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 우리는 민족명절인 설을 맞이했다. 이맘때가 되면 고향을 찾은 사람들이 서로 세배를 하며 ‘복 많이 받으세요’ 라고 덕담을 나눈다. 이 같은 덕담은 주로 건강, 물질, 권력, 명예 같은 구체적인 것들을 많이 누리라는 의미가 담겨져 있는 말이다.
그런 덕담이 얼마 전까지 ‘건강하세요’라는 말로 덕담을 나눈 적도 있었다. 그러나 기독교에서 말하는 복은 사뭇 의미가 다르다. ‘소유의 복이 아니라 존재의 복’이라는 것이다. 다시 정리하자면 복 이전에 복 받을 사람이 되라는 것이다.
흔히 세상 사람들이 말하는 행복과 기독교의 축복은 다르다. 일반인이 말하는 행복(happiness)은 ‘우연히 일어나다’(happen)에서 유래된 말이고 기독교에서 말하는 축복(blessing)은 '피를 흘리다’(bleed)라는 원어에서 나왔다. 따라서 축복은 우연히 주어지는 게 아니라 이미 대가가 지불된 것이다.
축복을 원하면서도 대가를 지불하지 않는다면 요행을 바라는 것과 다를 바 없다. 이는 우리가 복을 받는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누군가로부터 주어지는 것으로 생각하기 쉽다. 그런 사고로 누군가로부터 주어지는 복을 바라고 빌면서 기대감으로 산다.
그러나 복이란 돌아오는 것임을 알아야 한다. 스스로 베푼 만큼 돌아오는 것이다. 따라서 복을 많이 받기 위해서는 그만큼 복을 많이 베풀어서 그 베풂이 흘러 넘쳐서 ‘나 아닌 다른 사람’에게까지 복의 근원이 되기를 빌어야 한다.
그 같은 베풂은 부(富)의 역동적 선 순환을 제공하는 것이다. 베풂만큼 유익이 다시 돌아오기 때문이다. 비록 그 돌아옴이 물질 자체가 아니더라도 베푼 이의 마음에 깃드는 정신적인 여유로움과 영적인 상쾌함은 물질로도 환산 할 수 없는 축복이다. 이런 베푼 자의 행복감은 그의 삶에 공간을 은혜가 넘치는 정원(庭園)이 되게 하는 것이다.
그래서 구제는 행복한 투자가 되는 것이다. 그래서 참 된 평안은 자신의 소유욕을 버리고 영원한 것을 얻기위해 순간적인 이익에 집착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후회없는 삶, 좋은 것의 소중함은 지금 대가를 치르는 사람만이 누릴 수 있는 기쁨이다.
감사의 마음은 풍성함이 아닌 배고픔과 불편에서부터 시작되는 것이다. 생각과 재물욕, 명예욕을 버리고 남의 덕에 산다고 생각할 때 비로소 감사함의 마음이 될 수 있다. 항상 남을 먼저 배려하고 고마운 일부터 찾아내신 감사의 마음. 날마다 새로운 삶을 가슴속에 되새기며 ‘사랑합니다’ ‘고맙습니다’ ‘행복합니다’ 라는 마음으로 사는 이 땅의 사람들이 되어야 한다.
좋은 것을 깊이 느끼려면, 감사를 진짜로 경험하려면 눈물로 내려놓음의 불편함이 전제되어야 한다. 그래서 우리는 언제라도 절망 할 수도 있어야 한다. 그리고 그런 절망을 두려워하지도 말아야 한다. 그 절망이야말로 희망이라는 축복을 얻는 지름길이라는 것을 깨달아야 하기 때문이다.
고달픈 인생을 살면서 우리는 수 없이 절망을 하며 산다. 그래서 슬퍼하고 낙심하며 심지어는 자포자기 하면서 자살을 꿈꾸기도 하고 자살까지도 하는 아주 불행한 삶을 마감하기도 한다.
그러나 분명히 말하지만 잘못된 것이다. 왜냐하면 절망은 희망의 어머니요 희망의 출발점이기 때문이다. 절망은 주변의 도움으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또 다른 지혜이자 삶의 목포를 주님께로부터 받을 수 있는 축복이다. 우리 마음은 수천개의 채널이 있는 텔레비전과 같다. 그래서 내가 선택하는 채널대로 순간순간의 내가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채널의 선택을 어디로 돌리느냐에 따라 분노의 마음이 되기도 하고, 내 마음이 뜨겁게 되고 기쁨의 마음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일부러라도 미소를 지면 더 행복감을 느끼게 되고 슬픈 표정을 지으면 더욱 슬퍼진다’ 는 말처럼 행복과 불행, 성공과 실패, 분노와 기쁨도 마치 어떤 채널로 고정 시키느냐에 따라 미소를 짓기도 하고 슬퍼지기도 하는 것이다.
똑같은 오늘 하루인데 사람들은 특별한 날만 되면 빈자들에게 자비를 베풀며 나눔의 삶을 산다. 그나마 다행이 아닐 수 없다. “저는 하나님이 쓰시던 아주 작은 몽당연필 입니다. 깍아서 쓰는 몽당연필입니다.” 테레사수녀의 그 짧은 말 한마디가 너무나도 큰 감동을 안겨 준다.
진정으로 우리가 부러워해야 할 것은 한 사람의 부와 명예가 아니라 그 사람이 오랜 시간 흘렸던 땀과 눈물의 아름다움이다. 아무래도 내년 새해부터는 ‘복을 많이 나누세요’ 라는 인사말로 바꿔야 할 것 같다.
[시인.수필가.칼럼니스트]
※ 이 칼럼은 본지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