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칼륨혈증(Hyperkalemia)
1. serum K+ 5.0mEq/L ↑
- 급성 신부전이 있는 사람의 경우 50% 이상이 발생한다.
Tip ) 급성 신부전이란
- 신장 기능이 수시간에서 수일에 걸쳐 급격히 저하되는 것,
질소 노페물 축적, 고질소혈증, 체액 및 전해질 균형이상이생긴다.
2. 고칼륨혈증의 원인과 위험요인
① 소변배설량 감소로 체내에 K+ 정체
- 신기능 부전, 수술 후 소변량 감소, 부신피질 장애, 저알도스테론증
② 세포외액으로 K+이동
- 조직손상, 화상, 세포용해, 대사성 산증, 조직의 이화작용, 관류펌프를 사용하는 수술 후
③ 과다섭취, 칼륨 포함한 용액의 과다 투여
(★★★) 신장기능이 가장 중요 : K+ 배설의 90%이상 담당
3. 고칼륨혈증 병태생리
고칼륨혈증은 세포막의 흥분 역치를 상승시켜 세포의 흥분을 감소시킨다.
이로 인해 신경과 근육의 과민성 경감, 심해지면 근육 마미
4. 고칼륨혈증의 임상증상 및 징후 (세포흥분 과다 -> 후기로 가면 감소)
임상증상 및 징후 |
병태생리적근거 |
심혈관 |
빈맥, 부정맥, 심실세동
저혈압,
심장마비→사망 |
심근 수축의 약화 |
신경 |
감각장애, 근육의 허약감 마비, 안절부절, 금육경련, 경련, 저림 |
골격근의 신경 흥분성 증가
근육의 탈분극을 차단 |
위장관 |
오심, 설사, 장경련, 장음의 항진 |
평활근 수축과 장유동의 증가 |
신장 |
핍뇨, 무뇨 |
|
임상/진단 검사결과 |
혈청내 K |
>5.0mEq/L |
6.0mEq/L 이상이면 증상 발현 |
BUN, Cr |
|
신장기능 |
EKG의 변화(★★★) |
넓고 편평해진 P파
길어진 PR간격
넓은 QRS폭
뾰족하고 좁은 T파 |
세포막의 흥분 역치가 상승 |
5. 치료 및 중재
① K+농도의 저하
-
이뇨제 투여 : 경증
-
인슐린 + 10~25% 포도당 투여 : 중증
-
혈청에서 세포내로 이동
-
심장장애를 막기 위해 즉각적으로 치료 필요
-
albuterol IV : 혈청 칼륨농도 감소 (30분이내)
-
kayexalate(양이온교환수지) 구강 투여 혹은 정체관장
-
sodium polystyrene sulfonate
-
장관내 포타슘과 다른 양이온 교환 -> 대변으로 배출
-
신부전시 투석
② 식이요법
③ ECG 관찰
④ 활력징후, 소변량 관찰
⑤ 혈청 칼륨, BUN, Cr 관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