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권 게송을 포함한 가르침(Sagatha-vagga),
제3주제(S3) 꼬살라 상윳따 Kosala-saṁyutta,제1장 첫 번째 품 Paṭhama-vagga (속박)
제사 경(S3:9)
Yanna-sutta
싸왓티에서, 그 무렵 빠세나디 꼬살라 왕은 큰 제사를 마련하고 있었다. 오백 마리의 황소와 오백 마리의 수송아지와 오백 마리의 암송아지와 오백 마리의 염소와 오백 마리의 숫양이 제사를 위해서 끌어다 기둥에 묶어 놓았다. 그의 하인들이나 전령들이나 일꾼들도 벌을 받게 될까봐 두려움에 떨면서 눈물을 흘리며 바쁘게 [제사를 지내기 위한 여러] 준비를 하였다.
그때 많은 비구들이 오전에 옷매무새를 가다듬고 발우와 가사를 수하고(옷을 입고 발우와 가사를 지니고) 걸식을 위해서 사왓티로 들어갔다. 사왓티에서 걸식을 하여 공양을 마치고 돌아와 세존께 다가갔다. 가서는 세존께 절을 올리고 한 곁에 앉았다. 한 곁에 앉은 비구들은 세존께 이렇게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지금 빠세나디 꼬살라 왕은 큰 제사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오백 마리의 황소와 오백 마리의 수송아지와 오백 마리의 암송아지와 오백 마리의 염소와 오백 마리의 숫양이 제사를 위해서 끌어다 기둥에 묶어 놓았습니다. 그의 하인들이나 전령들이나 일꾼들도 벌을 받게 될까봐 두려움에 떨면서 눈물을 흘리며 바쁘게 [제사를 지내기 위한 여러] 준비를 합니다.”
그때 세존께서는 그 뜻을 아시고 그 사실에 대해서 이 게송들을 읊으셨다.
“말을 희생하는 제사, 사람을 희생하는 제사
말뚝을 던지는 [제사], 소마 즙을 바치는 제사
[대문을 열고] 크게 공개적으로[無遮] 지내는 제사
[이런 제사는] 많은 살생 있지만 큰 결실(공덕)은 없느니라.
바른 길을 걸어가는 위대한 선인(성자)들은
여러 가지 염소, 양, 소 등을 죽이는
그러한 제사에는 동참하지 않노라.
바른 길을 걸어가는 위대한 선인들은
여러 가지 염소, 양, 소 등을 죽이지 않는
폭력(살생.희생)이 없는 제사에는 항상 동참하노라.
현명한 자, 이런 제사 받들어 지내나니
이런 제사는 큰 결실(공덕)을 가져오기 때문이라.
이런 제사 지내는 제사의 주인에게
좋은 일만 항상 있고 나쁜 일을 없나니
[살생 않는] 제사는 위대한 것이라서
신들(하늘사람) 또한 여기에 청정 믿음 가진다네.”
saṃyutta nikāya 3
1. paṭhamavagga
9. Yaññasutta
Sāvatthinidānaṃ. Tena kho pana samayena rañño pasenadissa kosalassa mahāyañño paccupaṭṭhito hoti, pañca ca usabhasatāni pañca ca vacchatarasatāni pañca ca vacchatarisatāni pañca ca ajasatāni pañca ca urabbhasatāni thūṇūpanītāni honti yaññatthāya. Yepissa te honti dāsāti vā pessāti vā kammakarāti vā, tepi daṇḍatajjitā bhayatajjitā assumukhā rudamānā parikammāni karonti.
Atha kho sambahulā bhikkhū pubbaṇhasamayaṃ nivāsetvā pattacīvaramādāya sāvatthiṃ piṇḍāya pavisiṃsu. Sāvatthiyaṃ piṇḍāya caritvā pacchābhattaṃ piṇḍapātapaṭikkantā yena bhagavā tenupasaṅkamiṃsu; upasaṅkamitvā bhagavantaṃ abhivādetvā ekamantaṃ nisīdiṃsu. Ekamantaṃ nisinnā kho te bhikkhū bhagavantaṃ etadavocuṃ: “idha, bhante, rañño pasenadissa kosalassa mahāyañño paccupaṭṭhito hoti, pañca ca usabhasatāni pañca ca vacchatarasatāni pañca ca vacchatarisatāni pañca ca ajasatāni pañca ca urabbhasatāni thūṇūpanītāni honti yaññatthāya. Yepissa te honti dāsāti vā pessāti vā kammakarāti vā, tepi daṇḍatajjitā bhayatajjitā assumukhā rudamānā parikammāni karontī”ti.
Atha kho bhagavā etamatthaṃ viditvā tāyaṃ velāyaṃ imā gāthāyo abhāsi:
“Assamedhaṃ purisamedhaṃ,
sammāpāsaṃ vājapeyyaṃ;
Niraggaḷaṃ mahārambhā
,
na te honti mahapphalā.
Ajeḷakā ca gāvo ca,
vividhā yattha haññare;
Na taṃ sammaggatā yaññaṃ,
upayanti mahesino.
Ye ca yaññā nirārambhā,
yajanti anukulaṃ sadā;
Ajeḷakā ca gāvo ca,
vividhā nettha haññare;
Etaṃ sammaggatā yaññaṃ,
upayanti mahesino.
Etaṃ yajetha medhāvī,
eso yañño mahapphalo;
Etañhi yajamānassa,
seyyo hoti na pāpiyo;
Yañño ca vipulo hoti,
pasīdanti ca devatā”ti.
Samyutta Nikāya 3
1 Pathama vaggo
9 Yañña - A Sacrifice
1. The origin is in Sāvatthi.
2. At that time king Pasenadi of Kosala was to make a great sacrifice and five hundred bulls, five hundred young calves, five hundred young cows, five hundred goats and five hundred pigs, were fixed to posts for the sacrifice.
3. Even the slaves, messengers and workmen were made to work under pressure and punishment and they attended to their work frightened with tearing eyes.
4. Many bhikkhus putting on robes in the morning, and taking bowls and robes entered Sāvatthi for the alms round. After going the alms round and when the meal was over and returning from the alms round they approached the Blessed One, worshipped, sat on a side and said to the Blessed One:
5. “Venerāble sir, king Pasenadi of Kosala, has to offer a great sacrifice and five hundred bulls, five hundred young calves, five hundred young cows, five hundred goats and five hundred pigs, are fixed to posts for the sacrifice.
Even the slaves, messengers and workmen are made to work under pressure and punishment and they attended to their work frightened with tearing eyes.”
6. The Blessed One knowing the deep meaning, said these stanzas that moment.
“Horse sacrifices, human sacrifices, instruments and verbal mutterings,
Huge plantain trees, bearing fruit destroying these are no good.
There, goats, sheep and cattle are vividly killed,
Those are not the sacrifices, which great sages approach.
Sacrifices without trouble, where it is always pleasant
Where, goats, sheep and cattle are not vividly killed,
They are the rightful sacrifices, which great sages approach.
The wise make such sacrifices and they are of great fruit
In such sacrifices even the gods delight.
잡아함경 제46권
1234. 사사경(祠祀經)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 때 바사닉왕은 널리 큰 모임79)을 베풀기 위해 큰 대회 때문에 천 마리 황소를 줄을 세워 기둥에 매어놓고, 온갖 공양거리를 모으며 멀리 모든 외도들을 불러들이니, 그들은 모두 바사닉왕이 베푸는 큰 모임에 모여들었다.
그 때 많은 비구들이 이른 아침에 가사를 입고 발우를 가지고 사위성에 들어가 걸식하다가, 바사닉왕이 널리 큰 모임을 베풀었는데……(이 사이의 자세한 내용은 앞에서 말한 것과 같다.)……여러 외도들이 모두 모였다는 말을 들었다. 그들은 걸식을 마치고 정사(精舍)로 돌아와 가사와 발우를 챙겨두고 발을 씻은 뒤에 부처님께서 계신 곳으로 나아가 부처님의 발에 머리 조아려 예배하고 한 쪽에 물러나 앉아서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저희 여러 비구들은 이른 아침에 가사를 입고 발우를 가지고 사위성에 들어가 걸식하다가, 바사닉왕이 널리 모임을 베풀었는데……(이 사이의 자세한 내용은 앞에서 말한 것과 같다.)……많은 외도들이 그 모임에 모였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그 때 세존께서 곧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달마다 큰 모임 베풀어
그렇게 백 천 번에 이르더라도
바르게 부처님을 믿는 것의
16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하리라.
이와 같이 법과 승가를 믿으며
중생을 자애롭게 생각한다면
저 큰 모임을 베푸는 복은
16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하리라.
혹 어떤 사람이 이 세상에서
억 년 동안 복업(福業)을 베풀더라도
정직한 마음으로 예경하는 것의
4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하리라.
부처님께서 이 경을 말씀하시자, 모든 비구들은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면서 받들어 행하였다.
79) 여기에서 큰 모임이란 부처님과 불제자들을 모시고 가지는 법회가 아니라, 희생(犧牲)을 바치고 제사를 지내는 그런 모임이다.
雜阿含經
SA 1234 (一二三四) 祠祀
如是我聞:
一時,佛住舍衛國祇樹給孤獨園。
爾時,波斯匿王普設大會,為大會故,以千特牛行列繫住,集眾供具,遠集一切諸異外道,悉來聚集波斯匿王大會之處。
時,有眾多比丘亦晨朝著衣持鉢,入舍衛城乞食。聞波斯匿王普設大會……如上廣說,乃至種種外道皆悉來集。聞已,乞食畢,還精舍,舉衣鉢,洗足已,往詣佛所,稽首佛足,退坐一面,白佛言:「世尊!我等今日眾多比丘晨朝著衣持鉢,入舍衛城乞食,聞波斯匿王普設大會……」如上廣說,乃至種種異道集於會所。
爾時,世尊即說偈言:
「月月設大會, 乃至百千數,
不如正信佛, 十六分之一。
如是信法僧, 慈念於眾生,
彼大會之福, 十六不及一。
若人於世間, 億年設福業,
於直心敬禮, 四分不及一。」
佛說此經已,諸比丘聞佛所說,歡喜奉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