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세 신후담→16세 신의정→17세 신진
17세 신진(辛鎭)
생년:생년미상.8월.9일
졸년:1580년 6월 10일 선조13년 경진(庚辰)
관직:영원군수.선공판관(1577 선조 10)
증직:증 자헌대부 병조판서 겸 지의금부사
配:정부인 전주이씨 의신군 이징원 녀
평성군(枰城君) 위(緯) 손녀 효령대군이 고조부 임
생년:모년 4월 25일
졸년:1574년 3월 7일 갑술
묘: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법흥리 (교하 치서봉 현약산동 유좌원) 에서
1992년 통일동산 조성사업으로 예산으로 천묘.
충남 예산군 대술면 송석리 산 5-16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호조 좌랑(戶曹佐郞)을 지낸 신종원(辛宗遠)의 아버지로, 영원 군수(寧遠郡守)를 지냄. 마지막 벼슬은 선공감(토목 건축을 담당한 관청)의 선공판관(종5품)을 지내심.1578년 사직후 2년후인 1580년 졸 하심
신계영(종1품)의 조부로 품계가 종1품보다 한단계 낮은 정2품의 증직 교지를 받음
신진(辛鎭)의 처음 묘역과 이장 과정
왼쪽 원형건물이 파주 오두산통일 전망대 이다.중간봉우리의 산과 오른쪽 봉우리의 산이 종중산으로 가운데 봉우리가 봉화대가 있는 약산이고 신진.신탁.신현.신충언.신선.공들의 산소가 위치해 있었고 오른쪽 봉우리 산에 16세 신의정의 산소가 위치해 있었다
위 사진은 가운데 봉우리 날이며 황토흙이 보이는 자리가 신의정이 아니고 장자인 신진의 묘로 밝혀졌다 그 바로 아랬쪽에 신탁의 묘가 있었고 왼쪽 측면에 신현의 묘가 있었다 그리고 신탁의 묘 아래쪽에 신충언의 묘가 위치해 있었다
신진의 配 숙인 전주이씨 의 관
신진의 配 숙인 전주이씨 의 관 관위에 덮은 천을 걷으니 명정의 글이 나왔다
파주에서 외관을 통째로 운송해와 예산 대술에 천묘를 했다
가족 구성과 정착 상황
신진(辛鎭) 의 가족관계 형제는 신진. 신흠.신탁.신현.4형제 이다
아버지는 신준정 신의정 신세정 삼형제중 둘째 신의정 이다
할아버지 신복담.신후담.신서담 .신종담 4형제중 넷째 신종담이다
할아버지 형제중 둘째 신후담 께서 손이 없으셔서 신의정을 양자로 들이셨다
그래서 신진 4형제는 아버지(신의정) 친할아버지(신종담) 양할아버지(신후담)의 가계이다
양할아버지이신 신후담께서는 관직에서 퇴직한 노년에 예산으로 귀향하셔서 사시다가 신진4형제가
어릴때 또는 태어나기 전에 예산에서 돌아가셨고 터전인 예산 오산리에 산소를 모시게 된다
양자이신 신의정공 께서는 생부 신종담 형 신준정 동생 신세정과 서울에 사셨고
아들 4명 신진 신흠 신탁 신현 을 두셨다
그 당시 상황을 보면
할아버지 신종담. 백부 신준정. 숙부 신세정.세분이 모두 진사시에 등과를 했고 아버지 신의정공도 음사로
벼슬길에 나갔기 때문에 모두가 관리생활을 했다
그래서 아버지 (신의정) 께서 양부(신후담)와 예산에 기거하시지 않았기 때문에 신진(辛鎭) 4형제는 아버지와 친할아버지(辛從聃) 가족과 함께 서울에 사셨을 것으로 추정된다
예산의 재산은 양자인 신의정이 물려받아 수십년을 관리인으로 관리를 하다가 네명의 아들중 용량위좌부장을 지낸 둘째아들 신흠(辛欽)을 예산으로 내려보내 관리를 하게 했다
그리고 신진(辛鎭) 의 장자 신종원(辛宗遠)이 1600년 연천현감을 퇴직후 고향인 예산으로 1602년 귀향한다
예산 신암에 5년을 사시고 1607년에 신종원(辛宗遠)은 수 57세로 졸 하셨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예산에는
신의정(辛義貞)의 둘째 아들 신흠(辛欽)이 연대는 알수 없으나 처음 귀향을 했고
신의정(辛義貞)의 장손자 신종원(辛宗遠)이 1602년에 귀향을 했다
그이후로 장손인 신진(辛鎭)의 후손은 서울과 예산에 근거지를 두고 오가며 지냈으며 예산의 기반을 기존의
신암면 오산리를 토대로 대술면 송석리 일대와 예산읍 관작리 일대 등으로 근거지를 확장해 나간다
조선왕조실록
선조 11년 무인(1578) 4월 17일(무술)
이조가 군기시 정 신의충 등 용관을 도태시키다
이조가 군기시 정(軍器寺正) 신의충(申義忠), 남원 판관(南原判官) 정언식(鄭彦湜), 전적 박혼원(朴渾元)ㆍ윤반(尹泮), 봉상 주부(奉常主簿) 석경일(石擎日) 이상 용렬한 자와, 찰방(察訪) 심일명(沈日明), 장악 겸 주부(掌樂兼主簿) 이승영(李承英), 정평 부사(定平府使) 이공좌(李公佐), 결성 현감(結城縣監) 엄홍(嚴泓), 서부 주부(西部主簿) 김한순(金漢順) 이상 탐묵(貪墨)한 자와, 와서 별좌(瓦署別坐) 한세건(韓世健), 선공 감역(繕工監役) 정근(鄭謹) 이상 패려한 자와, 제용 첨정(濟用僉正) 윤택(尹澤), 돈령 주부(敦寧主簿) 이광택(李光澤), 선공 판관(繕工判官) 신진(辛鎭), 사지(司紙) 조경운(趙慶雲) 이상 쇠모(衰耗)한 자를 사태(沙汰)시켰다.
17세 신진(辛鎭)의 추증교지
손자인 19세 판중추부사(종1품) 신계영보다 1단계 낮은 정2품 자헌대부 병조판서의 증직을 받음
영산 영월 신씨 세계도
1 세 신경辛鏡
2 세 운민
3 세 영계
4 세 몽삼
5 세 각계 천계 현계 주계
6 세 백련 순현
7 세 희 극규
8 세 지화 공근
9 세 천덕재공파 혁초당공파 온부원군파 한판서공파 성렬상장군공파
10세 원경
11세예 부 순 귀
12세 유정
13세 인손
14세석조 계조 윤조 봉조 경조
15세복담 후담 서담 종담
16세 의정系子 준정 의정出系 세정
17세 진 흠 탁 현
18세 종원 종달 종일 종도 종수 종적 종괄 종술 종형
19세 계영 덕영 복영 효영 중영 준영 기영 대영 충언 충보 득영 수영 필영 기영 세영 자영 태영 두영
20세 엄 잠 연 보 지 약 절 황 찬 급 성 간 책 성 전 격 유신 재신 유 범 항 연 유 형 정 오 탁 옥 학
21세 보벽 원갑 의갑 성갑 영갑 형갑 두갑 여갑 익여 익한 익해 익박 익서 명호 대진우장
22세 수화 태화 이화 광일 광숙 광보 응화 성화 광화 상화 일 만희 삼징 원징 의한 석구 석규 석명 석하
23세
24세
25세
26세
27세
28세
29세
30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