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salms 시편 제118편 (유월절 날 예수님께서 제자들과 함께 노래하신 시편)
NLT 출처/듣기 https://www.bible.com/ko/bible/116/PSA.118.NLT
CEV 출처/듣기
Psalm 118 was the final song that Jesus sang with His disciples before going to Gethsemane and Calvary.
The Lord Is Always Merciful 주님께서는 항상 자비로 충만하시다
1
Give thanks /to the Lord, for he is good!
His faithful love endures /forever.
1
Give 드려라 thanks 감사를 /to the Lord 주님께,
for 왜냐면 he 그분께서는 is good 좋으신 때문이다!
His 그분의 faithful 신실한 love 사랑은 endures 지속한다 forever 영원히.
* 접속사로 쓰인 for /격식 ; Because; since.
* 주어를 안 쓰면 명령문이 됨
* CEV
1 Tell [the Lord] [how thankful you are],
because he is kind and always merciful.
1 Tell 말하라 [the Lord 주님께] [how 얼마나 thankful 고마우신 you 당신께서는 are 분이신지],
because 왜냐면 he 그분께서는 is kind 친절하시고 and always 항상 merciful 자비로 충만하시기 때문이다.
* 4 형식 Tell [the Lord] [how thankful you are], 간목에게 직목을 동사하다
* 직목인 의문사절 [how thankful you are],
* MERCIFUL is full of mercy : compassionate
2
Let [all Israel] [repeat]:
“His faithful love endures /forever.”
2
Let 하게 하라 [all 모든 Israel 이스라엘이] [repeat 반복하게]:
His 그분의 faithful 신실한 love 사랑은 endures 지속한다 forever 영원히.
* 사역동사 5 형식, Let [all Israel] [repeat]: 목적이 목보하게 동사하다
* CEV
2 Let [Israel] [shout],
“God is always merciful!”
2 Let 하게 하라 [Israel 이스라엘이] [shout 외치게],
“God 하나님께서는 is always 항상 merciful 자비로 충만하십니다!”
* 사역동사 5 형식, Let [Israel] [shout], 목적이 목보하게 동사하다
3
Let [Aaron’s descendants], the priests, [repeat]:
“His faithful love endures forever.”
3
Let 하게 하라 [Aaron’s 아론의 descendants 후손들이], the priests 제사장들인, [repeat 반복하라]:
His 그분의 faithful 신실한 love 사랑은 endures 지속한다 forever 영원히.
* 사역동사 5 형식, Let [Aaron’s descendants] [repeat]: 목적이 목보하게 동사하다
* 형역인 동격 명사구 the priests = Aaron’s descendants
* CEV
3 Let [the family of Aaron the priest] [shout],
“God is always merciful!”
3 Let 하게 하라 [the family 가족이 of Aaron 아론의 the priest 제사장인] [shout 외치게],
“God 하나님께서는 is always 항상 merciful 자비로 충만하십니다!”
* 사역동사 5 형식, Let [the family of Aaron the priest] [shout], 목적이 목보하게 동사하다
* 제한동격 관계 Aaron the priest = Aaron //who is the priest (뒷 명사로 앞 명사의 의미를 제한함 ; 제사장인 아론)
같은 예; John the Baptist ; 다른 요한이가 아니고 세례자인 요한
4
Let [all //who fear the Lord] [repeat]:
“His faithful love endures forever.”
4
Let 하게 하라 [all 모든 이들이 //who fear 경외하는 the Lord 주님을] [repeat 반복하게]:
His 그분의 faithful 신실한 love 사랑은 endures 지속합니다 forever 영원히.
* 사역동사 5 형식, Let [all //who fear the Lord] [repeat]: 목적이 목보하게 동사하다
* 목적인 명사구, all //who fear the Lord 명+형절/주격 관대절 (관계사=선행사=주어),
* CEV
4 Let [every true worshiper /of the Lord] [shout],
“God is always merciful!”
4 Let 하게 하라 [every 모든 true 진실한 worshiper 경배자가 /of the Lord 주님의] [shout 외치게],
“God 하나님께서는 is always 항상 merciful 자비로 충만하십니다!”
* 사역동사 5 형식, 목적이 목보하게 동사하다
* 목적인 명사구, every true worshiper /of the Lord 형/한정사+형+명+형/전구
5
In my distress I prayed /to the Lord,
and the Lord answered me and set [me] [free].
5
In my 저의 distress 심란함 속에서 I 저는 prayed 기도했고 /to the Lord 주님께,
and the Lord 주님께서는 answered 답변하셨고 me 저에게
and set 놓으셨습니다 [me 저를] [free 자유롭게].
* 일반동사 5 형식, set [me] [free]. 목적이 목보되게 동사하다
* CEV
5 When I was really hurting,
I prayed /to the Lord.
He answered my prayer,
and took [my worries] away.
5 When 그때 I 저는 was really 정말로 hurting 아픈/괴로운 상태였을 때,
I 저는 prayed 기도했습니다 /to the Lord 주님께.
He 그분께서는 answered 응답하셨고 my 저의 prayer 기도를,
and took 제거하셨습니다 [my 저의 worries 걱정을] away 멀리.
* 1. 진행형 be+v-ing, 2. be+보어/형역 현분사
* 타동사구 take away ; remove something concrete, as by lifting, pushing, or taking off, or remove something abstract.
6
The Lord is for me, so I will have no fear.
What can [mere people] do /to me?
6
The Lord 주님께서는 is for me 저를 위하십니다,
so 그래서 I 저는 will have 가지지 않을 것입니다 no fear 두려움을.
What 무엇을 can [mere 한낱 people 사람들이] do 할 수 있는가요 /to me 저에게?
* 보어인 전치사구 for me
* 의문사 및 목적을 대신하는 대명사 [What] ; [mere people] do [목] /to me
* 부정어인 no를 쓴 부정문이나 한글엔 없는 표현이므로 동사 부정으로 의역함,
* CEV
6 The Lord is on my side,
and I am not afraid /of what others can do to me.
6 The Lord 주님께서는 is 계십니다 on my side 내 편에,
and I 저는 am not afraid 두려워하지 않습니다 /of what 그것에 대하여 others 다른 이들이 can do 할 수 있는
to me 저에게.
* 보어인 형용사구 not afraid /of what others can do to me.
* 전목인 의문사절, what others can do [목] to me. (의문사=접속사=목적)
7
Yes, the Lord is for me; he will help me.
I will look /in triumph /at those //who hate me.
7
Yes 맞습니다, the Lord 주님께서는 is for me 계십니다 on my side 내 편에, ;
he 그분께서는 will help 도우실 것입니다 me 저를.
I 저는 will look 쳐다 볼 것입니다 /in triumph 승리감에서 /at those 그들을 //who hate 증오하는 me 저를.
* 전목인 명사구, those //who hate me. 명+형절/주격 관대절 (관계사=선행사=주어),
* CEV
7 With the Lord on my side,
I will defeat [my hateful enemies].
7 With the Lord 주님과 함께 on my side 내 편에 계시는,
I 저는 will defeat 패퇴시킬 것입니다 [my 저의 hateful 증오에 찬 enemies 원수들을].
* 부역 전구 With the Lord on my side,
* 형역 전구 on my side,
8
It is better [to take refuge in the Lord /than to trust in people].
8
It 그것은 is better 더 좋습니다 [to take 잡는 것이 refuge 피난처를 in the Lord 주님 안에서
/than to trust in 신뢰하기 보다 people 사람들을].
9
It is better [to take refuge in the Lord] /than to trust in princes.
9 It 그것은 is better 더 좋습니다 [to take 잡는 것이 refuge 피난처를 in the Lord 주님 안에서
/than to trust in 신뢰하기 보다 princes 제후국 왕들을.
* 가주어 It = 진주어인 부정사구 [to take refuge in the Lord].
[to take refuge in the Lord] is better /than to trust in princes.
* prince /프린스; a male royal ruler of a small state, actually, nominally, or originally subject to a king or emperor.
* 비교 princess /프린쎄스; an important female member of a royal family, 왕녀
* CEV
8 It is better [to trust the Lord /for protection] /than to trust anyone else,
9 including strong leaders.
8 It 그것은 is better 더 좋습니다 [to trust the 신뢰하기가 Lord 주님을 /for protection 보호를 위해]
/than to trust 신뢰하기 보다도 anyone else 다른 누구를,
9 including 포함하여 strong 강력한 leaders 지도자들을.
* 전치사화 된 분사 ; including ; /preposition ;containing as part of the whole being considered.
형태는 현분사이지만 역할은 전치사이고 정의도 전치사임
* 어차피 불완전한 인간신뢰는 한계에 부딪히면 패망의 저주가 임하므로 (렘 17:5) 신뢰를 잘해도 망하지만
주님 신뢰는 축복이 약속되어져 있기에 (렘 17:7) 인간신뢰 보다 억만 배+∞ 무한대로 더 좋다
10
Though hostile nations surrounded me,
I destroyed [them all] /with the authority of the Lord.
10
Though 비록 hostile 호전적인 nations 나라들이 surrounded 포위해도 me 저를,
I 저는 destroyed 파멸시킬 것입니다 [them all 그들 모두] /with the authority 권한으로 of the Lord 주님의.
* 인칭 대명사 뒤에 쓰이는 한정사 [them all] 그들 모두
* 주님의 권한을 대행한다는 것은 무소불위의 권력이기에 막강 하지만 아무나 그런 권력을 받을 수 없고
받더라도 주님께서 허락하신 범위 내에서 주님의 마음으로 수행해야 하므로 아무나 할 수 없는 특권이다
* CEV
10 Nations surrounded me,
but I got rid of [them] /by the power of the Lord.
10 Nations 나라들이 surrounded 포위했지만 me 저를,
but 그러나 I 저는 got rid of 제거했습니다 [them 그들을] /by the power 권능으로 of the Lord 주님의.
* To get rid of ; to throw away or destroy something, remove
11
Yes, they surrounded and attacked me,
but I destroyed [them all] /with the authority of the Lord.
11
Yes, 맞습니다 they 그들은 surrounded 포위하고 and attacked 공격했지만 me 저를,
but 그러나 I 저는 destroyed 파괴했습니다 [them all 그들 모두를] /with the authority 권한으로 of the Lord 주님의.
* they = hostile nations
* 인칭 대명사 뒤에 쓰이는 한정사 [them all] 그들 모두 (일반명사나 관사는 앞에 오고 all the authority, all sides
be나 조동사 뒤에 쓰임 they were all destroyed, they have all destroyed)
* 비교 ; all of them으로 쓰면 all은 대명사 역할이 됨
* CEV
11 They attacked /from all sides,
but I got rid of [them] /by the power of the Lord.
11 They 그들은 attacked 공격했지만 /from all 모든 sides 방면에서,
but 그러나 I 저는 got rid of 제거했습니다 [them 그들을] /by the power 권능으로 of the Lord 주님의.
* To get rid of ; to throw away or destroy something, remove
* 일반적으로 자기의 미약한 힘을 의지해서 싸우나 강적이라면 힘의 한계로 결국 패배라는 저주가 임하는데
마귀는 어떤 인간보다 더 강하기에 승리는 커녕 노예로 사로잡혀 곤욕치욕을 당하는 저주가 임한다 (렘 17:5)
12
They swarmed /around me /like bees;
they blazed /against me /like a crackling fire.
But I destroyed [them all] /with the authority of the Lord.
12
They 그들은 swarmed 떼거지로 덮쳤습니다 /around me 내 주변을 /like bees 벌떼같이;
they 그들은 blazed 활활 타올랐습니다 /against me 저를 반대하여 /like a crackling 탁탁거리는 fire 불같이.
But 그러나 I 저는 destroyed 파멸시켰습니다 [them all 그들 모두를] /with the authority 권한으로 of the Lord 주님의.
* 형역 현분사 crackling 현분사의 능동 주체인 fire 수식, a fire is crackling.
* 죄는 마귀의 잿밥이기에 미약한 인간이 밥먹듯 먹으니 마귀노예되는데 죄 사슬로 팔다리가 묶인 상태에서
온 힘을 다하여 몸부림 쳐봐야 죄에서 자유할 수 없는 건 죄질인간이 증명하는데 불자들이 염불을 한다해서
무당이 주문을 왼다해서 유교학자가 도덕 파이팅을 외친다 해서 기독 마술사가 기도를 주문처럼 떠벌린다면
죄성이 의지강도에 따라 어느 정도 자제되겠지만 완전 파괴되지 않고 여건이 되면 잿불에서 불나듯 재범된다
* CEV
12 They swarmed around /like bees,
but by the power of the Lord, I got rid of [them and their fiery sting].
12 They 그들은 swarmed around 떼거지로 몰려들지만 /like bees 벌떼같이,
but 그러나 by the power 권능으로 of the Lord 주님의,
I 저는 got rid of 제거했습니다 [them 그들과 and their 그들의 fiery 불같이 격렬한 sting 쓰라림을].
* To get rid of ; to throw away or destroy something, remove
* 로마 총독 관저 앞에서 군중들이 떼거지로 몰려와서 예수님을 처형하라고 외쳤다
13
My enemies did [their best] /to kill me,
but the Lord rescued me.
13
My 저의 enemies 원수들은 did 다했지만 [their 그들의 best 최선을] /to kill 죽이려고 me 저를,
but 그러나 the Lord 주님께서 rescued 구조하셨습니다 me 저를.
* 부역 부정사구, /to kill me,
* 도적마귀는 우는 사자처럼 물어뜯고 죽이려고 어슬렁거리다가 기습하여 치나 (벧전 5:8)
주님께서는 먹힌 자를 구조하여 생명을 주어 살리신다 (요 10:10)
* CEV
13 Their attacks were so fierce that I nearly fell,
but the Lord helped me.
13 Their 그들의 attacks 공격은 were so 너무나도 fierce 격렬하여 that I 저는 nearly 거의 fell 쓰러졌지만,
but 그러나 the Lord 주님께서는 helped 도우셨습니다 me 저를.
* so+형+that ; 너무 형영사해서 그 결과 that절 내용하다
* 겟세마네 동산에서 예수님께서는 홀로 피와 땀을 흘리시며 기도하시다가 거의 쓰러지실 뻔하셨다
14
The Lord is my strength and my song;
he has given [me] [victory].
14
The Lord 주님께서는 is 입니다 my 저의 strength 힘과 and my 저의 song 노래;
he 그분께서 has given 주셨습니다 [me 저에게] [victory 승리를].
* 4 형식 given [me] [victory]. 간목에게 직목을 동사하다
* CEV
14 My power and my strength come /from the Lord,
and he has saved me.
14 My 저의 power 능력과 and my 저의 strength 힘은 come 나오고 /from the Lord 주님께로부터,
and he 그분께서는 has saved 구원하셨습니다 me 저를.
* POWER is ability to act or produce an effect.
* STRENGTH is the quality or state of being strong.
* 같은 힘이라도 자기 자신에게서 나오면 저주자의 증거가 되는건 (렘 17:5) 힘 떨어지면 망할 징조인 때문이다
15
[Songs of joy and victory] are sung /in the camp of the godly.
[The strong right arm of the Lord] has done glorious things!
15
[Songs 노래들과 of joy 기쁨의 and victory 승리는] are sung 노래 불려졌습니다 /in the camp 야영지에서
of the godly 경건한 사람들의.
[The strong 강력한 right 오른 arm 팔이 of the Lord 주님의] has done 했었습니다 glorious 영광스러운 things 일들을!
* 수동태 be+pp ; are sung
* 관사+형용사=복수명사 the godly = the people who are godly
* 완료시제 has+pp ; has done 하셨고 그 영향/결과가 현재 있음
* CEV
15 From the tents of God's people come [shouts of victory]:
“The Lord is powerful!
15 From the tents 장막으로부터 of God's 하나님의 people 백성들의 come 나옵니다 [shouts 외침이 of victory 승리의]:
“The Lord 주님께서는 is powerful 강력하십니다!
* 도치문의 정상문 [shouts of victory] come / From the tents of God's people
* 하나님께서 강력하시기에 하나님의 백성들이 승리를 획득하는 것이지 자기들이 잘나고 강해서는 절대로 아니다
.
16
[The strong right arm /of the Lord] is raised /in triumph.
[The strong right arm of the Lord] has done glorious things!
16
[The strong 강력한 right 오른 arm 팔이 of the Lord 주님의] is raised 들려졌습니다 /in triumph 승리에서.
[The strong 강력한 right 오른 arm 팔이 of the Lord 주님의] has done 했었습니다 glorious 영광스러운 things 일들을!
* 하나님께서 실제로 팔이 있으시다는 것은 아니고 단지 비유임
* CEV
16 With his mighty arm [the Lord] wins victories!
The Lord is powerful!”
16 With his 그분의 mighty 막강한 arm 팔로 the Lord 주님께서는 wins 획득하십니다 victories 승리를!
The Lord 주님께서는 is powerful 강력하십니다!”
* WIN is to get possession of by effort or fortune, To accomplish by effort; achieve, effect, or execute;
17
I will not die;
instead, I will live /to tell what the Lord has done.
17
I 저는 will not die 죽지 않을 것입니다;
instead 대신에, I 저는 will live 살 것입니다 /to tell 말하기 위해서 what 그것을 the Lord 주님께서 has done 행하신.
* 부역 부정사구/결과, /to tell [what the Lord has done]
* tell의 목적인 의문사절 what the Lord has done (목), (의문사=접속사=목적)
의문사절은 의문사+평서문 어순구조로 종속절 역할을 함
* 비교 ; 의문문은 의문사+도치문+? What has the Lord done?
* 신자들은 비록 죽지만 부활 소망이 있기에 '우리는 죽지 않을 것입니다'라고 선언할 수 있고 해야 한다
* CEV
17 And so my life is safe,
and I will live /to tell what the Lord has done.
17 And so 그래서 my 저의 life 인생은 is safe 안전하고,
and I 저는 will live 살아서 /to tell 말할 것입니다 what 그것을 the Lord 주님께서 has done 행하신.
* 부역 부정사구/결과, /to tell what the Lord has done.
* 살아야 하는 가치와 의미와 목적과 유일한 이유는 주님께서 내게 행하신 구원의 역사를 증거하기 위함인데
그런 cause 명분 없이 병들고 허약한 육체로 고민고충 고생고통당하다가 쓸쓸히 죽을 거라면 너무 한심하다
18
The Lord has punished me /severely,
but he did not let [me] [die].
18
The Lord주님께서는 has punished 처벌하셨지만 me 저를 /severely 준엄하게,
but 그러나 he 그분께서는 did not let 허락하지 않으셨습니다 [me 내가] [die 죽도록].
* 사역동사 5 형식, 목적이 목보하게 동사하다
* 잘하다가도 잘못을 할 경우 처벌받는 것은 당연지사인데 안 봐주신다고 불평할 수도 있지만
처벌로 고통을 당해야 질기기 짝이 없는 놋쇠 근육질 죄성이 끊어질 것이므로 육신/죄성은 멸하되 (고전 5:5)
영혼은 죄로부터 격리되어 구원을 받게 도우시는 사랑의 매가 곧 준엄하나 죽이지는 않는 처벌이다 보는데
예수님의 처벌은 잘못해서가 아니라 우리가 잘못한 것 때문에 대신 처벌을 받으시는 속죄양 처벌로 다르고
사람들은 죽였다고 생각하지만 하나님께서는 부활로 살리셨기에 죽음을 허락한 것이 아닌 걸 알 수 있다
* CEV
18 He punished me /terribly,
but he did not let [death] [lay its hands on me].
18 He 그분께서는 punished 처벌하셨지만 me 저를 /terribly 무섭게,
but 그러나 he 그분께서는 did not let 허락하지 않으셨습니다 [death 사망이 ] [lay 얹게 its 그것의 hands 손을
on me 내 위에].
* 사역동사 5 형식, 목적이 목보하게 동사하다
* 소유격 대명사 its = death's
* 비교 it's = it is의 축약형
19
Open /for me [the gates //where the righteous enter],
and I will go in and thank the Lord.
19
Open 열어 주십시요 /for me 날 위해 [the gates 대문을 //where 그곳 the righteous 경건한 사람들이 enter 들어가는],
and I 저는 will go in 들어가서 and thank 감사할 것입니다 the Lord 주님께.
* 목적인 명사구, the gates //where the righteous enter 명+형절
* 형절/관계 부사절 //where the righteous enter 부사절 형태로 형역한다 해서 관계 부사절로 불림
* 관사+형용사=복수명사 the righteous = the people who are righteous
* 성경적인 義의 ; 뜻글자인 한자는 상부는 羊양이고 하부는 我 ; 나 '아'자로 어린양 아래 나를 두면 義가 된다
즉 어린양이신 성자 하나님, 예수님을 믿음으로 얻는 칭의稱義이고 義人만 가는 천국의 유일한 여권/입국사증인 건
의인은 믿음으로 살 듯 구원도 믿음으로만 되는 것이 천국법인 때문인데 법적으로 옳은 사람이라도 단 한번 잘못으로
법률 파괴자/불법자가 되어 법의 처벌을 받아야 하는데 하나님의 율법파괴는 죽음으로 갚는 것이 유일한 처벌이므로
one strike out이라 두 번의 기회도 없기에 단 한 번이라도 죄를 범했다면 유일한 살 길은 믿음으로 義人되는 길뿐임
* CEV
19 Open [the gates of justice]!
I will enter
and tell [the Lord] [how thankful I am].
19 Open 열어 주십시요 [the gates 대문을 of justice 정의의]!
I 저는 will enter 들어가서
and tell 말할 것입니다 [the Lord 주님께] [how 얼마나 thankful 감사한 I 제가 am 상태인지].
* 4 형식 tell [the Lord] [how thankful I am]. 간목에게 직목을 동사하다
* 직목인 의문사절, [how thankful I am]. (의문사=접속사=부사역할)
* 보어인 형용사구 how thankful 부+형 (의문사는 형용사구 일부이기에 형용사구/보어 전체가 문두로 나감)
20
These gates lead /to the presence of the Lord,
and the godly enter /there.
20
These 이런 gates 대문들은 lead 인도할 것이고 /to the presence 임재하심으로 of the Lord 주님의,
and the godly 경건한 사람들이 enter 들어갈 것입니다 /there 거기로.
* 부사 there ; in, at, or to that place or position.
* 관사+형용사=복수명사 the godly = the people who are godly
* CEV
20 Here is the gate of the Lord!
[Everyone //who does right] may enter [this gate].
20 Here 여기에 is 있습니다 the gate 대문이 of the Lord 주님의!
[Everyone 모든 이들이 //who does 행하는 right 올바르게] may enter 들어갈 것입니다 [this 이 gate 대문으로].
* 주어인 명사구, Everyone //who does right 명+형절/주격 관대절 (관계사=선행사=주어),
* 신약에서 이 문은 곧 예수님 자신이셨다
21
I thank you /for answering my prayer and giving me victory!
21
I 저는 thank 감사합니다 you 당신께 /for answering 응답하심과 my 저의 prayer 기도를
and giving 주심을 인하여 me 저에게 victory 승리를!
* 전목인 동명사구 answering my prayer, giving me victory
* 4 형식 giving [me] [victory] 간목에게 직목을 동사하다
* 참고 ; 부정사로 못 쓰는 이유 ; 의미가 불통됨
부역으로 하면 thank you /to answer, 응답하기 위하여 당신께 감사하다 (X)
형역으로 하면 thank [you /to answer] 응답할 당신께 감사하다 (X)
* CEV
21 I praise the Lord /for answering my prayers and saving me.
21 I 저는 praise 찬미할 것입니다 the Lord 주님을 /for answering 응답하심과 my 저의 prayer 기도를
and saving 구원하심을 인하여 me 저를.
* 전목인 동명사구 answering my prayers, saving me.
22
[The stone //that the builders rejected] has now become [the cornerstone].
22
[The stone 그 돌이 //that the builders 건축자가 rejected 거부한] has now 이제 become 되었습니다
[the cornerstone 모퉁이 돌이].
* 주어인 명사구, The stone //that the builders rejected (목), 명+형절/목적격 관대절 (관계사=선행사=목적)
* 불자 become의 보어인 명사구 [the cornerstone].
* 얼마나 준수하지 못했으면 건축 전문가가 쓸모없다고 버렸을까? 하는 이유는 사 53장에 자세히 쓰여있고
경건했던 나다니엘도 처음엔 무시했었고 바리새인들은 신성모독죄로 처형도 불사했고 정상적인 종교인이면
막강 로마제국 치하에서 총독의 판결로 십자가에서 연약처절하게 죽은 이스라엘의 왕을 내 왕으로 안 택하나
인간의 그것과 다른 하나님의 생각/방법이므로 (사 55:8) 사람은 사람식, 하나님께서는 하나님 식으로 하신다
* CEV
22 [The stone //that the builders tossed aside] has now become [the most important stone].
22 [The stone 그 돌이 that the builders 건축자가 tossed aside 툭 던져버린] has now 이제 become 되었습니다
[the most 가장 important 중요한 stone 돌이].
* 주어인 명사구, The stone //that the builders tossed aside [목] 명+형절/목적격 관대절 (관계사=선행사=목적)
* 타동사구 toss aside : 1. to throw away or get rid of something
23
This is the Lord’s doing,
and it is wonderful to see.
23
This 이것은 is the Lord’s 주님의 doing 행하심이고,
and it 그건 is wonderful 경이롭습니다 to see 보기에.
* 대명사 it = the Lord’s doing
* Lord’s doing에서 동명사의 주체는 주님이시라는 의미로 소유격 형태로 쓰나 부정사는 for+동작자로 쓰는데
it is wonderful to see.에서 부정사 to see의 주체/동작자 암시가 없기에 일반적인 사람들이 '보기에'가 되지만
it is wonderful for us to see.로 쓰면 우리들이 부정사의 주체가 되어 '우리들이 보기에'가 됨
* CEV
23 The Lord has done this,
and it is amazing to us.
23 The Lord 주님께서 has done 행하셨고 this 이것을,
and it 그건 is amazing 기이합니다 to us 우리에게.
* 지시 대명사 this ; 바로 전 구절에서 언급된 내용을 대신함 즉 건축자가 버린 돌을 모퉁이 돌로 만드신 그 일
* 대명사 it = this
24
This is [the day () the Lord has made].
We will rejoice and be glad in it.
24
This 이것이 is 입니다 [the day 그날 (that) the Lord 주님께서 has made 만드신].
We 우리는 will rejoice 기뻐할 것이고 and be glad 즐겁게 될 것입니다 in it 그날에.
* 보어인 명사구, the day (that) the Lord has made (목), 명+형절/목적격 관대절 (관계사=선행사=목적)
* 대명사 it = the day
* and (will) be glad in it.
* CEV
24 This day belongs /to the Lord!
Let's [celebrate and be glad today].
24 This day 이 날이 belongs 속했습니다 /to the Lord 주님께!
Let's 합시다 [celebrate 축하하고 and be glad 즐겁게 되기를 today 오늘].
* 사역동사 5 형식, Let [us] [celebrate and be glad today]. 목적이 목보하게 동사하다
* 십자가 처형이 임박한 것을 아시는 예수님께서 슬픔 대신에 이날을 기뻐하자 하신 명백한 이유는
십자가 다음에 올 부활의 영광을 미리 보신 때문이라 생각되므로 그날로 가는 오늘 이날이 기쁜데
십자가의 고통에 비하면 오늘 우리의 고생이나 잠깐의 불편함은 조족지혈이 아닐 수 없다 사료됨
25
Please, Lord, please save us.
Please, Lord, please give [us] [success].
25
Please 부디, Lord 주님이시여, please 부디 save 구원하십시요 us 우리를.
Please 부디, Lord 주님이시여, please 부디 give 주십시요 [us 우리에게] [success 성공을].
* 4 형식 give [us] [success]. 간목에게 직목을 동사하다
* 내 노력으로 하는 성공은 한시적인 내 영광/불꽃놀이로 번쩍거리다가 고통가운데 눕는 결과로 끝나지만 (사 50:11)
주님께서 주시는 성공은 우리의 영광을 주님께 영광을 돌리므로 영원한 영광이 되는데 요셉이나 다니엘이 좋은 예다
* CEV
25 We'll ask [the Lord] [to save us]!
We'll sincerely ask [the Lord] [to let us win].
25 We'll 우리는 ask 요청할 것입니다 [the Lord 주님께서] [to save 구원하시기를 us 우리를]!
We'll 우리는 sincerely 신실하게 ask 요청할 것입니다 [the Lord 주님께서] [to let 허락하시게 us 우리가 win 승리하기를].
* 일반 동사 5 형식, ask [the Lord] [to save us] 목적이 목보하게 동사하다
* 사역동사 5 형식, let [us] [win]. 목적이 목보하게 동사하다
* 주의 ; 사역과 일반 동사 5 형식의 차이는 목보가 원형 부정사구와 to 부정사구의 차이임
26
Bless [the one //who comes in the name of the Lord].
We bless [you /from the house of the Lord].
26
Bless 존귀하게 하라 [the one 그분을 //who comes 오시는 in the name 이름으로 of the Lord 주님의].
We 우리는 bless 찬송합니다 [you 당신을 /from the house 집/성전에서 오시는 of the Lord 주님의].
* Bless ; 1. To honor as holy; glorify 존귀하게 하다 2. To invoke divine favor upon: 축복하다
* 목적인 명사구, the one //who comes in the name of the Lord 명+형절/주격 관대절 (관계사=선행사=주어),
* 목적인 명사구, you /from the house of the Lord 명+형/전구
* The term translated “blessed is” comes from the Hebrew word barukh and is most often used of God.
But in Psalm 118:26 it speaks of the king figure who comes in God’s authority.
“blessed is”라는 표현은 하나님께 대하여 쓰는데 여기서는 하나님의 권한으로 오시는 왕께 쓰였다 함
* CEV
26 God bless [the one //who comes /in the name of the Lord]!
We praise you /from here /in the house of the Lord.
26 God 하나님께서 bless 축복하십시요 [the one 그분을 //who comes 오시는 /in the name 이름으로
of the Lord 주님의]!
We 우리는 praise 찬미할 것입니다 you 당신을 /from here 여기서 오시는 /in the house 집 of the Lord 주님의.
* 이 구절은 유월절 노래로 쓰이며 신약 4 복음서에 언급됨 (Matthew 21:9, Mark 11:9; Luke 19:38; John 12:13)
27
The Lord is God, shining upon us.
Take the sacrifice and bind it /with cords on the altar.
27
The Lord 주님께서는 is God 하나님이십니다, shining 빛을 발하시며 upon us 우리 위에.
Take 가지시고 the sacrifice 희생제물을 and bind 묶으십시요 it 그것을 /with cords 줄로 on the altar 제단에서.
* 삽입구인 형역 현분사구 shining upon us. 현분사의 능동 주체인 God 수식,
* Numbers 6:25, the “light” is the light of YHWH’s face.
* these lines would likely have been applied to the Passover sacrifice 출처 ; 여기
* 유월절 희생양을 먹으면서 노래하는 구절로 희생양으로 오신 예수님께서 제자들과 이 시편을 노래하셨는데
제자들이야 꿈엔들 예수님께서 참 희생양으로 오신 것을 몰랐지만 예수님께서는 자신에 대한 시편을 노래하셨다
* CEV
27 The Lord is our God,
and he has given [us] [light]!
Start the celebration!
March /with palm branches /all the way to the altar.
27 The Lord 주님께서 is our 우리의 God 하나님이시고,
and he 그분께서 has given 주셨다 [us 우리에게] [light 빛을]!
Start 시작하라 the celebration 축하를!
March 행진하라 /with palm 종려나무 branches 가지를 가지고 /all the way 완전 끝 to the altar 제단까지.
* 4 형식 given [us] [light] 간목에게 직목을 동사하다
* 부사 역할인 명사구 /all the way to the altar.
* all the way : 1. as much as possible or completely:
* 이 구절을 예수님께서도 노래하셨는데 '우리'로 표현하신 것은 예수님께서 인자로 오신 것을 암시하고
동시에 제자들이나 모든 신자들을 예수님과 동등 위치인 하나님의 자녀의 영광의 자리로 올려주시어서
예수님께서 아버지라 부르신 하나님을 우리도 아버지라 부를 수 있는 큰 영광을 누리도록 허락하셨으니
예수님의 십자가 대속으로 우리가 죄인에서 자녀된 까닭에 축하를 시작하고 종려가지를 흔들며 노래하자!
28
You are my God, and I will praise you!
You are my God, and I will exalt you!
28
You 당신께서는 are my 나의 God 하나님이시기에, and I 나는 will praise 찬미할 것입니다 you 당신을!
You 당신께서는 are my 나의 God 하나님이시기에, and I 나는 will exalt 높이 올립니다 you 당신을!
* To exalt is to hold or raise someone up to a high position or status.
* CEV
28 The Lord is my God!
I will praise him
and tell [him] [how thankful I am].
28 The Lord 주님께서는 is my 나의 God 하나님이십니다!
I 나는 will praise 찬미할 것이고 him 그분을
and tell 말할 것입니다 [him 그분께] [how 얼마나 thankful 감사한 I 내가 am 상태인지/얼마나 감사한지를].
* 4 형식 tell [him] [how thankful I am]. 간목에게 직목을 동사하다
* 직목인 의문사절, [how thankful I am]. (의문사=접속사=부사)
* 보어인 형용사구 how thankful 부+형 (형용사구에 속한 부사가 의문사로 문두에 쓰일 때 형용사구 전체가 감)
29
Give thanks /to the Lord, for he is good!
His faithful love endures forever.
29
Give 드려라 thanks 감사를 /to the Lord 주님께,
for 왜냐면 he 그분께서는 is good 좋으신 때문이다!
His 그분의 faithful 신실한 love 사랑은 endures 지속한다 forever 영원히.
* 접속사로 쓰인 for /격식 ; Because; since.
* CEV
29 Tell [the Lord] [how thankful you are],
because he is kind and always merciful.
29 Tell 말하라 [the Lord 주님께] [how 얼마나 thankful 감사한 you 너희가 are 상태인지/얼마나 감사한지를],
because 왜냐면 he 그분께서는 is kind 친절하시고 and always 항상 merciful 자비로 충만하시기 때문이다.
* 4 형식 Tell [the Lord] [how thankful you are], 간목에게 직목을 동사하다
* 직목인 의문사절, [how thankful you are],
* 참고 ; https://www.fullofeyes.com/psalm-11827/
Psalm 118 would have been the climactic psalm /sung during a traditional Passover meal (Matthew 26:30).
This means that, in all likelihood, Psalm 118 was the final song that Jesus sang with His disciples
/before He descended /into the furnace of Gethsemane and the inferno of Calvary.
이 시편은 예수님께서 겟세마네와 갈보리로 가시기 직전 유월절 만찬에서 이 시편을 제자들과 함께 노래했다 함
인류에게 구원의 길을 십자가로 열어 주신 예수님을 믿는 진짜 기독인들은 진정으로 축복받은 사람들인데
세상의 어떤 종교도 이런 확실한 구원의 길을 제시하지도 못하나 단지 전통 민족종교라 믿음을 강요하지만
한다 하더라도 인간의 방식과 노력으로 구원을 이루자 하는 것이기에 인간 한계 이상 신의 경지는 요원하며
구원의 태산을 오르고 또 오르면 야산동산 또는 험산고산 정상에는 오르겠으나 여전히 하늘아래 뫼일 거고
로켓으로 간다 한들 수억 인간들 중 겨우 몇몇만이 하늘에 오르긴 하나 물리적 하늘이 영적 하늘로 못 되는바
헛물만 켜고 땅으로 추락하는 자연현상이 모든 인위적 인간종교에서 벌어지는데 종교적 기독교도 포함된다
|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3.11.15 13:17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3.11.15 19: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