spelling.
(철자법에 아직 좀 문제가 있어요.)
You need some more practice with these words.
(이 단어들을 좀 더 연습하세요.)
You'll have to spend more time practising this.
(이 걸 좀 더 연습해야 되겠어.)
You're getting better.
(점차 좋아지고 있어요.)
You've improved so much.
(많이 발전했어요.)
7. 불찬성
No, that's wrong.
(틀렸어요.)
Not really.
(글쎄, 꼭 그렇진 않아요.)
I'm afraid that's not quite right.
(꼭 맞은 건 아니지요.)
Good try, but not quite right.
(시도는 좋았지만 꼭 맞은 건 아니지요.)
Could be.
(그럴 수도 있지요.)
It depends.
(경우에 따라 다르지요.)
It might be, I suppose.
(그럴 수도 있기는 합니다만.)
In a way, perhaps.
(경우에 따라 그럴 수도 있겠군요.)
Sort of, yes.
(글쎄, 그럴 수도 있겠네요.)
That wasn't very good.
(그건 아주 좋지 않았어요.)
That was rather disappointing.
(난 사실 실망했어요.)
I am not satisfied with your work.
(그리 잘 했다고 볼 수 없어요.)
Try harder.
(더 노력하세요.)
I hope you do it better next time.
(다음번에는 좀 더 잘 하세요.)
You made a mistake.
(오답이 있군요.)
You made a small mistake.
(오답이 약간 있어요.)
There was a small mistake in what you said.
(말한 것중에 약간 틀린게 있어요.)
You missed the verb out.
(동사를 빼 먹었어요.)
You used the wrong tense.
(시제가 틀렸군요.)
You forgot the preposition.
(전치사를 빼 먹었어요.)
You misunderstood the instructions.
(지시를 잘 못 이해했어요.)
Did anyone notice the mistake?
(오답을 발견한 사람 있어요?)
Anything wrong in sentence 3?
(세번째 문장에 무슨 잘못이 있어요?)
That's another possibility.
(그럴 가능성도 있지.)
That's an interesting suggestion.
(그건 흥미있는 제안인데.)
That's one answer I hadn't thought of.
(그건 내가 전혀 생각해 보지 않았던 대답이다.)
제 20 장학생들이 원하는 표현
이 교실영어 강좌를 통하여 그 동안 필자가 꾸준히 영어교사들에게 하고자 했던 이야기의 초점은 영어만 사용해서 영어를 가르치는 일이 결코 어렵지 않다고 하는 사실이다. 그 점이 여러분에게 충분히 전달되었다면 내 역할은 성공을 거둔 셈이다. 문제는 자신감이다.
그리고 실제로 교실에 들어가서 영어로 가르치는 것을 실행하는 일이다. 아무쪼록 여러분들이 교실영어를 실제로 사용함으로써 우리의 학생들을 세계인으로 키우는 일에 동참하여 주실 것을 간절히 바라마지 않는다.
지금까지는 주로 교사가 사용할 가능성이 있는 영어학습과 관련된 표현들을 모아서 제시했지만 이제는 학습활동을 떠나서 학생들이 말하고 싶어하는 우리말 표현들을 모아서 영어로 제시해 보고자 한다. 중학교 학생들도 대체로 잘 알고 있는 "디스켓"이나 "모니터", "마우스"등은 중학교 교과서에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또 어떤 표현들은 너무나도 학생들이 알고 싶어하는 표현임에도 불구하고 단순히 교과서에 없다는 이유로 가르쳐 주지 않는다면 우리는 학생들의 강한 학습동기를 유발하기가 어려울 수 밖에는 없다. 그렇다면 학생들이 정말 알고 싶어하는 표현을 가르쳐 주어야 하는데 교실영어는 바로 이러한 갈급한 학생들의 심정을 풀어줄 수 있는 가장 좋은 기회가 아닐 수 없다.
우리는 여기에서 정말 우리의 중고등학교 학생들이 하고 싶은 이야기들은 무엇일까 하고 묻지 않을 수 없다. 글쎄 그들은 아마도 학교 생활에 시달린 나머지 부정적인 얘기를 먼저 하고 싶은 것은 아닐까?
I get tired of school.
(나는 학교가 싫어졌어.)
I get tired of homework.
(나는 숙제가 지긋지긋해.)
I get tired of studying.
(나는 공부하는 게 지겨워.)
I get tired of being told what to do.
(나는 이래라 저래라 말듣는 게 지겨워.)
그러나 어떤 학생도 결코
I get tired of watching TV.
(나는 텔레비전 보는 게 지겨워.)
I get tired of reading cartoons.
(나는 만화 보는 게 지겨워.)
라고는 말을 안할 것이다. 그러나 막연하긴 하지만 한창 이성에 관심을 갖게 된 학생들은
아마도 다음과 같은 말들을 누군가에게 말하고 싶을지도 모른다.
I missed you.
(나는 너를 보고싶었다.)
I missed you very much.
(나는 너를 정말 보고싶었다.)
I love you.
(나는 너를 사랑한다.)
사랑한다는 표현과 관련해서는 only를 사용하여
Only I love you.
(나만이 너를 사랑한다.)
I only love you.
(나는 너를 사랑만 한다.)
I love only you.
(나는 너만 사랑한다.)
식으로 표현을 해서 어떻게 사랑한다는 표현의 뉘앙스가 달라지는가를 실감하게 하는 것도 흥미를 유발시키는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왜냐하면 only를 잘못 사용하다가는 큰일 날수도 있으니까!
You are my true friend.
(너는 나의 진정한 친구다.)
I trust you.
(나는 너를 믿어.)
Will you be my true friend?
(내 진정한 친구가 되어 줄래?)
I like your hair style.
(나는 네 헤어스타일이 좋다.)
I'll miss you.
(네가 보고싶을거야.)
Never forget me.
(나를 잊지 말아라.)
언제나 진정한 친구를 자기를 이해해 주는 친구를 갖고 싶은 학생들은 용감하게 자기가 좋아하는 친구에게 다가가서 우리말로는 좀 쑥스러울 테니까 영어연습을 빙자해서 한번 영어로 말해 보면 어떨까? 또 우리 나라 사람들은 "우리"라는 표현을 좋아함으로 we를 사용하여 친구들과 같이 있을 때
We are David and Jonathan.
(우리는 막역한 친구다.)
We need one another.
(우리는 서로가 필요한 존재다.)
We help each other.
(우리는 서로 돕는다.)
We support one another.
(우리는 서로 밀어준다.)
We rely on each other.
(우리는 서로 의지한다.)
We trust each other.
(우리는 서로 신뢰한다.)
We have faith in each other.
(우리는 서로 믿는다.)
라고 말해 보도록 권하고 싶다. 위 표현의 경우 one another는 두사람 이상일 때 사용하고 each other는 두사람의 경우에 사용하면 된다. 그러나 뭐 꼭 원한다면 좋은 표현과 반대되는 부정적인 표현들도 말하고 싶은 경우가 많으리라고 보는데, 그렇다면
We condemn each other.
(우리는 서로 비난한다.)
We fight each other every day.
(우리는 날마다 싸운다.)
We hate each other.
(우리는 서로 미워한다.)
그러나 이러한 표현을 사용하면서도 한쪽 눈을 찡긋하며 살짝 웃으며 이런 말을 한다면 긍정적인 표현보다 오히려 더욱 더 정다운 표현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번에는 친구들에 대하여 you를 사용하여 아주 멋진 칭찬을 해 보자.
You are my sunshine, my only sunshine.
(너는 나의 태양, 나의 유일한 태양!)
You are my destiny.
(너는 나의 운명!)
You make me happy.
(너는 나를 행복하게 만든다.)
You are a good helper.
(너는 잘 도와주는 사람이다.)
You are a good mixer.
(너는 친구들과 아주 잘 어울린다.)
You are intelligent.
(너는 머리가 좋다.)
You have a good sense of humor.
(너는 유머감각이 있다.)
You are our hope.
(너는 우리들의 희망이다.)
약간 과장법을 사용하긴 했지만 남에 대하여 좋게 말한다는 것은 얼마나 아름답고 멋진 일인가? 영어문화권에서는 남에 대하여 좋게 말하는 것이 습관으로 되어 있으니까 영어시간에 you를 사용하여 남을 좋게 말하는 연습을 자주 하도록 하자. 그러나 이상스럽게도 우리 네 습관 중에는 상대방의 신체적 약점을 들어 아래와 같이 남을 놀리는 경우가 많은데 영어 문화권에서는 상대방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표현들은 절대로 해서는 안되지만 그러나 영어
학습동기 유발을 위해서 한번 연습해 보기로 하자.
You are fat.
(너는 뚱뚱하다.)
You look ugly.
(너는 못생겼다.)
You look like a monkey.
(너는 원숭이같이 생겼다.)
You smell like a monkey.
(너한테서 원숭이 냄새가 난다.)
You look pale.
(네 얼굴이 창백하다.)
하여튼 영어문화권에서는 상대방에 대하여 좋지 않은 말을 하는 것은 절대금물이니까 좋은 말만 하도록 연습을 해 두어야 할 것이다. 우리는 화가 엄청나게 났을 때, 또는 농담으로 친구들 사이에 "너 죽어!" 같은 표현을 쓰는 경우가 있는데 만일 이런 말을 영어로 직역해서 사용하면 어떻게 될까? 이런 경우 영어문화권에서는 우리의 의도와는 관계없이 엄청나게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것도 명심해 두어야 한다. 오래 전에 미국으로 이민간 한국교포가 미국에서 이웃집 사람과 말다툼을 하다가 너무나도 화가 나서
I'm going to kill you.
(죽여 버리겠다.)
라고 말했는데 그 말다툼하던 이웃사람이 갑자기 도망을 가서 한국교포는 자기가 말다툼에서 이긴 줄 알고 좋아했는데 얼마 있다가 미국경찰이 찾아와서 이웃사람의 고발에 의하여 체포한다고 해서 곤란을 당한 일이 있었다. 따라서 우리가 하고 싶은 말을 외국어로 번역할 때는 그 나라의 문화적인 요소를 잘 고려해서 번역해야만 한다는 사실을 늘 생각하고 있어야 한다.
이번에는 학생들이 평소에 다른 사람에 대하여 말하고 싶어하는 표현을 생각해 보자. 먼저
부정적인 표현부터 살펴보면
He is his own master.
(그 녀석은 제멋대로 한다.)
He is selfish.
(그놈은 이기주의자이다.)
He is an egoist.
(그놈은 자기중심적이다.)
He doesn't have an ounce of conscience.
(그 친구는 양심이라고는 털끝만큼도 없는 사람이다.)
He is a bogus student.
(그 애는 가짜 학생이다.)
He is a forgotten boy.
(그 아이는 잊혀진 존재다.)
He is a slow learner.
(그 아이는 지진아다.)
He is a fathead.
(그 아이는 석두다.)
He is a backbiter.
(그 녀석은 뒷전에서 남을 욕한다.)
He is competitive.
(그 애는 경쟁적이다.)
He is a shy person.
(그 애는 부끄러움을 잘 탄다.)
He doesn't know A from B.
(그는 낫놓고 기역자도 모른다.)
He is alway biting his nail.
(그 애는 늘 손톱을 깨무는 버릇이 있다.)
He has no sense of right or wrong.
(그놈은 옳고 그른 것을 모른다.)
He has some nervous shaking.
(그 애는 이상스럽게 몸을 흔드는 버릇이 있다.)
He has a habit of scratching his head.
(그 애는 머리를 긁는 버릇이 있다.)
He makes free with my possession.
(그는 내 물건을 제 마음대로 쓴다.)
He has a gloomy face.
(그는 늘 찌푸린 표정을 하고 있다.)
He has a proud face.
(그는 늘 거만한 얼굴표정을 하고 있다.)
He overestimates his own abilities.
(그는 자기 실력을 과신하고 있다.)
He is a flatterer.
(그 녀석은 아첨꾼이다.)
He is a taleteller.
(그 녀석은 고자질 쟁이다.)
아마 이 정도면 남에 대하여 충분히 부정적으로 말해 보았으니까 이젠 남에 대하여 좋은 말만 열심히 해 보자.
She has an intellectual face.
(그 애는 지적인 얼굴을 갖고 있다.)
She has a sunny face.
(그 애는 밝은 얼굴을 가지고 있다.)
She is positive.
(그 애는 긍정적이다.)
She is ready to work for others.
(그 애는 남을 위해 일할 준비가 되어 있다.)
She is pure in heart.
(그 애는 마음이 깨끗하다.)
She is a lucky girl.
(그 애는 운이 좋다.)
She has her pride as a Korean.
(그 애는 한국인으로서의 긍지를 가지고 있다.)
She is the most responsible person.
(그 애는 가장 책임감이 있는 아이다.)
She is the smartest student.
(그 애는 가장 똑똑한 학생이다.)
She is the friendliest person.
(그 애는 가장 우애 깊은 아이다.)
She is a born singer.
(그 애는 천생으로 가수입니다.)
She is a friend to many people.
(그 애는 많은 사람들의 친구입니다.)
한참 남을 칭찬하니까 정말 기분이 좋다. 남에 대하여 좋게 말하려면 먼저 내가 나 자신을 긍정적으로
I am OK.
(나는 괜찮은 존재다.)
I am beautiful.
(나는 아름다운 존재다.)
I am wonderful.
(나는 경이로운 존재다.)
라고 볼 수 있어야만 남을 괜찮게 볼 수가 있다. 그러니까 남을 칭찬하기 위하여 먼저 나 자신을 아름답게 볼 수 있는 긍정적인 자세를 갖도록 노력해야 한다. 따라서 교사들은 영어시간에 늘 밝고 아름다운 표현들 그리고 긍정적이고 학생들을 칭찬하는 영어표현을 자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결국 영어를 가르치는 근본적인 이유는 훌륭한 인격을 갖춘 사람을 키우자는 것이 아니겠는가? 교실영어는 이러한 면에서 단순히 영어교실을 이끌어 가기 위한 지시문이 아니고 한국인으로서 그리고 또 세계인으로서 긍지를 가진 인간을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고 재정의를 내려야 할 것이다.
필자는 대학생들에게 자신들이 영어로 꼭 표현하고 싶지만 어떻게 표현하면 좋은지를 확신하기 어려운 우리말 표현을 수집해 본 일이 있는데 이러한 표현들은 우리 나라 사람이면 누구나 알고 싶어하는 표현이라고 생각되어 다음에 그 표현을 제시하려고 한다. 단 이러한 표현들은 경우에 따라서는 전혀 다르게 표현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명심하고 의사소통상황에 맞도록 사용하여야 한다.
1. 널 무지무지하게 보고 싶다.
I'm dying to see you.
2. 어디 너 두고 보자.
Some day.
You'll pay for it some day.
3. 그래, 너 잘 났다.
OK, you are the boss.
4. 그것 참 알쏭달쏭 한 문제군.
The question is too puzzled to me.
5. 그 일은 네가 알아서 해.
That matter is up to you.
6. 더 이상 묻지 마.
Leave me alone.
Don't bother me any more.
7. 삐삐를 꺼 주세요.
Please turn off your beeper.
8. 너 하나도 안 변했구나.
You haven't changed at all.
9. 그건 그럴 수도 있겠지.
That could be.
Could be.
10. 따라가기가 힘듭니다.
It's hard to keep up.
11. 나한테 아부하라고 말하지 마.
Don't tell me to dance.
12. 하나 마나 한 얘기다.
It's no use saying so.
13. 어림없다.
No way.
14. 쟤가 날 귀찮게 해.
He picks me.
15.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겠다.
I can't make it.
16. 건전지가 다 닳았다.
Batteries are dead.
17. 바람 맞았다.
I was stood up.
18. 그분은 고리타분 하다.
He is an old-fashioned man.
19. 금일 휴강
No class today.
20. 오줌 마렵다.
I feel nature's call.
21. 그는 나와 먼 친척간이다.
He is my distant relative.
22. 이 코트는 너무 헐렁하다.
This coat is too loose.
23. 그는 코를 심하게 곤다.
He snores loudly.
24. 물을 튀기지 마.
Don't splash water.
25. 요즘은 자기 PR 시대다.
This is the age of self-publicizing.
26. 까 놓고 말해라.
Call a spade a spade.
27. 가슴이 두근두근 거린다.
My heart beats violently.
28. 쟤는 정신이 오락가락 한다.
His mind comes and goes.
29. 지긋지긋 하다.
It makes me sick.
30. 그는 새까맣게 탔다.
He was deeply tanned.
31. 밤참을 먹었다.
I had a nighttime meal.
32. 딱지 맞았다.
I was rejected.
33. 배가 출출하다.
I feel a little hungry.
34. 대답이 시원찮았다.
The answer was unsatisfactory.
35. 푹 잤다.
I slept like a log.
I had a sound sleep.
36. 쟤는 말썽꾸러기다.
He is a black sheep.
37. 한잠도 못 잤다.
I couldn't sleep a wink.
38. 네 나이를 생각해라.
Act your age.
39. 나이 탓이지 뭐.
It must be old age.
40. 각자 부담이다.
Dutch pay.
41. 오늘은 운이 좋다.
It's my day.
42. 오늘 재수 없군.
It's not my day.
43. 불행중 다행이다.
It could have been worse.
44. 제게 맡겨 주세요.
You can count on me.
45. 선착순이다.
First come, first served.
46. 시치미 떼지 마.
Don't look blank.
47. 주사위는 던져졌다.
The dice is cast.
48. 긁어 부스럼 만들지 마.
Let sleeping dogs lie.
49. 무소식이 희소식이다.
No news is good news.
50. 고소하다.
You asked for it.
51. 비겼다.
We are even.
52. 바가지 썼다.
I've been ripped-off.
53. 개꿈을 꾸었다.
I had a crazy dream.
54. 너 언제 철 들래?
When are you grow up?
55. 너 한턱 내라.
It's your treat.
56. 그건 손에 땀을 쥐게 하는 경기였어.
That was a breathtaking game.
57. 다리가 저려요.
My leg is sleeping.
58. 한 발 늦었다.
You missed your chance.
59. 뭐 그깐 일로 토라지니? 화 풀어.
Oh, come on. Get over it.
60. 뛰어 봤자 벼룩이다.
You are in my hand.
61. 썰렁하다.
Oh, come on. I can't laugh.
62. 아, 다행이다.
Thank God.
63. 나는 땡전 한푼 없다.
I am broke.
64. 나 오늘 머리 깎았다.
I got a haircut today.
65. 줄 서라.
Make a cue.
66. 나 어때?
How do I look?
67. 무서워 죽는 줄 알았어.
I was scared to death.
68. 아빠랑은 말이 안 통해.
I am not getting through to my father.
69. 준비운동 하자.
Let's warm up.
70. 말이야 쉽지.
Easier said than done.
71. 재촉하지 마.
Don't rush me.
72. 너 사진 빨 잘 받는다.
You look very good in pictures.
73. 넌 나한테 특별한 존재야.
You mean everything to me.
74. 첫 눈에 사랑에 빠졌다.
I fell in love at first sight.
75. 나 다이어트 중이야.
I am on a diet.
76. 발목을 뼜어.
I strained my ankle.
77. 그림의 떡이다.
Pie in the sky.
78. 망쳤어요.
I messed it up.
79. 초지일관이다.
I stick it out.
80. 소신껏 해.
Do it your own way.
81. 기 죽지 마.
Don't put yourself down.
82. 과거를 묻지 마세요.
Let bygones be bygones.
83. 이를 악 물고 견뎌 봐.
Hang in there.
84. 그들은 천생연분이에요.
They are a perfect couple.
85. 우리 선생님은 점수가 짜요.
My teacher is harsh in grading.
86. 세상 참 좁다.
It's a small world.
87. 일리가 있다.
You got a point there.
88. 정신이 없다.
I am not myself.
89. 한 번만 봐 주세요.
Give me a chance.
90. 나는 음치다.
I am tone-deaf.
91. 경우에 따라 다르다.
It depends.
92. 너 말이 지나치다.
You've gone too far.
93. 그건 식은 죽 먹기야.
It's a piece of cake.
94. 너 눈 참 높다.
You have really high standards.
95. 양다리 걸치지 마.
Don't sit on the fence.
위와 같은 표현들은 우리말을 그대로 영어로 표현하려면 그야말로 한국식 영어(Konglish)가 될 가능성이 많음으로 영어식 표현으로 잘 가르쳐 주어야 한다. 영어교사들은 학생들에게 그들이 정말 알고 싶어하는 표현을 적어 내게 해서 정확한 표현을 알려 줌으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영어학습을 하고 싶은 강한 동기를 만들어 주는데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 주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