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고대 풍속 백도
中国 古代 风俗百图
중국 고대 풍속 백도체중국 고대 인민의 일상생활에서의 풍습이 나타났다그리고 민속 생활습관.
일송 폭죽
벼락 소리에묵은 해를 제하여 전염병으로 청죽을 태우다.화약이 발명된 후로는 새해에 채찍질하는 것을 멈출 수 없다.
《신이경》에 의하면.재한열. 하지만 그것은 대나무가 터지는 소리를 두려워한다.그래서 사람들은 대나무를 태워서 쫓아냈다.당나라 시인이 와서 '새역시 반지'라고 시운한다열면, 작은 뜰에도 여전히 장대재가 모인다.'송대왕 안석시:화약이 발명된 후에도, 사람들은 설날에도 여전히연연 폭죽. 범성대 '폭죽행'에서는 '절통 5척에 임금으로 땀 흘린다.어린이는 오히려 그 선봉을 서서 피하고,계격지뢰로 노호하였다.한 번 소리를 내면 백귀가 놀라고, 세 번 소리를 내면 사성이 무너진다.열 마디 소리가 백신도녕하고 팔방으로 모두 평화롭다.코크스를 주워서 침대 밑을 접으니, 아직도 그 기세를 꺾을 여유가 있다.남송에서는 화약을 초지로 싸서 두루마리 모양으로 묶는 폭전이 벌어졌다.'무림옛일':'폭투에 이르기까지 약선이 내장되어 있고, 백여가지가 계속되었다.'약실로 꿰맨 폭죽을 가리킨다.명드리순에게는 '폭죽'이라는 시가 있다.계절에 한파가 오니 만인의 머리 위에 천둥소리가 난다.'승천뢰'라고 부르는데, 북쪽에서는 '세발차기'라고 합니다.화약의 발명은 본래 평화로운 삶을 위해 쓰였다가 나중에 전쟁에 사용된 것은 인류의 불행이었다.
이송 교방자락
좋은 날의 아름다운 경치는 어찌하랴.하늘, 눈물, 즐거운 척 또 한 해.나이가 관역이 없어 기쁘고,청사에 모여 관현을 연주하다.
송대 교방 창녀원래 궁정에 속했는데, 관기를 위한 것이었다.폐교방 직명은, 대조회나 성절, 어선당 및 승전차 앞에서 연주악을 연주하고, 안부아 앞에 가서 악인을 연주하는 것과 같이......에 사기가 따로 있어 시정에서 공연하다.唱일 년 동안, 모처럼의 휴식.새해 초하루 한가할 때 혼자 즐기다.
삼명 세배편
세배는 댁에 들를 필요가 없다문, 명함을 보내서 사람을 만나다.가는 곳마다 연하장이 이러하니종이가게에 목돈을 증정하다.
송대에는 이미 명함을 사용했다세배는 '비첩'이라고 한다.집집마다 문 앞에 붉은 종이를 붙이다자루, 위에 '接福福'이라고 쓰는 것, 즉 비첩을 실어주는 용도로 쓰입니다.청파잡지재, 종종 하인이 이름을 따서 刺니다에게. 명대까지 여전히 그러하다.문징명 '세배' 시운: '만나지 않고 통알하다.나는 또한 사람에 따라 종이를 몇 장 던지는데, 세정은 간소함을 싫어하고 헛되지 않다.'청대 《연태월령》도 북경을 '월이야, 조각이 날라, 빈 차로 간다'고 표현했다.현대의 연하장, 연하장은 그 유풍이라고 할 수 있다.
사 당 매화꽃 화장
초칠인일또립봄에는 매화꽃이 이마를 긋고 색깔이 새롭다.이 몸이 함장전에 있다면수양궁리인 것 같다.
고대에는 정월 초로 되어 있었다7일은 '인간의 날'로, '사물기'는 다음과 같이 기록됩니다.동방삭은 처음에 '사람의 날'을 두었다.전설에 따르면 송무제 때 수양공주는 인일에서 함장전에 누웠고, 처마 밑에 매화가 공중에 떨어졌다고 한다.주액에는, 일종의 장식을 이루고 있다.궁녀가 이를 본받아 붉은 점액으로 '매화꽃 화장'을 한다.이 풍속은 당송으로 전해지는데, 여자들은 얼굴에 각종 도안을 많이 그렸고, '사홍'이 있었다.'靥'와 같은 명목의 립글로스에는 '만금홍, 대홍, 내가원' 등의 명목이 있다.여인이 얼굴에 그림 장식을 한 것은 춘추전국시대에 이미 일어났고, 장사에서 출토된 초나라 여인용의 얼굴에는 땡땡이무늬가 있음이 입증됐다.당나라 때 금박 화전을 얼굴에 붙이는 등 화장 패션으로 발전했다.
오진 춘반
입춘 함작춘반먹어봐, 파슬리의 싹은 부추와 함께 노랗다.서로 우료에게 이런 맛에 선물하고,과복에는 기름진 수수를 기다리지 마라.
고대에는 입춘에 있었다오신반을 먹는 풍습.《형초세시기》와 같다.재주처주운:기, 즉 마늘, 송아지마늘, 부추, 운태, 호빵이 그렇습니다'오신반은 춘반이라고도 한다.《摭》재:《동진이》오립봄날은 노약으로, 파슬리는 춘반으로 바쳤다.본초강목에서는 '오신나물은 설날이고 입춘에는 파, 마늘, 부추, 여비, 겨자, 겨자씨 등 채소를 섞어서 먹는 것으로 새로운 뜻을 얻는다'고 한다.이 풍습은 당, 송, 금, 원으로 전해졌다.원나라 예율초재의 경우 '입춘일역중 빈춘반(蒌)'이라는 시에서 연근, 완두콩, 파, 쑥, 부추황, 팬으로 춘반(。)을 만들었다고 한다.
육송 궁중 사은幡
신춘배지초셋, 오우치 은번지에서 백관 하사.아침에는 두 소매를 돌아다녀도 하늘은 향기로워지고,모자 장식이 웃음을 자아내다.
《도쿄몽화록》.:은번승, 입하필, 대귀사제.소철명나라의 기풍이 점차 동남쪽으로 변하다.환가강작은번회, 눈 밑 쑥갓은 바구니에 가득할 듯'남송은 여전히 북송풍을 따르고 있다.몽량록:모두 금은과 월병을 하사하여 赐에 매달아 조에 들어가 축하를 드린다.
칠명편춘우
해마다 봄마다 69를 치다머리와 연기가 활활 타올라 대나무가 쉴 새 없이 널려 있다.오색 깃발이 요란하게 울리고,부윤편춘우를 둘러본다.
청가록재:'선입춘일, 군수솔료는 영춘루문 밖에 유선당이 울며 청로를 울리고, 우의가 성대히 설치되어 있고, 전열사夥, 전이춘우.구경꾼은 시와 같다.안춘색편밤새도록 소란을 피우고, 시끌벅적한 목소리가 단을 치다.봄소들이 들판을 높이 떠도는데, 서린이 바사영환이다.원홍도에는 '봄맞이 노래'가 있고,영춘식이 성대한 가무 행사로 진화했음을 증명하다.명대 편춘우, 그리고 기린 매칭, 청대 연화, 더 그리기 코끼리와 춘우가 짝을 이뤄 '만상갱신'을 의미합니다.
8 당 불을 켠다
불나무 은화불야하늘, 나그네 정월 대보름날 밤에 많이 머물다.등산성교 생황이 가득하고금오방임광환.
정월 보름은일 년 중 첫째 달의 둥근 밤이므로, '원'이라 부른다.(월)야(야)'.도가는 정월 대보름날을 상원절로 한다.일찍이 한대에 이미 정월 대보름을 축하하는 풍속이 있어, 당규에 이르렀다.모양이 더 크다.정월 대보름날 밤' 시: '화수은화합, 성교철쇠가 열린다.먼지가 말을 따라가고, 밝은 달이 사람을 쫓아온다.노는 수법이 모두 짙은 자두나무로 가득 차서, 노랫가락이 온통 낙매로 가득하다.금오불야옥루도 서로 재촉하지 마라정월대보름의 시 고전이 되다.당 예종 때 원석에 등나무를 지으면 높이가 이십 장이나 되고, 연등은 오만 개이고, 이름은 불나무이다.'김오불야(金吾)'는 경성에서 이례적으로 야간 계엄령을 없애고, 시민들이 밤새 불을 켜놓을 수 있도록 해 '불놀이'라고도 했다.
구송 잠복
쌀가루 모양의 누에고치길어를 내장하고 음식을 기다리다.기쁨의 가조를 스스로 마련했지만여전히 즐겁기 그지없다.
송양만리상원밤에 속분쌀은 누에가 채색하고, 서길어가 비치되어 있다.그 가운데서도 한 살을 점하는 화복을 지잠복이라 하고, 연극으로 장구를 짓다'라는 시를 지었다.비.나그네가 또 있는 줄 아느냐? 자녀의 취사옥은 누에가 되고, 가운데는 길어를 두어 암묵적으로 기원하며, 어린 아들은 벼슬을 일찍 하기를 기원하며, 어린 딸은 누에만 잘 지내기를 바란다.운운. 이속이라고도 하지만 양만리 고향 강시길주 지방의 풍속, 즉 남방 양잠 지역의 풍속을 알 수 있다.
십명. 만병통치약성두
자매가 정월 대보름에 짝을 이루다헤엄쳐, 김오 나도 모르게 시내로 올라갔다.깊은 처녀에서 나와 온갖 병을 물리치고악양 만장루까지 이기다.
여섯 쌍의 산사람'성죽지사'비녀를 단속하면 항상 견고함을 얻는다.봉화 끝자락이 매우 가늘어, 부축하지 않아도 여장 높이 올라간다.묘사 당시 청두 여인은 정월 대보름날 밤에 두루 다녔다.성벽을 유람하는 것은 즐거운 일이다.
중국 고대 풍속은 백 도가니이다.자책막 가모
11. 청명한 필라멘트
마운팅 램프 3면 부착문제, 어깨동무하며 수수께끼를 맞히다.먼동이 트듯문사가 기민하여 의심을 풀다.
《무림구사》 등재인물과 숨은 은어, 옛 경어와 행인을 희롱한다.정월 대보름에 제성이 불야하다.봄밤에 등불 감상을 하는 모임은 백이다.연극은 진부하고 시는 미스테리를 담고 있다.촛불에 비춰서, 통로에 늘어서서 아무나 알아맞히기, 그러니까 등 수수께끼라고 해요.'좋은 수수께끼의 사람은 더욱 수수께끼의 사회를 조직한다.수수께끼의 회사는 청대에도 역시 매우 유행하였다.광서연간 죽서후사호사평사 등 수수께끼 조직이 있고, 그동안 수수께끼꾼들이 몰려 찻집 술집마다, 또는 자택에서 등롱놀이 장소로 이용됐다.연구 토론을 하거나, 불을 켜고 미스터리를 매달거나, 퀴즈를 내거나, 오락을 하는 사람들을 끌어들인다.수수께끼 램프는 사면이 있고, 3면에 문제지가 붙어 있고, 한쪽 면에는 벽을 붙이는데, 이 램프는 일명 탄벽등이다.알아맞힌 사람이 서명을 해 작은 선물을 받아 기념으로 남기다.청가진도에는 《등롱놀이 수수께끼》라는 시운이 있다.묻자면 종언을 기정사실화하는데 무슨 이익을 얻으려고 애쓰느냐
십이청 자고신
정월 대보름날 밤에 자색을 청하다.여보게, 길조를 지켜 복을 내려 주게.결국 딸의 동정으로 돌아가고,어찌 황당무계한 일을 분별할 수 있겠는가. 류샹( 刘)은 '이원(苑)'에 '자고(姑)본인 집첩, 대부(大。)의 질투'라고 썼다.정월 대보름날 감격해서 죽었다.그래서 세인은 그를 맞아들여 '자서부재(云子胥, 그 사위)', 조부인은 이미 행하여졌으니 (구름은 그 큰 부인), 시누이가 나올 수 있소'라고 축원했다.돼지우리의 옆이나 변소 옆에서 맞아들이는 것은 심한 잠을 잡는데 신이 내린 것이다.'훗날 전설이 되었다.정월 대보름날 밤, 화장실에서의 죽음은 무엇과도 같다.천제가 불쌍히 여기고 있는데, 어찌 신을 섬기겠는가.형초세시기: '그 저녁에 자고를 맞아들여, 장래 누에상을 점하고, 여러 가지 일을 점하게 될 것을 점치자.'그러므로 백성들은 정월 대보름날 밤에 쓰레받기로 그녀의 강림을 부축 형식으로 맞이하며, 그녀에게 누에와 뽕나무 풍작과 인축의 평안을 지켜 달라고 부탁하였다.육유에는 '맹춘백초령, 옛 풍습은 자고를 맞이한다.주방에서 대나무 키를 뽑고, 부인의 치마를 내민다.서가집게 부축하고 붓을 꽂아 그 책을 축원하다.만약 물증이 있다면 대답은 필요 없다.설마 시험에 합격했겠지? 웃으며 즐겁게 이야기하자.시와 문장도 간간이 지어지니 술과 음식은 필요한 대로 된다.흥망성망하여 사직하니, 누가 제 구실을 할 수 있겠는가?기녀와 부뚜막의 비녀를 잡고 붓을 내팽개치고 담장에 드러눕다.몇 자리는 이미 다 차서 과일과 채소를 마구 갈랐다.잇달아 무슨 이득이 있겠는가, 사람마다 귀신이 똑같이 어리석다.'비록 미신 활동이긴 하지만, 실은 구 사회의 불행한 여성들에 대한 깊은 동정을 담고 있으며, 그녀가 선량한 사람들을 보호하는 신력을 갖기를 바란다.
13위안 곱창
정월 초하루가 지나도 태연하다.바빠서 집집 딸은 곱창을 만든다.언제 쌍원앙새를 얻게 될 것인가. 페이설록: '북방사녀 정월 16일은 구력지 아홉길을 줄로 엮고, 머리끝과 꼬리를 어지럽히고, 띠를 잇는 자를 징조로 하여 양장을 맺는다.'
14. 완쾌문못
정월 대보름날 밤 눈은 등불을 한 번 받쳐 준다.홍, 만병통치약 후 문고리를 만진다.내년에 귀자를 낳으시기를 바라며, 이번 추위에도 불구하고 밤에 가시지 않길 바랍니다.
청월일기고권일:'연성 정월 십육야에 부녀자들이 떼지어 여행하는데, 그 앞 사람이 향을 피우고, 사람이 향기로워야 한다.무릇 다리가 있는 곳에는 모든 병을 고치는 것으로 이름지어진다.또 앞문에 박힌 못을 슬쩍 만져 보니, 중성자 조길의자였다.정월 16일은 만병통치약이고, 부녀자는 이 명절을 두고 비교할 수 있다.먼 곳은, 실로 일종의 헬스 활동이다.기혼 불임 여성들은 성에 못을 박아 '첨정(添)'의 의미로 내년에 아들을 낳기를 바란다.청이부청(都) '도문죽지사(都門竹地词)' : '여친은 연미비(金金)에 매고, 팔은 긴 소매를 들고 다리는 늦게 간다.앞문의 못을 이리저리 만지작거리니, 올해 이남은 틀림없이 누구일 것이다.'
중국 고대 풍속은 백 도가니이다.자책막 가모
15 당나라 가난을 보내다
해마다 날이 저물면 가난하게 된다.신과 수레가 끄는 풀배가 집을 나서다.술을 마시고 다시 일찍 떠나라. 가난을 보내는 풍습은 한인으로부터 이미 있었다.서한양웅에는 《빈부 추방》이 있다.'금곡원기'에 따르면 '고양씨네는 여위고 여위며, 누더기 옷과 음식을 잘 먹는다.사람이 새로운 옷을 만드는 것은 그것과 같다.금이 가서 불로 뚫고 들어가다.궁중호는 빈자라고 한다. 정월 회일 골목에서 죽는다.현인이 행패를 부리고 옷을 버린 것은, 골목에 일사(日祀)하는 것으로, 가난한 귀신을 보낸다고 한다.가난뱅이는 옷을 입고 묽은 밥을 먹고, 정월의 마지막 날에 죽는다고 한다.사람들은 이 날에 죽을 쑤고, 낡은 옷을 던지고, 버드나무를 엉겨 수레를 만들고, 풀을 묶어 배를 만들고, 골목 어귀에서 불을 질렀다.빈신을 보내고 영영 돌아오지 않길.당나라까지 이런 풍습이 있었다.만호천문견, 가난을 보내지 않는 사람이 없다.
16 송춘사
천추의 갈참나무 웃음중, 요즘 봄바람은 사공에 속한다.고기를 베어 먹고 기와를 타고 남은 바람은 남아 있고, 귀머거리들을 치료하는 것을 더욱 기쁘게 여긴다.
입춘 후 다섯 번째무일은 춘사의 날. 옛날에는 마을 단위로 사신에게 제사를 지내 풍년을 기원했다.제사 신은 먼저 회사를 세우고, 토단에 돌로 집을 쌓고, 꼭대기가 없고, '사직의 신'이라는 붉은 종이를 붙이고, 제사를 지내고 나서 고기를 사방에 뿌려 까마귀를 봉양하였다.형초세시기:회사를 결성하고, 가축을 잡아 감옥에 가두어 놓고, 나무에 집을 만들었다.하, 먼저 신에게 제사를 드리고, 그 다음에 그 胙을 누리십시오.'송매요신에는 《춘사》시운이 있다.꽃. 나무 밑에서 북을 치고, 항아리 옆에서 까마귀를 섬긴다.봄에 술을 마시고, 들에서 늙고 저녁에 술을 마시다.제비가 언제 올까, 장고가 날개를 긋고 비스듬히 서 있다.'
17 송 두초
사하가 돈을 태우는 것은 매우 비슷하다.천둥, 해가 기울자 취옹이 돌아왔다.푸른 가지가 온통 꽃망울로 뒤덮여 있어 자손의 두초가 오는 것을 알 수 있다. 범성대 《사시전원잡흥》에서 《봄날잡흥》은 일찍이 아동의 두초 상황을 묘사하였다.그림 속의 시를 짓다., 강인한 자가 이기고, 부러진 자가 패한다.
십팔 송 영부
옛 사람들은 연꽃을 따고 북을 가지고 다녔다.헤엄쳐, 오늘은 잡화가 머리에 가득하다.교외를 따라 하루를 여행하는 것보다, 부자를 맞이하는 것이 근심을 잊는다.
2월 2일에 부자를 맞다세화기리는 소가 있는 시대에 어떤 사람이 이 날 아이를 집으로 데려와서 부자가 된 적이 있다.후세 사람들은 이날 야외에서 봉엽을 따서 양자를 대신하여 문 앞에 제사를 드렸다.또 《천록적여》는 진나라가 이 날 북을 들고교외에 나가 놀다가, 아침에 나가서 저녁에 돌아와, 이름을 붙였다.영부. 남송위대옹유이월이일수녕북곽영부:꽃은 부자를 맞이할 때.
19주(정국) 풋내기
종고를 치다사귀고, 푸른 유랑을 걷는 사람은 즐거워한다.붉은 남색의 여인이 허브를 달고, 두 사람이 기쁘게 작약을 증정하다. '시경정풍'은 청년 남녀가 진두강가에서 집회를 보러 가자며 서로 웃기며 작약을 준다는 민요 '진기'가 있다.고형은 '정국풍'이라고 했다.흔히 봄의 한 명절마다(옛날은 하력삼월삼일의 상사절) 진洧이하의 변두리에,성대한 집회를 열어 남녀 산사람 아이티가 놀러 왔다.이 시는 바로 이 모임을 서술하고 있다.'실제로 정국의 상사절은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최초의 발렌타인 데이이다.나중에야 7월 7일로 옮겨갔다.
이십 진 유추 부시
문회 집계머리와 觞은 술과 곡류의 흐름을 실어 나른다.술을 마시며 시를 짓고 좋은 구절을 연호하며, 아름다운 이름을 선비에게 남겼다.
논어:춘자는, 봄옷이 기성복이고, 관은 대여섯 명, 동자는 예닐곱 명이고, 목욕은 沂을 먹고, 바람은 춤과 雩를 타고 영영 돌아왔다.'주대에는 이미 물가에 와서 더러운 것을 씻어내고, 재앙을 없애고 병을 없애려는 풍속이 증명되었다.수리란 물세탁을 지시하여 불길을 제거하는 것이다.진대에 이르러, 물컵에 가까운 것으로 변하였다.문인 모임.[삼월 삼일, 사민이 함께 강저지의 늪에서 나와, 맑은 물살에 임하여, 유배곡수의 마실 물을 마시게 하다]동진 때 왕희지(王王)는 회산 음란정(禊)에서 '난정서(兰正。)'를 편찬한 바 있다.
21 북조 답청
북국의 삼월은 봄을 감는다.바람과 향차가 끊임없이 푸른 하늘을 밟는다.유람객 누가 버들강아지를 돌보아 아름다운 복숭아꽃을 탐내겠는가. '진서(载)'재(月初)=매년 3월 초하루부터 중3까지 사람들이 밖에 나가 청을 밟는다.당대에는 더욱 성행했다.두보에 '강변답'이 있듯이푸른 물이라, 고개를 돌려 깃발을 보자.맹호연에게는 '세세춘초생, 이삼월답'이 있다.시구, 그때의 풋바람을 알 수 있다.송나라 때 청명시에 발청했다오유신의 '소제청명즉사':해 질 무렵 생황의 노래가 치워져 만 그루의 버드나무가 꾀꼬리띠다.청명답답 청춘여행의 모습을 묘사한 것이다.답청 날짜는 남북이 다르다=월령광의는 촉의 땅은 정월 초하루에, 민광은 이월 초이일, 북쪽은 삼월이나 사오월이 되어야 청을 볼 수 있다고 했다.
스물둘 당 내연찬 식사
어사냉식만궁건물, 어룡채기는 사방이 걸쭉하다.천관이 만취해도 교좌하고, 돌아오는 달 위에 금전두리.
당나라 장본인 '한식'내연' : '조광서가 궁루에 가득 차 있고, 채색 둑이 사방으로 걸쭉하다.낭하 어요리사는 찬 음식을 나누어 먹고, 성전 앞의 향은 날아가는 공을 탄다.천 관리가 만취해도 교좌에 앉아 있고, 백희가 모두 휴장하지 않았다.공경배은침야출.찬 음식이란 이미 만들어진 숙식이다.사료에 따르면, 마른 죽, 치즈,동릉죽, 깻묵, 깻묵 등.한식절에 쓰기 때문에 한구라고도 한다.당궁 내의 한식 내연은, 그야말로 최고라 할 수 있다.이른 찬 대회.
스물 셋 송 술을 짊어지다묘에 오르다
나귀를 타고 술을 마시며 조상 제사를 지내다.무덤, 가는 길에 봄빛이 눈에 가득하다.길가의 관문은 잘 던져져 있고, 장도리는 사람을 칭찬하기 쉽다.
남송양만리《삼월 삼일상충양분행으로 십절구(三三)》 시. 당시 묘소는 제소(祭)에서 식합(酒)을 가지고 교외로 나가 멍을 밟는 행사로 바뀌었고, 길 옆에는 많은 분을 때는 아이를 빚은 가루로 만들었다.'포'.
이십사 명 말백풀
온갖 꽃이 아름다움을 다투어 정원에 가득하다.방, 꾀꼬리가 노래하고 제비가 춤추는 딸 향.술 마시고 권술놀이를 즐기지 않고, 한가한 장수가 풀싸움으로 시간을 보내다. 명희우:때로 백초를 다투는 연극이 있었는데, 이것도 조상의 귀였다.고계수북이 널려 있고, 구불구불 동쪽에 깔려 있다.여러 집에서 누가 얻을까?
중국 고대 풍속은 백 도가니이다.자책막 가모
25 당 제소
한식제소총1무더기로, 바람이 불면 광야에 종이돈이 날아간다.황천은 사람의 눈물을 흘릴 줄 모른다.
형초세시기재사흘 동안 불을 끄고 보리죽을 만들다.참고: 전설에 의하면, 개자는 3월 5일에 불로 불사르고, 나라 사람들은 이를 슬퍼하며, 매 살의 봄과 저녁에 불을 들지 않기 위해서 금연이라고 한다.당왕건 '한식행':'한식가는 옛 성에서 나오고, 노인은 집을 본다.'소년은 길을 걷고, 언덕은 해마다 옛길이 없고, 차도는 산행하여 쇠초에 들어간다.목자가 소를 몰아 총머리로 내려오니, 어떤 가족이 와서 쓸까 봐 두렵다.먼 곳에서는 봉분수두제가 없고, 여인의 고모를 이끌고 고향을 찾아 절을 하기도 한다.삼일 동안 불 없는 종이돈, 종이돈은 황천을 얻되 그 위에 새 흙이 없는지를 보는데, 이 중 백골은 주인이 없어야 한다.'당나라 때 한식으로 성묘하다가 청명제와 합쳐진 일.《도쿄몽화록》: 《한식 제3일이 바로 청명하구나. 모든 신묘는 이 날을 바쳐서 청소를 한다.'
26. 탕 주마사화살
수양 김제취막중대, 건아는 마사당 앞으로 걸어간다.국가 상무는 재주가 많고 준수하여 비로소 칸첸성 제영현을 현현한다.
맹호연시사락중기왕구극
이십칠오대 탕추천
양춘의 딸은 웃는다.시끌벅적하고, 녹양영에 그네를 타다.치마가 얇고 하늘을 찌를 듯하니 창어가 9일을 내려오는 것 같다.
형초세시기'재:'정월...또 공놀이, 그네놀이.'비고금예술도운='그네모토 북방산융전'은 가벼운 연극을 배우는 자.줄타기 현목입대, 사녀현복, 좌립거상추인, 그네라고 합니다.당왕건치마가 얇으면 힘이 들고, 두 손이 새 날개처럼 허전하다.내려와서 다시 옷을 매고, 사풍을 두려워하여 더 이상 높이 올라갈 수 없다.다른 사람이 그 귀한 물건을 보내더니, 결국 도박을 하고 싸움을 걸어 스스로 일어났다.다시 높은 나무와 나란히 서자 머리 위의 보녀는 땅에 떨어진 적이 없었다.눈앞의 승리는 쉬기 어렵다.'석진지'운: '요속은 가장 청명함을 중시하고, 내원(,)에서 하사(下至)까지 그네를 세워서, 날마다 장난치며 즐거워한다.전명 이래, 이 바람은 오래되어 다시 반선희의 놀림을 받지 못했다.
중국 고대 풍속 백도자책막 가모
이십팔 청매류조목
청명하다가 갑자기 오늘에 이르다북, 길가에서 버들가지를 파는 냄새가 난다.약속은 이웃의 자매들처럼 한 줄기 비스듬히 푸른 구름을 꽂고 교태를 부린다.
《제민요술》.: '정월 대보름에 버드나무 가지를 따서 집을 지으면 귀신이 들어오지 않는다.'몽량록: '청명교삼월, 절기 이틀 전을 한식이라 하는데, 경사 사람들이 동지로부터 백오일을 세는 날이 바로 이 날인데, 집집마다 고리버들로 문에 꽂혀 있다.'나중에 부녀자들도 버드나무 가지를 머리에 씌웠는데, 속담운: '청명하다.'수양버들을 착용하지 않으면, 붉은 얼굴이 흰머리가 된다.청시인 양화유북, 길가에서 버들가지를 파는 소리가 들린다.이웃의 자매들처럼 한 줄기 비스듬히 푸른 구름이 피어오르다.'세시백문'운: '만물이 자라는 이때는 모두 깨끗하고 깨끗하므로 이를 청명하다고 한다.지청명대류(祓禊明戴)는 당 고종이 3월 3일 위양에서 임금을 내려보내고, 군신들에게는 유권이 따로 있는데, 이를 착용하면 독을 피할 수 있다고 하였다.지금은 그 유의를 스승으로 모시겠습니다
29 당욕불절
불광이 두루 비추다.안, 재송 경건사암.거사 남녀는 많이 보시고, 구래살이를 위해 선연을 맺는다.
하력 4월초8일 석가모니 생일을 맞아 불사는 이 날 경을 외우며 석가의 태자 탄생상을 향긋한 물에 담가 씻는다.당나라 때 불교 신앙이 지극히 성대하여 장안선남신녀가 이 날에 베푸는 것이 많았다.이 바람은 지금까지 송명도 그대로였다.도쿄몽화록:10대 선원 각각 목욕불재회, 향약을 부치는 설탕물을 그대로 두고 있는데, 이를 '욕불수(。水)'라고 한다.《일하구문고》:'경사 스님이 불호를 읽는 사람은 늘 콩으로 그 수를 기록한다.4월 8일 부처가 탄생하는 날까지 콩을 삶아 소금을 뿌리고, 사람을 초대하여 길에서 음식을 대접하고 인연을 맺는다고 여긴다.지금도 옛 것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다
서른 송 오채선
두리안 쑥향부적문 커튼을 치고 맹황을 마시다.粽각수술 현채이삭, 헤이안우르도 단양.
《형초세시기》.:'5월 5일'을 '욕란절'이라고 합니다.쑥을 따는 것은 사람을 위하고 문호를 걸어 독가스를 만든다.팔의 이름을 '벽병'이라 하는데, 사람을 병들지 않게 한다.주처의 《풍토기》는 '각요, 사람, 신죽을 통으로 한다.그 잎사귀의 플러그는 오채로 팔을 묶는데, 이를 긴 생명줄이라고 한다.송인여정(《人여정) '단오일즉사(。日即事)'시: '강상(江上何)에는 누가 매달려 굽어보지만 풍속은 채주가 가볍다.공재무사동아극학과주사벽오병.오병이란 활, 창, 극, 검, 고; 전란을 대표하여 주사를 묶어 피한다.후채채는 작은 호랑이, 점쑥대지진은 사악합니다.《연경세시기》:《단양에 이르기까지 규각에 재주가 있는 사람은 능라로 새끼를 만들고, 주전자와 노, 앵두, 뽕나무 따위를 채색 실로 꿰어 여자의 머리에 매달린다.
삼십일 송홍지갑
단오계 앞 채봉선,소발가반세연.딸의 가녀린 손가락을 붉게 물들이고, 핑크빛으로 검게 물들여 한층 더 빛나게 하다. 민간에 5월 단오가 있거나칠석에 봉화를 찧어 손톱을 붉게 하는 풍습.연경세시기와 같이: '봉선화 즉 투골초, 일명 네일아트'.오월의 꽃이 필 무렵에 규각 자녀들이 가져다가 찧어 손톱에 물들이고, 새빨갛게 물들어 해가 지나면 곧 사라진다.'홍량길 '12월사의 7'처럼 : '7월 7일 화장을 하고, 소랑묘에서 향기를 피우다.사비녀는 쟈스민을 만들고, 귀밑머리는 지나가는 곳마다 향을 피운다.
삼십이 료 사류
단오 기우 기우에 천장을 마련하다낙원 동남쪽은 버들빛이 푸르다.분가새가 쏜 화살이 부드럽게 빗나가 신전으로 명성을 떨치다.
《료사·예지》.재: 거란족은 기우를 위해 버드나무를 쏘는 활동을 한다.먼저 백주의 천장을 세우고, 후에 선제를 세운다.황제, 친왕, 재집차례로 유를 쏘다; 패자는 승자에게 술을 마신다.이튿날 식류천막 동남쪽에서 자제가 유삼일을 쏜다.비가 내리면 상을 주고, 후금대에는 명대에도 버드나무를 쏘는 풍습이 있다.'김사예지'재:사자는 존비(。)를 서열로 한다.버들가지에는 흰 데에서 쏘면 끊어지고, 말을 타고 손에 닿으면 챔피언이고, 못 받는 데만 두 번째이고, 그 나머지는 모두 진다.
서른셋 명 창포주
창포기 단양을 따다,미주를 빚어서 이향을 보냅니다.뿔 달린 사탕수수 시럽이 생신을 축하하는데, 어찌 취향에 들어가도 무방하랴!
형초세시기:'5월 5일 창포나 새김이나 부스러기로 술을 피운다.'당은요번시운:아무도 감개무량할 줄 모른다.당대에 이미 창포주를 마셨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창포는 '검수초'라고도 불리며 물가에서 태어난다.창포주를 만들어 성온미신의 특징을 지녔습니다.폐위 모두에 유익하면 장수할 수 있다.명나라 시인 瞿우에는 '창포주(诗)'라는 시운이 있다.금으로 만든 칼은 섬세하게 섬손을 전달하고, 옥은 가볍게 떠서 이향을 보낸다.요리는 멸치를 얼음으로 만든 것을 추천하고, 뿔로 만든 사탕수수는 풀을 먹인다.동시에 절물놀이를 하는데, 술을 마시면 어찌 취향에 들어가도 무방하다.
삼십사청 벽시계
종남진사무룡천단오절 벽이 걸려 있다.군을 믿고 사악한 무리의 추악한 무리를 섬멸하여, 귀신이 인간 세상을 교란하지 못하게 하다.
《사물기원》에서.당명황은 작은 귀신을 꿈꾼다.누구를 묻는지 신종 남진사 종려라 한다.마땅히 마땅치 아니한 것을 들며 전의 계단을 건드려 죽었으며 천하의 헛된 요악을 없애리라 맹세하였다.명황은 오도자를 불러 종을 그리게 하고, 상으로 그것을 자백하게 하였다.후민도 많이 모시겠습니다.청이복은 '종려도'라는 시를 가지고 있다.그대를 의지하여 작은 가지를 소탕하여, 인간의 귀신이 부적을 그리지 않게 하라.'단오 때의 공종을 묘사한 것이다.연경세시기: '단양시까지 가는 곳마다 자폭의 노란 종이를 써서 주인을 찍거나, 천사의 종馗을 그리거나, 오독부 주문의 모양을 그리거나, 현찰로 판매한다.도인들이 앞다투어 구입하여 문에 붙어서 악을 피하다.
35금 책말림경
삼복에 책을 시원하게 말리다.암원은 경을 거듭하여 선연을 맺다.근사신여낙상조여래세복수전.
'엘아윙' 권2형초지속, 칠월, 폭경서 및 의복은 두루마리가 오래되면 흰 물고기가 있는 줄 알았다.'위진 시대는 7월 7일에 태웠다.책, 후에 6월 6일 삼복에 책을 말리는 것으로 바뀌었다.연경세시기청판 바둑에는 《6월 6일 책 태우는 시》가 있다.
삼십육당교묘하다
칠석에 직녀가 새 화장을 해 주다,실크박스를 골라서 숨깁니다.명나라에 영롱한 그물을 쳐라.
《형초세시기》.:'7월 7일, 견우 직녀를 위한 파티의 밤.저녁 무렵이면, 다른 집의 부녀자들이 올을 따고, 일곱 구멍의 바늘을 꿰는 격으로, 혹은 몇 가지를 들추어낸다.향주와 포과가 정원에서 교묘함을 꾀하다.희자가 참외에 걸려 있다.부적이라고 생각하죠. '희자는 일종의 작은 거미를 말합니다.당유언사 칠석가: '비공로는 다시 축축해지고 꽃은 거미를 구걸한다.'두보는 견우직녀 시에도 이런 풍습을 썼다.송대 '도쿄몽화록' : '여성은 달을 보고 바늘을 꿰고, 작은 거미로 안치하고, 다음날에 보니, 그물이 둥글고 곧으면, 이를 교묘하다고 한다.'
삼십칠 송 바늘 꿰는 솜씨
공과에 분향하여 신추를 축원하다정원은 묘한 달과도 같다.해마다 규각이 직녀를 구걸하는데, 남자가 어찌 견우를 구했느냐.
주처: '7월 7일, 그 밤에 마당에 뿌려서, 이슬로 잔치를 베풀고, 주포의 시과를 치고, 향을 흩뜨려서, 강과 북을 제사하였다.'(즉 견우야) 직녀.당 시인은 칠석구교의 시운을 읊었다.옥정에서 분석을 열고 소매를 걷어올려 금쟁반을 받쳐 들다.달을 향해 바늘귀를 꿰는 것은 쉽지만, 바람을 맞으며 실을 맞추는 것은 어렵다.누가 공교로운지 내일 아침에 한번 보자.바늘귀를 꿰고 재갈을 물리는 사람은 일곱 개의 바늘을 꿰거나 아홉 개의 바늘을 꿰어 한 가닥의 색실로 연속해서 꿰는 것이 교묘하다.'취옹담록': '사실 이 바늘은 쓰면 안 돼.
삼십팔 송 공마후라
채화를 빚어 진흙을 한 덩어리 빚다금주에 화려한 의상을 입히다.어린 아들은 즐겁게 놀고, 젊은 부인은 양자를 위해 공양한다.
《도쿄몽화록》.재:송대 쑤저우 호구에는 장난감 시장이 있다, 피'호구 놀림'이라고 하는데, 흙 인형, 흙 미인, 채화 선연을 포함하여 잘 만들어졌다.항주 서호 장난감으로는, '호상토의'라고 불리며, 진흙 아이, 꾀꼬리 노래, 화호선 등이 있다.몽수록은 '내정과 귀택은 모두 맷돌을 만들어 마시고, 또 마소라라고 하는데, 아이는 모두 흙과 나무 조각으로 장식하고, 탁자 위에 화려하게 장식하고, 벽사로 가리개를 덮어 놓았다.송허연 '흙 같은 아이' 시운 : '흙 한 덩어리를 훼손하고, 치장을 하고 사치스럽게 하다.빨간 사마귀를 두 개 씌운 주방장이 꽃병의 바닥에 오똑하게 서 있다.젊은 부인은 처음 신맛을 보고 놀면 일심으로 기뻐한다.스승의 영을 몰래 빌며 자식을 낳으면 그처럼 되고 싶다
삼십구청 교침
명절에 딸이 여러 이웃과 약속하다.물그릇을 팽개치고 침을 놓다.햇빛이 용소영을 비추니 원앙여의군을 수놓는다.
《연경세시기》.: '경사 규각(京师)'은 7월 7일, 물 한 그릇을 들이밀고 해를 내리며, 각각 작은 바늘을 던지고, 수면에 뜨며, 수면 아래의 해영을 천천히 바라본다.꽃처럼 흩어지고 구름같이 움직이며 실처럼 가늘고 추추처럼 굵은 것은 복녀의 교묘함으로 인하여흔히 바늘을 잃는다고 한다.혹은 교침을 잃는다.어느 집이나 홀로 용의 그림자를 보고, 원앙불도인을 수놓았다.
사십 청백 배귀성
칠석 딸은 직녀를 축원한다,남성묘에서 퀘이싱을 배례합니다.우아과가 제1위에 올라 신저머리에 세 희생을 대용하였다.
청대의 대만 풍습,7월 7일, 여자들은 직녀를 섬기느라 바빴고, 남자들은 개를 도살하여 퀘성에게 제사를 드리고, 퀘성은 장원의 신을 점취하기 위해, 제사를 지내느라 바빴다.과거고등학교에 진학하기 위하여 그것을 배례하고 관운이 형통하다.청정대추문 '대만죽지사칠석' 시운: '오늘 밤 소와 딸은 좋은 시절을 보내고, 해외에서는 까치가 가지를 밟지 않았다.백정 제괴가 밑거름이 되니, 연을 맺고 콩을 삶아 언제 기다리느냐.'첸치(《) '대만 죽지사배문창(·文昌)' 시운(:) : '오채정 앞은 칠모, 세 마을은 배문창(。文昌)'이다.다리가 오작을 메우고 별이 연달아 싸우는 격으로 하늘과 땅이 제각기 바쁘다.현지인들은 직녀를 '칠모'라고 부르고, 문창은 문곡성이라고 부르며 문운의 신을 관장한다.
사십일 원 우란분도장소
도장 초도 안망혼원래는 우란이 살아 있다.경찬 중원은 문수를 붙이고, 술과 바다와 고기와 산과 산과 산과 산과 산과 산과 산과 산과 산과 산과 산 사람과 같이 살아 있는 사람을 칭찬하였다.
7월 15일, 도집은 '중원절', 불가는 '우란분절'로 불린다.몽량록:승니사원이 재를 놓아 제도한 것을 세조 주원의 날이라고 한다.그 날.승사는 또한 이 날에 우란분회를 지어, 주의 돈쌀을 그대로 베푼다.'우란분'은 산스크리트어로 '덩굴을 풀어놓다'는 뜻이다.보통 도장에는 외양간을 두고, 땅에서 6척, 넓게는 156평방미터에 각 집마다 세 마리의 희생과 다섯 마리의 희생, 산해진미 등이 늘어서 있고, 그 위에는 '푸얼음광(普光)'이 꽂혀 있다.방염구 의식이 끝나자 군중은 제물을 뺏어가며 이를 '고인을 빼앗는다'고 하였다.획득한 작은 깃발은 출해의 호신부로 간주된다.
중국 고대 풍속은 백 도가니이다.자책막 가모
사십이 명 호등
가벼운 배가 출렁이고 옥파징이 일다.중원우란에 호수등을 띄우니 범패가 생황관운을 타고 고찰 동산월이 다시 오른다.
중원절에 호수를 띄우는 등불이 있다.그 풍습. 이 풍속은 송나라에 이미 있었으나, 당시에는 '차내시의 용산에의 강의 등불 만개'였다.'양주화애록':'꽃불을 놓으면, 중야에 배를 띄우고, 불을 켠 것을 원석처럼, 이를 '우란분회'라고 한다.강남 중원절을 맞아 부녀자들이 배를 사서 우란방염구(盂)를 만들고, 등불 수면을 피워 승부수를 던졌다.연경세시기: '지중원일, 예는 우란분회, 모가 역, 사자제서커스가 있다.밤에 강을 따라 등불을 켜는 것을 '하등을 켜는 것'이라고 한다.청장(。)에는 尨(西枝)의 《서호죽지사·방호등(西湖)》시가 있다.호수등, 즉 작은 판에 색종이로 연꽃 모양을 만들어 촛불을 가운데 켠 것을 일명 '물갈등'이라고 한다.전설에 따르면 수상방등은 망혼을 위한 길이라고 한다.
사십삼청 연잎등
달이 중원에 이르면 길길이 훤해진다.아들은 연잎 램프를 들고 경쟁했다.무리를 지어 골목길을 거닐고, 은화가 만 점 불성 같다.
《연경세시기》.: '중원 황혼 이후 골목길 어린이는 연잎연등으로, 길을 따라 '연잎등, 연잎등, 오늘은 점등합니다.'내일이 지나면 던져진다." 또 청쑥으로 향을 붙여 타는 것을 보니 마치 만점류 반딧불과도 같았는데, 이를 '쑥등'이라고 부릅니다.시인들의 교묘한 재주를 가진 사람들은 또한 여러 가지 색종이로 연꽃, 연꽃잎, 꽃바구니, 학로의 모양을 만들었는데 이를 연꽃등이라고 부른다.'일하구문고':'연잎등제'는 원명 이래 있어왔고, 지금도 그 옛날을 답습하고 있다.'차신행(京原中词) 《경사중원사(京师中中)》 : '만병홍등이 푸른 비단을 휘감고 정자가 바람을 받아 비스듬히 덮는다.온 도시의 연꽃잎은 비싸게 팔리고, 중원 손 세는 꽃은 셀 수 없다.팡멍어린아들이 푸른 연잎을 놓고 경쟁하며, 만 점의 은화가 흩어진 도시를 이루다.
중국 고대 풍속은 백 도가니이다.가막 가모
사십사청계관조상에게 꽃을 바치다
조상의 병에 닭의 관화를 꽂는 격으로 하나.시풍이 경화로 가득 차 있다.
계관화송대에 이미 유행하였다.식.이 습관은 청대에까지 남아 있다.《풍창소서》: '닭관화汴에서 손 씻는 꽃이라고 하는데, 중원절 전에는 어린이가 조상에게 노래하여 판다.'또 다른 제조날이 있어 십 월 초하루에
사십오 료 개 도살수렵
흰 개를 골라서 매점하다.매를 끌고 나가서 驺을 사냥하다.문득 어모에 붉은 잎이 꽂혀 있는 것을 보고 오늘이 입추라는 것을 알았다.
《료사·예지》.: '8월 8일, 요속 백견은 침상 앞에서 일곱 걸음을 걸으며, 그 부리를 드러낸다.그 후 7일 후, 중앙이침은 그것으로 계산되었다.상.입추일에는 한인도 전여성 서호유람지여와 같은 비녀의 바람을 가지고 있다.또는 석남의 단풍잎으로 꽃잎을 잘라서 귀밑머리에 박음질하여
사십육 당 초승달
화장루와 거울이 달맞이를 하다.창어를 다시 구걸하여 미용에 힘쓰다.나방의 눈썹은 초승달이 지금과 비슷해서 마치 물살처럼 무정함을 감탄한다.
당나라 때 부녀자가 초승달에 절하다청춘의 상주를 기원하는 것이 많다.상호:'가인은 색깔을 아낀다.해 질 무렵에 화당을 나와 계단을 내려가 초승달에 절하다.중당대역재자 길중복의 부인 장씨는 초승달을 배신하고 달나라 누각을 배례하며 경시안대 나방미를 서로 마주하고 있다.동가의 아모도 달에게 절을 하고, 절을 하면 슬픔이 끊어진다.예년에는 달에게 절을 하더니 지금은 달에게 절을 하며 눈물을 흘리고 있다.백년초월초승달 인사를 하는 것은 젊은 여성의 일인 것 같다.
사십칠 송추사
사고가 칠 때 모이다신반이 고기를 나눠서 배치하다.이번에 풍년을 축하하며 술취한 늙은이가 웃는다.
입추 후 5번째 무히, 요신야가 등장하는 8월은, 아키샤를 위한 것이다.육유에는 《추사》시운이 있다.북은 쿵쾅쿵쾅 절에 돌아오고 또 신은 고기를 가르는 것을 보았는데, 기러기의 추위를 견디지 못하였다.책은 하루 종일 심심풀이로 쓰지 말며 술은 귀머거리 치료를 위해 한 잔 취한다.경호의 한없는 광경을 기억하고, 꽃망울을 떨구고, 요요꽃을 피운다.사육시운:굶주린 까마귀가 거리의 나무를 모으고, 늙은 무당이 절 문을 세운다.비록 짐승 같은 것은 없지만, 옛 예물도 조금은 남아 있다.취귀여유추사의 떠들썩한 장면과 노인의 심정을 묘사했다
구십 송 와자내설서
기와의 강평서를 한가하게 듣고,분괴의 전설이 번독보다 낫다.폭죽과 불꽃이 모두 군중을 즐겁게 하는 것은 모두 이로운 말로 교토를 칭찬하는 것이다.
몽량록:경사를 논하라: 말하는 이는 설변이라 하는데, 비록 네 집 수를 가지고 있지만, 각기 문전이 있다.게다가 소설 제목은 "은자"인데, 마치 연기 같다.분, 영괴, 전설, 공안의 박도봉 발자취 참사, 담담자.연경을 논하는 자를 연설 불서라고 한다.또 경전을 말하는 사람은 ...사서를 말하는 사람은 통감, 한·당 역대 서사문전, 흥폐쟁전의 일을 말한다.사가수(即家说话)란 곡예(诨)에 대해 말하는 분류이다.은자연분은 불꽃, 사랑 이야기, 영괴는 귀신 이야기, 경은 익살스러운 랩을 말합니다.
구십일 송괴극
마을 어귀에서 꼭두각시를 보며이야기를 또 한 번 재연하다.노래하고 춤추며 억지를 부리다.
《도쿄몽화록》에서이미 '장두괴뢰, 현사괴뢰, 약발괴뢰' 등의 이름을 실었다.몽량록:분·영괴·철기·공안·사서 역대 군신들이 이야기의 화본을 만나거나, 역사를 말하거나, 잡극을 하거나, 절벽의 가사와 같은 이야기를 한다.현수괴뢰와 같이 진평육기한 해방 이야기에서 비롯되었는데, 현재는 금선노대부, 진중희 등이 있어 진무이와 겸비한 것이 특히 좋다.더 장두괴괴괴한은 유소복이 射가를 쏘고 果을 세는 것으로, 그 물괴뢰는 야오가 선을 만나고, 사이보가 형, 왕길, 김시호 등이 있어 백영백도하였다.겸지수백희, 왕래 출입지세, 규모춤, 어룡변화탈진, 공예여신.
92 금주루창곡
길이 어긋나서 하늘이 무너져 내리고술집에서 자리를 잡고 청음을 부르다.허들창에 들어가지 않고 들창을 치는 격으로 딸은 도진을 연주한다.
내덕옹: '각색의 길동무가 이 자리에 있다.'길흉화《무림옛일》운허들에 들어가서 넓은 곳에서만 마당질을 하는 것을 '야박질'이라고 한다.노천에서 기예를 팔거나 '야화질'이라고 한다.'요산당 외기'는 항저우(杭州州)의 여창소설 평을 '도진(。)'이라고 한다.
구십삼 청
풍년이 들면서 묘가를 부르며수호 영웅 모연이 많다.문무 양반은 추준이로 나뉘고, 북을 치며 锣과리를 친다.
청대의 높은 시소는 속칭 모라고 한다.가.왼쪽은 무송, 오른쪽은 장청, 어옹은 응우옌, 둘째는 나무꾼 석수, 못난 북은 시천, 준고 양웅, 못난 징은 큰 형수, 준징 손은 둘째, 추한 부채는 왕영준.이후 청사, 백사, 허선, 못생긴 여인, 바보 등을 넣어 20세기 들어 양산 영웅의 전통을 일찌감치 칭송했다.
구십사청자제서
태평가사 자제서시작의 묘한 말이 마치 구슬이 이어져 있는 것 같다.단현패곡 팔각고는 풍송시 京都에 가득 차 있다.
청대 초기, 출정한팔기자제는 속곡, 무가 등의 곡조를 취하여 가사를 지어서 부른다.전설에 의하면 건륭 때에 개선한 아계부 군사가 바로 팔각을 썼다고 한다.북 치는 이러한 속곡을 불러 무공을 칭송하고, 군사들이 말을 타고 상경하여, 채찍으로 镫를 치고, 걸으면서 천하태평을 노래하는 것을 태평가사라고 하여 경성이 떠들썩하게 되었다고 한다.이후 팔기자제 군악을 바탕으로 팔각고 반주에 의한 랩 형식의 '팔기자제서'를 형성했다.팔각고는 만주 악기로, 전설에 의하면 팔기의 여덟 수령이 각각 좋은 목재를 한 개씩 바쳐 상감하였다고 한다.이용은 고림의 서사서론 서문에서 신해하(건륭56년) 선도문, 이른바 자제 서자라는 말을 들어야 했다.천지우문(天地偶)='구일고사(旧日鼓)'는 '자제서자(子轫)'라는 것이 있는데, 팔기자제(。子弟)에서 시작한다.그 말은 고상하고 순하고, 그 소리는 온화하며, 동성조, 서성조의 구분이 있다.'자제서는 문인의 참여 하에, 그 예술을 향상시켜 금을 함유하고 있다.양, 많은 곡목을 창작하다.청말에, 자제의 책은 성에서 쇠로 변했고, 그 곡본은 북방의 여러 큰 북에 의해 채택되었다; 일부곡조는 또한 거울로 흡수되고, 어떤 곡패는 여전히 단현창강에 남아 있다.
95청평고
태평년 동안의 태평고,때리면서 노래하면서 춤을 추다.구강십팔조를 돌려 조상에게 신을 섬기며 다복을 빈다.
태평고의 기원은 두 가지이다일설:일단 한족은 일찍부터 있었는데 송대에서는 끊어졌다고 하고, 명대에는 태평고라고 한다.북은 복숭아 모양을 하고, 양가죽이나 여러 층으로 덮여 있다.고려지; 또는 둥근 모양을 하고, 북 가장자리에 융구를 박고, 쇠자루 아래 고리를 달아 중투리 모양으로 만들었다.하나는 만주족인 사만이 조상의 굿에 제사를 지낼 때 쓰는 단고(单)로 타원형 모양을 하고 말이나 나귀 또는 양피를 덮어쓴 데서 유래하였다.청하이 '연태죽지사' : '쇠고리는 울리고, 북은 부풀어오르고, 춤은 무리를 이루며 점점 끝이 난다.태평하면 다 코끼리가 된다.
중국 고대 풍속은 죄의식을 백 번 기도하였다.막가모사
구십육청 장님이 길을 가다기예를 팔다
운명이 순탄하고 장님수법을 배워 자신을 기르다.비바람을 맞고 골목길을 걷다 보면 굶주림과 추위를 면치 못하고 청빈함을 지킨다.
《요산당 외기》재항저우의 여창소설 평을 도진이라고 한다.구사회 맹인의 경우, 일반적으로 두 가지 직업만 있을 뿐이다: 곡예나 계산명. 곡예는 시조소곡, 유명한 곡단, 장편 평탄 등을 포함한다; 점치는 것은 팔자평결, 합혼혼, 세비유년 등을 포함한다.곡예를 겸업하는 자는 삼현을 소지하고; 전문 점쟁이는 작은 징을 치고, 징을 쳐서 '보군지'라고 이름짓고, 또는 횡적을 불거나 대나무 판을 친다.
구십칠 당 자청
장안의 소년은 영웅이 많고,팔굽혀펴기를 하여 푸른빛을 조각하다.오색찬란한 것이 얼마나 기묘한가.
시퍼렇게 멍든 것은 고대 문신 바람이었다속된 유적은 많은 민족이 다 가지고 있었다.고서에는 주대의 월인 즉, 머리를 풀어헤친 문신이 기록되어 있다.그 후 민간의 자칭은 옛 토템 숭배에 대한 내용이 없었다.당나라 민간에서는 특히 자청(,)이 유행하였는데, 이때는 '찰청(札)점청(点)피부찰(,)'구경(。)이라고 하였다.가시의 내용은 다양한 도형, 문자, 그리고 인물 불상 등이 있습니다.《유양잡제》에는 《형주거리 자갈청(,)》이 목 아래 있고, 백거이시(。)에 두루 있다.단성식과 형객진지호관지.등에도 암기할 수 있는데, 그 삿갓을 거꾸로 가리키면, '꽃 속에 국화를 좋아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하면 한 사람이 잔을 들고 국화밭에 모이는 것을 볼 수 있고, '노란 집은 잎이 있다.'라고 하면 나무 한 그루, 나무 위에다.범찰 30여 수는 몸에 만신창이가 되어 있다.진지는 '백사인행시도'라고 불렀다.당대의 자청의 기술 수준은 이미 매우 높고 절묘하여, '또 왕력이 있다.노예는 돈 오천에, 소공 삿갓은 가슴과 배를 산으로 삼았다.못정원《수호전》에서 구문용사진, 낭자연청등이 모두 몸에 좋은 꽃과 수를 찔렸다는 것은 송대에 여전히 가시가 푸르렀다는 것을 말해준다.송 후 드물다.지금까지 일본에 전래 당나라 때 문신이 아직도 온몸. 가시가 그래픽 5컬러
구십팔 진 투계
닭과 개를 잡으려고 다투고,양다리를 걸치다.깃털이 날고 승부가 갈려 마침내 기쁨 속에 있다.
싸움닭은 전국시대에 이미성행하고 있다.닭, 주구.한식 투계는 위진 때 특히 성대했다.응수의 닭싸움 시에서는 이부조오, 군계환천.두 갈래 거리가 길어지고, 적륜을 앞지르며 기뻐하다.머스터드와 장금간격으로 연전연승하다.아침부터 낮까지의 승부는 아직 갈 길이 없다닭싸움은 당나라 때 까지만 해도 번성했다.꽃술부인 궁사: '한식 청명소전 옆, 채루쌍투계장.안사람은 어를 대하고 분명히 보는데, 먼저 홍라를 걸면 열 침대가 된다.'
아흔아홉
노란 털에 빨간 엉덩이에 작은 호빵,덤프 기어가는 막대기가 바퀴를 밟는다.모자를 머리에 이고 양을 휘두르며 말을 만들고, 미녀로 분장하여 사람을 웃게 한다.
한대 화상석중백희그림 속에 원숭이의 형상이 들어 있는데, 우리나라 원숭이 길들이기의 역사가 매우 이른 것을 알 수 있다.지금까지 명청할 때, 원숭이 놀이는 대부분 생계를 도모하는 계략이었다.난강호. 원숭이 놀이꾼은 멜대 하나, 상자 두 개, 양을 끌고 다니며 조수를 데리고 십자죽대를 메는 경우가 많다.장소를 고른 후 징을 치며 사람을 안내하다.보통 원숭이는 힘줄을 넘어뜨리거나 물을 메거나, 줄다리기를 하거나, 상자를 열고 가면을 쓰고, 연극 의상을 입고 걸어요.연경세시기: '원숭이를 놀리는 자는 나무 상자 안에는 깃털로 만든 감투와 감투가 숨어 있고, 원숭이 손은 스스로 상자를 열고, 쓰고 앉아 있는 것이 마치 관가의 배열과 같다.원숭이 인구가 비속가를 부르면 억양이 듣기 좋다.옛날부터 원숭이를 감는다고 하여 관을 쓰는 격으로 이것을 가리켰다.나머지 쟁기를 잡고 말을 달리면 모두 사람의 지휘를 받을 수 있다.쟁기를 부축하는 자는 소를 대신하고 말을 달리는 자는 양을 말에서 바꾸어야 한다.'
백 송이 귀뚜라미
내막은 한가롭고 작은 벌레를 사랑하며비싼 값이면 옥성을 숨겨야 한다.악을 사귀는 것은 모두 이성 다툼에 의해, 격투를 불사하고 영웅 행세를 하는 것이다.
《연경세시기》:'7월 중순에는 귀자가 수금한다.백마두, 황마머리, 게맛살, 비파 날개, 매화꽃이 있다.날개, 대나무 마디, 수염의 차이를 가지고 싸울 수 있는 것.상등의 귀뚜라미는 주인들이 모두 거금을 아끼지 않고 구입하면 명충은 반드시 청백색 흙동이로 저장한다.'귀뚜라미통에는 영락관요, 조자옥, 담원주인, 정헌주인, 홍징장, 백징장(白)의 구별, 가자(。) 수십 금쌍이 있다.'각각의 캔 안에는 암컷 귀뚜라미가 교미하는 '동방'으로 작은 부채꼴 모양의 과롱을 넣어야 합니다.칭다이 베이징은 동지를 기다리며 이날까지 충회우(传统的會)로 전통적인 '봉분(。).재작년 귀뚜라미는 24캔을 1棹로 하고, 두 전에 귀뚜라미의 크기를 비교하고 같은 등급의 즉 크기가 비슷한 경우에만 결투를 하도록 했다.같은 몸무게의 수컷 귀뚜라미 두 마리가 일단 두대야로 옮겨지면, 그들은이번에 '연적'을 찾아, 만난 후 바로 서로를 만났다.서로 싸우고 싸워 이기는 귀뚜라미는 모두 '장군'이라는 칭호를 가지고 있다.승패는 또한 판돈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월병이나 물 몇 근이다.과, 주로 일락을 추구하고 있다.
中国古代风俗百图体现了中国古代人民的日常生活习俗以及民俗生活习惯。
一 宋 燃爆竹
霹雳声中旧岁除,为惊疫魃燃青竹。一自火药发明后,难止新年放鞭俗。
据《神异经》载:西方山中有山臊,犯之则令人寒热。但它怕竹子爆声。于是人们烧竹来赶走它。唐代诗人来鹄诗云:『新历才将半纸开,小庭犹聚爆竿灰。』宋代王安石诗:『爆竹声中一岁除,春风送暖入屠苏。』在火药发明之后,人们在春节仍然燃爆竹。范成大《爆竹行》中描写燃爆竹的过程:『截筒五尺煨以薪,节间汗流火力透,健仆取将仍疾走。儿童却立避其锋,当阶击地雷霆吼。一声两声百鬼惊,三声四声鬼巢倾。十声连百神道宁,八方上下皆和平。却拾焦头叠床底,犹有馀威可驱疠。』在南宋出现用草纸裹火药扎成卷形的爆仗。《武林旧事》:『至于爆仗,内藏药线,一连百馀不绝。』此指用药线串在一起的鞭炮。明代黎淳有《爆竹》诗:『自怜结束小身材,一点芳心不肯灰。时节到来寒焰发,万人头上一声雷。』所咏的是『升天雷』,北方称为『二踢脚』。火药的发明,本是为和平生活用的,后来用于战争,乃是人类的不幸;用于侵略战争,更是人类的大不幸。
二 宋 教坊自乐
良辰美景奈何天,泪眼装欢又一年。堪喜岁首无官役,相聚青楼奏管弦。
宋代教坊妓女原属宫廷,是为官妓;『绍兴年间,废教坊职名,如遇大朝会、圣节,御前排当及驾前导引奏乐,并拨临安府衙前乐人……』另有私妓,在市井演唱。官府有事,如设酒库卖酒,为招揽生意,『官私妓女,顾倩只应』。一年之内,难得休息。只有新岁初一有空闲自娱。
三 明 拜年送名片
拜年不必进府门,送上名片抵见人。各处贺岁皆如此,赠予纸店大笔金。
宋代已用名片拜年,称为『飞帖』。各家门前贴一红纸袋,上写『接福』,即承放飞帖之用。《清波杂志》载:『元祐年间,新年贺节,往往使用佣仆持名刺代往。』到明代仍然如此。文徵明《拜年》诗云:『不求见面惟通谒,名纸朝来满敝庐。我亦随人投数纸,世情嫌简不嫌虚。』清代《燕台月令》也形容北京『是月也,片子飞,空车走。』现代的贺年片、贺年卡,可以说是其遗风。
四 唐 饰梅花妆
初七人日又立春,梅花点额颜色新。此身若在含章殿,疑是寿阳宫里人。
古代以正月初七日为『人日』,《事物记》载:东方朔最初置『人日』。传说宋武帝时,寿阳公主在人日卧含章殿,檐下梅花飘落在公主额上,形成一种装饰;宫女效之,以红点额为『梅花妆』。此俗传至唐宋,妇女多在脸上画各式图案;有『斜红、面靥』等名目;涂唇有『万金红、大红、内家圆』等名目。其实,妇女在脸上点画装饰,早在春秋战国时已经兴起了;长沙出土楚国女俑的脸上就有圆点的图案可证。到唐代发展为往脸上贴金箔花钿,成为一种化妆时尚。
五 晋 馈春盘
立春咸作春盘尝,芦菔芹芽伴韭黄。互赠友僚同此味,果腹勿须待膏粱。
古代在立春有吃五辛盘的风俗。如《荆楚岁时记》载:『元日,……进屠苏酒,下五辛盘。』周处《风土记》:『元日造五辛盘。』注云:『五辛所以发五藏之气,即大蒜、小蒜、韭菜、云苔、胡荽是也。』五辛盘又称春盘。《摭遗》载:『东晋李鄂立春日命以芦菔、芹芽为春盘馈贶。』《本草纲目》中说:『五辛菜,乃元旦、立春以葱、蒜、韭、蓼蒿、芥辛嫩之菜杂和食之,取迎新之意。』这一风俗传到唐、宋、金、元。如元代耶律楚材有《立春日驿中作穷春盘》诗,其中说到用藕、豌豆、葱、蒌蒿、韭黄和粉丝作春盘。
六 宋 宫中赐银幡
新春拜过至初三,大内银幡赐百官。朝回两袖天香满,帽饰招得笑语喧。
《东京梦华录》:『春日,宰执亲王百官,皆赐金银幡胜,入贺讫,戴归私第。』苏辙《除夜元日省宿致斋》诗云:『今岁初辛日正三,明朝风气渐东南。还家强作银幡会,雪底蒿芹欲满篮。』南宋仍沿北宋风习。《梦粱录》:『立春日,宰臣以下,皆赐金银幡胜,悬于幞头上,入朝称贺。』
七 明 鞭春牛
年年春打六九头,烟火爆竹放未休。五彩旌旗喧锣鼓,围看府尹鞭春牛。
《清嘉录》载:『先立春一日,郡守率僚属迎春娄门外柳仙堂,鸣驺清路,盛设羽仪,前列社夥,殿以春牛。观者如市。』明周希曜《宝安春色篇》:『掀天爆声彻夜闹,沸地歌喉板敲檀。春牛高拥巡陌上,瑞麟婆娑影盘桓。』袁宏道有《迎春歌》,证明迎春仪式已经演化为一种盛大的歌舞活动。明代鞭春牛,还有麒麟搭配,清代年画,更画出大象和春牛作伴,取意『万象更新』。
八 唐 放灯
火树银花不夜天,游人元宵多留连。灯山星桥笙歌满,金吾放禁任狂欢。
正月十五日是一年中第一个月圆之夜,故称『元(月)宵(夜)』。道家以正月十五日为上元节。早在汉代已有庆贺元宵之俗,至唐规模更为盛大。苏味道的《正月十五日夜》诗:『火树银花合,星桥铁锁开。暗尘随马去,明月逐人来。游伎皆浓李,行歌尽落梅。金吾不禁夜,玉漏莫相催。』成为元宵诗经典之作。唐睿宗时元夕作灯树高二十丈,燃灯五万盏,号为『火树』。『金吾不禁夜』是说京城破例取消夜间戒严,允许市民逛灯三整夜,又称『放灯』。
九 宋 蚕卜
捉弄米粉状蚕丝,内藏吉语待尔食。喜得佳兆虽自设,依然欢乐不可支。
宋杨万里有《上元夜里俗粉米为蚕丝,书吉语置其中以占一岁之祸福,谓之蚕卜,因戏作长句》诗:『今年上元家里住,村落无灯惟有雨。隔溪丛祠稍箫鼓,不知还有游人否?儿女炊玉作蚕丝,中置吉语默有祈,小儿祝身取官早,小女只求蚕事好。』云云。既说是里俗,可知是杨万里家乡江西吉州地方的风俗;也即南方养蚕地区的风俗。
十 明 走百病上城头
姐妹元宵结伴游,金吾不禁登城头。走出深闺祛百病,胜到岳阳万丈楼。
六对山人《锦城竹枝词》:『为游百病走周遭,约束簪裙总取牢。偏有凤鞋端瘦极,不扶也上女墙高。』描写当时成都妇女在元宵夜遍游城墙为乐事。
中国古代风俗百图鈥Α疚幕嘉摹
十一 清 猜灯谜
弹壁灯贴三面题,摩肩搭背来猜谜。本似前朝射覆事,文思机敏方解疑。
《武林旧事》等载:『以绢灯剪写诗词,时富讥笑,及画人物,藏头隐语,及旧京诨语戏弄行人。元宵佳节,帝城不夜。春宵赏灯之会,百戏杂陈。诗谜书于灯,映于烛,列于通衢,任人猜度;所以称为灯谜。』好谜者更组织有谜社。谜社在清代亦极为流行。如光绪年间有竹西后社、射虎社,萍社等灯谜组织;其间谜手云集,每以茶馆酒肆,或在自家私宅作为灯谜活动场所。或研究探讨;或张灯悬谜,招引猜射,娱乐民众。谜灯有四面,三面贴题签,一面贴壁,此灯又名弹壁灯。猜中者揭签,获小礼品留念。清家震涛有《打灯谜》诗云:『一灯如豆挂门旁,草野能随艺苑忙。欲问还疑终缱绻,有何名利费思量。』
十二 清 请紫姑神
元宵之夜请紫姑,保佑吉祥赐安福。终归女儿同情意,焉辨荒唐事有无。 刘向《异苑》载:『紫姑本人家妾,为大妇所妒。正月十五日感激而死。故世人作其形迎之,祝云:『子胥不在(云是其婿),曹夫人已行(云是其大妇),小姑可出」。于猪栏边或厕边迎之,捉之觉重,是神来也。』后来成为传说:唐代寿阳刺史李景,纳何媚为妾;为大妇曹氏所嫉。正月十五日夜,杀何于厕中。天帝悯之,命何为厕神。《荆楚岁时记》:『其夕迎紫姑,以卜将来蚕桑,并占众事。』故民间每于正月十五夜用畚箕为架,以扶乩形式迎接她降临,请她保佑蚕桑丰收,人畜平安。陆游曾有诗讥之:『孟春百草灵,古俗迎紫姑。厨中取竹箕,冒以妇裙襦。竖子夹扶持,插笔祝其书。俄若有物凭,对答不须臾。岂必考中否?一笑聊相娱。诗章亦间作,酒食随所须。兴阑忽辞去,谁能执其祛。持箕畀灶婢,弃笔卧墙隅。几席亦已彻,狼藉果与蔬。纷纷竟何益,人鬼均一愚。』虽为一种迷信活动,实则含有对旧社会不幸妇女的深刻同情,并希望她有保护善良人们的神力。
十三 元 结羊肠
元宵初过犹自忙,家家女儿结羊肠。含情暗思心中语:何时得似双鸳鸯。 《霏雪录》:『北方士女正月十六日用旧历纸九道为绳,乱结以首尾,联属者为兆,谓之结羊肠。』
十四 清 走百病摸门钉
元宵雪衬一灯红,走百病后摸门钉。但愿来年生贵子,不枉今番寒夜行。
清《月日纪古》卷一:『燕城正月十六夜,妇女群游,其前一人持香辟人,名辟人香。凡有桥处,相率以过,名走百病。又暗摸前门钉,中者兆吉宜子。』正月十六日走百病,盖妇女藉此节日可以走较远的地方,实为一种健身活动。而已婚不孕的妇女,摸城门钉,取『添丁』之意,希望来年可生子。清李孚青《都门竹枝词》:『女伴金箍燕尾肥,手提长袖走桥迟。前门钉子争来摸,今年宜男定是谁。』
中国古代风俗百图鈥Α疚幕嘉摹
十五 唐 送穷
年年晦日送穷神,柳车草船载出门。沥酒再拜早离去;老穷方走新穷临。 送穷之俗,自汉已有之。西汉扬雄有《逐贫赋》。据《金谷园记》云:『高阳氏子瘦约,好衣敝衣食糜。人作新衣与之,即裂破以火烧穿著之。宫中号曰穷子。正月晦日巷死。今人作糜,弃破衣,是日祀于巷,曰送穷鬼。』传说穷神穿破衣,吃稀饭;在正月最后一天死去。人们在这天熬粥、扔破衣、结柳为车、缚草为船,在巷口焚之。祝送穷神,永不回来。至唐仍有此俗。韩愈有《送穷父》文;姚合有《晦日送穷》诗:『年年到此日,沥酒拜街中。万户千门看,无人不送穷。』
十六 宋 春社
千寻古栎笑声中,此日春风属社公。割肉卜瓦馀风在,更喜畅饮治耳聋。
立春后第五个戊日是春社日。古时以村为单位祭祀社神,祈求丰收。祭社神先立社,在土坛上用石砌屋,无顶,上贴『社稷之神』红纸,祭祀后,撒肉四周以饷乌鸦。《荆楚岁时记》:『社日,四邻并结宗会社,宰牲牢,为屋于树下,先祭神,然后享其胙』。宋梅尧臣有《春社》诗云:『年年迎社雨,淡淡洗林花。树下赛田鼓,坛边伺肉鸦。春醪酒共饮,野老暮相哗。燕子何时至,长皋点翅斜。』
十七 宋 斗草
社下烧钱鼓似雷,日斜扶得醉翁归。青枝满地花狼藉,知是儿孙斗草来. 范成大《四时田园杂兴》中『春日杂兴』曾描述儿童斗草情形。见画中题诗。盖江南春早,立春草长,儿童互相用草角力,坚韧者胜,折断者败。
十八 宋 迎富
古人采莲携鼓游,今朝杂花插满头。相随郊外游一日,迎富即是忘忧愁。
二月二日迎富风俗由来甚古。《岁华纪丽》载:早在有巢氏时代,有人在这天要了一个小孩回家养活,从而家富。后人便在这天到野外采蓬叶以代子,向门前祭之。又《天禄积馀》载:秦代在这天携鼓到郊外游玩,朝出暮归,名为迎富。南宋魏了翁有《二月二日遂宁北郭迎富》诗云:『才过结柳送贫日,又见簪花迎富时。……里俗相传今已久,漫随人意看儿嬉。』
十九 周(郑国) 踏青
溱洧河畔钟鼓交,踏青游人乐陶陶。红男绿女佩香草,两情相悦赠芍药。 《诗经·郑风》有一首民歌《溱洧》,其中说:一对青年男女,要到溱洧二河边上去看集会,他们相互逗笑,并赠送芍药。高亨《诗经今注》说:『郑国风俗,每逢春季的一个节日(旧说是夏历三月初三的上巳节),在溱洧二河的边上,举行一个盛大的集会,男男女女人山人海地来游玩。这首诗正是叙写这个集会。』实际上,郑国的上巳节是我们已知的最早的情人节。后来才移到七月七日。
二十 晋 流觞赋诗
修禊文会聚溪头,羽觞载酒曲水流。酣饮赋诗联佳句,留得美名在士俦。
《论语》:『暮春者,春服既成,冠者五六人,童子六七人,浴乎沂,风乎舞雩,咏而归。』证明周代已有到水边洗涤污浊、消灾去病之俗。所谓修禊,即指临水洗濯以除不祥。到晋代,变为临水流杯的文人聚会。《荆楚岁时记》:『三月三日,四民并出江渚池沼间,临清流,为流杯曲水之饮。』东晋时,王羲之曾于上巳在会稽山阴兰亭举行修禊之会,并作有《兰亭叙》。
二十一 北朝 踏青
北国三月沐春风,香车纷然乐踏青。游人谁顾杨柳绿,竞看佳丽映桃红。 踏青之俗早在汉代之前已经盛行,《晋书》载:每年三月初一至初三,人们出外踏青。到了唐代更为盛行。如杜甫有『江边踏青罢,回首见旌旗。』孟浩然有『岁岁春草生,踏青二三月。』诗句,可见当时踏青之风。宋代在清明时踏青,吴惟信的《苏堤清明即事》:『梨花风起正清明,游子寻春半出城。日暮笙歌收拾去,万株杨柳属流莺。』即描述清明踏青春游情景。踏青日期南北不同:《月令广义》说蜀地正月初三踏青,闽粤在二月初二日,北方则到三月或四五月方可见青。
二十二 唐 内宴冷餐
御赐冷食满宫楼,鱼龙彩旗四面稠。千官尽醉犹教坐;归来月上金殿头。
唐张籍《寒食内宴》:『朝光瑞气满宫楼,彩纛鱼龙四面稠。廊下御厨分冷食,殿前香骑逐飞球。千官尽醉犹教坐,百戏皆呈未放休。共喜拜恩侵夜出,金吾不敢问来由。』所谓冷食,即已做成的熟食。据史料载,如干粥、醴酪、冬凌粥、子推饼、馓子等。因在寒食节用,又称寒具。唐宫内的寒食内宴,可谓最早的冷餐大会。
二十三 宋 担酒上坟
骑驴担酒祭祖坟,一路春光满眼新。道旁关扑掷得顺,竿挑利物好夸人。
南宋杨万里有《三月三日上忠襄坟因之行散得十绝句》诗,当时上坟已由祭扫变为带食盒酒具到郊外踏青的活动;而路旁许多卖粉捏孩儿、象生果子等物的小贩用赌博形式吸引买主,这种赌博称为『关扑』。
二十四 明 斗百草
百花争艳满庭芳,莺歌燕舞女儿乡。不喜饮酒猜拳乐,闲将斗草过时光。 明翟佑《四时宜忌》:『《荆楚记》曰:三月三日,四民踏百草。时有斗百草之戏,亦祖此耳。』高启《斗草》诗:『摘拾遍丛丛,铺茵曲槛东。众家谁得?胜独有并红。』
中国古代风俗百图鈥Α疚幕嘉摹
二十五 唐 祭扫
寒食祭扫冢一堆,风吹旷野纸钱飞。黄泉不知生人泪 ;暮雨萧萧惆怅归。
《荆楚岁时记》载:『去冬节一百五日,即有疾风甚雨,谓之寒食。禁火三日,造饧大麦粥。』按:传说介子推于三月五日为火所焚,国人哀之,每岁春暮,为不举火,谓之禁烟。唐王建《寒食行》:『寒食家家出古城,老人看屋少年行,丘垅年年无旧道,车徒散行入衰草。牧儿驱牛下冢头,畏有家人来洒扫。远人无坟水头祭,还引妇姑望乡拜。三日无火烧纸钱,纸钱那得到黄泉但看垅上无新土,此中白骨应无主。』在唐代寒食扫墓,后来与清明祭扫合为一事。《东京梦华录》:『寒食第三日即清明矣,凡新坟皆用此日拜扫。』
二十六 唐 走马射箭
垂杨金堤翠幕连,健儿走马射堂前。国家尚武多才俊,方显干城诸英贤。
孟浩然诗《上巳洛中寄王九迥》:『斗鸡寒食下,走马射堂前。』
二十七 五代 荡秋千
阳春女儿笑语喧,绿杨影里荡秋千。身轻裙薄凌空舞,疑是嫦娥下九天。
《荆楚岁时记》载:『正月……又为打球、秋千之戏。』注:《古今艺术图》云:『秋千本北方山戎之战,以习轻戏者;后中国女子学之。乃以踩绳悬木立架,士女炫服,坐立其上推引之,名曰秋千。』唐王建《秋千词》:『身轻裙薄易生力,双手向空如鸟翼。下来立足重系衣,复畏斜风高不得。旁人送上那足贵,终赌鸣珰斗自起。回回若与高树齐,头上宝钗从堕地。眼前争胜难为休,足踏平地看始愁。』《析津志》云:『辽俗最重清明,上自内苑,下至士庶,俱立秋千架,日以嬉戏为乐。自前明以来,此风久革,不复有半仙之戏矣。』
中国古代风俗百图鈥Α疚幕嘉摹
二十八 清 卖柳条
清明一霎又今朝,闻得沿街卖柳条。相约比邻诸姊妹,一枝斜插绿云娇。
《齐民要术》:『正月旦取柳枝著户上,百鬼不入。』《梦粱录》:『清明交三月,节前两日谓之寒食,京师人从冬至后数起至一百五日,便是此日,家家以柳条插于门上,名曰明眼。』后来妇女也将柳条戴在头上,谚云:『清明不戴柳,红颜变皓首。』清诗人杨韫华有《山塘棹歌·插柳枝》:『清明一霎又今朝,听得沿街卖柳条。相约比邻诸姊妹,一枝斜插绿云翘。』《岁时百问》云:『万物生长此时,皆清净明洁,故谓之清明。至清明戴柳者,乃唐高宗三月三日祓禊于渭阳,赐群臣柳圈各一,谓戴之可免虿毒。今盖师其遗意也。』
二十九 唐 浴佛节
佛光普照遍长安,吃斋诵经建寺庵。居士男女多布施;为求来生结善缘。
相传夏历四月初八日为释迦牟尼生日,佛寺常于此日诵经,以各香浸水灌洗释迦之太子诞生像;纪念佛之诞生,称为浴佛节。唐代佛教信仰极盛,长安善男信女多于此日施舍。此风迄宋明依然。《东京梦华录》:『四月八日佛生日,十大禅院各有浴佛斋会,煎香药糖水相遗,名曰浴佛水。』《日下旧闻考》:『京师僧人念佛号者,辄以豆记其数。至四月八日佛诞生之辰,煮豆微撒以盐,邀人于路请食之,以为结缘。今尚沿其旧也。』
三十 宋 挂五彩线
榴花照眼艾蒿香,挂符门帘饮雄黄。粽角流苏悬彩穗,平安佑尔度端阳。
《荆楚岁时记》:『五月五日,谓之浴兰节。采艾以为人,悬门户上,以禳毒气。……以五彩丝系臂名曰辟兵,令人不病瘟。』周处《风土记》谓:『角黍,人并以新竹为筒粽。楝叶插头,五采系臂,谓为长命缕。』宋人余靖《端午日即事》诗:『江上何人吊屈平,但闻风俗彩舟轻。空斋无事同儿戏,学系朱丝辟五兵。』所谓五兵:弓、矛、戟、剑、戈;代表战乱,系朱丝避之。后剪采为小虎,粘艾叶戴之镇邪恶。《燕京岁时记》:『每至端阳,闺阁中之巧者,用绫罗制成小虎及粽子、壶卢、樱桃、桑椹之类,以彩线穿之,悬于钗头,或系于小儿之背。』
三十一 宋 染红指甲
端午阶前采凤仙,小钵加矾细细研。染红女儿纤纤指,粉白黛绿更增妍。 民间有在五月端午或七夕捣凤仙花染红指甲之俗。如《燕京岁时记》:『凤仙花即透骨草,又名指甲草。五月花开之候,闺阁儿女取而捣之,以染指甲,鲜红透骨,经年乃消。』再如洪亮吉《十二月词之七》:『七月七日侵晓妆,牛郎庙中烧股香。……君不见东家女儿结束工,染得指甲如花红。斜簪茉莉作幡胜,鬓影过处绕香风。』
三十二 辽 射柳
端午祈雨置天棚,乐园东南柳色青。分朋赛射柔条断,赢得神箭誉满营。
《辽史·礼志》载:契丹族为祈雨,进行射柳活动。先置百柱天棚,后奠先帝。皇帝、亲王、宰执依次射柳;败者向胜者进酒。第二天植柳天棚东南,子弟射柳三日。雨下,赐赏。后金代、明代皆有射柳之俗。《金史·礼志》载:射者以尊卑为序。柳枝有削白处,如在白处射断,且骑马接在手上者为冠军;只断不能接者为次;其馀皆负。
三十三 明 饮菖蒲酒
采得菖蒲届端阳,酿成美酒送异香。角黍蔗浆祝尔寿,何妨纵饮入醉乡!
《荆楚岁时记》:『五月五日,以菖蒲或镂或屑以泛酒。』唐殷尧藩诗云:『少年佳话倍多情,老去谁知感慨生。不效艾符趋习俗,但祈蒲酒话升平。』可证唐代已饮菖蒲酒。菖蒲又称『剑水草』,生于水滨。制成菖蒲酒,具有性温味辛特点。对肺胃均有益,可延年益寿。明代诗人瞿佑有《菖蒲酒》诗云:『采得灵根傍藕塘,只因佳节届端阳。金刀细切传纤手,玉轻浮送异香。厨荐鲥鱼冰作鲙,盘供角黍蔗为浆。同时节物充筵会,纵饮何妨入醉乡。』
三十四 清 挂钟馗
终南进士舞龙泉,端午时节壁上悬。仗君辟邪歼群丑,免得鬼魅扰人间。
《事物纪原》中说:唐明皇梦小鬼喧扰,有大鬼捉小鬼食之。问为谁,对曰臣终南进士钟馗也。因应举不捷,触殿阶而死,誓除天下虚耗妖孽。明皇乃召吴道子画钟馗像供之。后民间亦多供奉。清李福有《钟馗图》诗:『面目狰狞胆气粗,榴红蒲碧座悬图。仗君扫荡幺么枝,免使人间鬼画符。』即描写在端午时供钟馗事。《燕京岁时记》:『每至端阳市,肆间用尺幅黄纸,盖以朱印,或绘画天师钟馗之像,或绘画五毒符咒之形,悬而售之。都人士争相购买,粘之中门,以避祟恶。』
三十五 金 晒书翻经
三伏朝爽晒书篇,庵院翻经结善缘。近事信女乐相助,愿修来世福寿全。
《尔雅翼》卷二:『荆楚之俗,七月,曝经书及衣裳,以为卷轴久则有白鱼。』魏晋时代在七月七日晒书,后改为六月六日三伏时晒书。《燕京岁时记》:『京师于六月六日抖晾衣服书籍,谓可不生虫蠹。』清潘弈隽有《六月六日晒书诗》。
三十六 唐 蛛丝乞巧
七夕织女赐新妆,挑来蛛丝盒中藏。明朝结成玲珑网;试比阿谁称巧娘
《荆楚岁时记》:『七月七日,为牵牛织女聚会之夜。是夕,人家妇女结采缕,穿七孔针,或陈几筵酒脯瓜果于庭中以乞巧。有喜子网于瓜上。则以为符应。』喜子即指一种小蜘蛛。唐刘言史《七夕歌》:『碧空露重新盘湿,花上乞得蜘蛛丝。』杜甫在《牵牛织女》诗中也写过这种风俗:『蛛丝小人态,曲缀瓜果中。』宋代《东京梦华录》:『妇女望月穿针,或以小蜘蛛安合子内,次日看之,若网圆正,谓之得巧。』
三十七 宋 穿针比巧
供果焚香祝新秋,庭中比巧月如钩。年年闺阁乞织女,男儿何曾求牵牛
周处《风土记》云:『七月七日,其夜洒扫庭中,露施几筵,设酒脯时果,散香粉于筵上,以祀河鼓(即牵牛也)织女。』唐诗人祖咏《七夕乞巧》诗云:『闺女求天女,更阑意未阑。玉庭开粉席,罗袖捧金盘。向月穿针易,迎风整线难。不知谁得巧,明旦试相看。』穿针乞巧者,或穿七孔针,或穿九孔针,用一根彩线连续穿过为巧。《醉翁谈录》:『其实此针不可用也,针褊而孔大。』
三十八 宋 供摩侯罗
捏塑彩画一团泥,妆点金珠配华衣。小儿把玩得笑乐,少妇供养盼良嗣。
《东京梦华录》载:『摩侯罗惟苏州者极巧,木渎袁家所制益精。』宋代苏州虎丘有玩具市场,被称为『虎丘耍货』,包括泥娃娃、泥美人,彩画鲜妍,制作精良。杭州西湖玩具,被称为『湖上土仪』,有泥孩儿、莺歌、花湖船等。《梦粱录》载:『内庭与贵宅皆塑卖磨喝乐,又叫摩睺罗,孩儿悉以土木雕塑,更以造彩装襕座,用碧纱罩笼之,下以桌面架之,用青绿销金桌衣围护,或以金玉珠翠装饰尤佳。』宋许棐『泥孩儿》诗云:『牧渎一块泥,装塑恣华侈。双罩红纱厨,娇立花瓶底。少妇初尝酸,一玩一心喜。潜乞大士灵,生子愿如尔。』
三十九 清 丢巧针
佳节女儿约诸邻,迭将水碗丢巧针。日光照得龙梭影,绣出鸳鸯如意君。
《燕京岁时记》:『京师闺阁,于七月七日以碗水暴日下,各投小针,浮之水面,徐视水底日影,或散如花,动如云,细如线,粗如椎,因以卜女之巧拙。俗谓之丢针儿。』或名丢巧针。清代诗人吴曼云《江乡节物诗》:『穿线年年约北邻,更将余巧试针神。谁家独见龙梭影,绣出鸳鸯不度人。』
四十 清 拜魁星
七夕女儿祝织女,男士庙中拜魁星。佑我科举登榜首,供神猪头代三牲。
清代台湾风俗,七月七日,妇女忙于拜织女,而男子则忙于屠狗祭魁星,魁星为点取状元之神,祭拜它以求科举高中,官运亨通。清郑大枢《台湾竹枝词·七夕》诗云:『今宵牛女度佳期,海外曾无鹊踏枝。屠狗祭魁成底事,结缘煮豆待何时。』钱琦《台湾竹枝词·拜文昌》诗云:『五彩亭前祝七娘,三家村里拜文昌。桥填乌鹊星联斗,天上人间各自忙。』当地人称织女为『七娘』;文昌又称文曲星,掌管文运之神。
四十一 元 盂兰盆道场
道场超度安亡魂,原有盂兰古意存。庆赞中元贴门首,酒海肉山飨活人。
七月十五日,道家称为『中元节』;佛家为『盂兰盆节』。《梦粱录》:『七月十五日,一应大小僧尼寺院设斋解制,谓之法岁周圆之日。其日,……宗亲贵家有力者,于家设醮饭僧荐悼,或拔孤魂。僧寺亦于此日建盂兰盆会,率施主钱米,与之荐亡。』『盂兰盆』为梵语音译,意为『解倒悬』。通常在道场还设有孤棚,离地六尺,广有十五六平方米,各家施舍之三牲、五牲、山珍海味等摆列其上,并插有『普醴阴光』、『甘露门开』等小旗。在放焰口仪式完毕,群众竞抢祭品,谓之『抢孤』。得到之小旗,被视为出海之护身符。
中国古代风俗百图鈥Α疚幕嘉摹
四十二 明 放湖灯
轻舟荡漾玉波澄,中元盂兰放湖灯,梵呗伴得笙管韵,古寺东山月又升。
中元节有放湖灯之习俗。此俗在宋已有之,但当时是『差内侍往龙山放江灯万盏。』《扬州画舫录》:『放荷花灯,中夜开船,张灯如元夕,谓之盂兰盆会。盖江南中元节,每多妇女买舟作盂兰放焰口,燃灯水面,以赌胜负。』《燕京岁时记》:『至中元日,例有盂兰盆会,扮演秧歌、狮子诸杂技。晚间,沿河燃灯,谓之放河灯。』清蒋有尨《西湖竹枝词·放湖灯》诗。湖灯,即在小板上用彩纸做成荷花状,中点蜡烛,又称『水旱灯』。传说水上放灯是为亡魂引路;与上元在陆上张灯有别。
四十三 清 荷叶灯
月到中元照衢明,小儿竞擎荷叶灯。成群结伴游巷陌,银花万点似火城。
《燕京岁时记》:『中元黄昏以后,街巷儿童以荷叶燃灯,沿街唱曰:「荷叶灯,荷叶灯,今日点了明日扔。」又以青蒿粘香而燃之,恍如万点流萤,谓之蒿子灯。市人之巧者,又以各色彩纸制成莲花、莲叶、花篮、鹤鹭之形,谓之莲花灯。』《日下旧闻考》:『荷叶灯之制,自元明以来即有之,今尚沿其旧也。』查慎行《京师中原词》:『万柄红灯裹绿纱,亭亭轻盖受风斜。满城荷叶高价卖,不数中原洗手花。』庞垲《长安杂兴效竹枝体》:『万树凉生霜气清,中元月上九衢明。小儿竞把青荷叶,万点银花散火城。』
中国古代风俗百图鈥Α疚幕嘉摹
四十四 清 鸡冠花供祖
供祖瓶插鸡冠花,一时风靡满京华。只缘物稀价腾贵,移种四郊入农家。
以鸡冠花供祖,在宋代已风行。《东京梦华录》:『又卖鸡冠花,谓之洗手花;十五日供养祖先索食。』《梦粱录》载:南宋同。此习迄清代仍存。《枫窗小牍》:『鸡冠花汴中谓之洗手花,中元节前,儿童唱卖以供祖先。』另有祭祖节,在十月初一日。
四十五 辽 屠狗狩猎
选屠白狗埋帐沟,牵鹰出猎起鸣驺。忽见御帽簪红叶,方知今日是立秋。
《辽史·礼志》:『八月八日,辽俗屠白狗于寝帐前七步瘗之,露其喙。后七日,中央移寝帐于其上。』《析津志》:『立秋日,张乐,大宴,名压节序,上簪红叶于帽。』立秋日,汉人也有簪叶之风,如明代田汝成《西湖游览志馀》:『立秋之日,男女咸戴楸叶,以应时序。或以石楠红叶剪刻花瓣,扑插鬓边。』
四十六 唐 拜新月
妆楼鸾镜拜月明,再乞嫦娥驻美容。蛾眉新月今相似,如水流年叹无情。
唐代妇女拜新月,多是祈求青春常驻。常浩《赠卢夫人》:『佳人惜颜色,恐逐芳菲歇。日暮出画堂,下阶拜新月。』中唐大历才子吉中孚之夫人张氏有《拜新月》之诗:『拜新月,拜月汝楼上;鸾镜始安台,蛾眉已相向。东家阿母亦拜月,一拜一悲声断绝。昔年拜月逞容辉,如今拜月双泪垂。回看众女拜新月,却忆红闺年少时。』看来,拜新月应是年轻妇女的事。
四十七 宋 秋社
社鼓敲时聚庭槐,神盘分肉巧安排。今番喜庆丰年景,醉倒翁媪笑颜开。
立秋后第五个戊日,约新谷登场的八月,是为秋社。陆游有《秋社》诗云:『雨余残日照庭槐,社鼓咚咚赛庙回。又见神盘分肉至,不堪沙雁带寒来。书固忌作闲终日,酒为治聋醉一杯。记取镜湖无限景,苹花零落蓼花开。』《社肉》诗云:『社日取社猪,燔炙香满村。饥鸦集街树,老巫立庙门。虽无牲牢盛,古礼亦略存。醉归怀馀肉,沾遗遍诸孙。』描写了秋社的热闹场面和老人的心情。
四十八 宋 钱塘弄潮
八月钱塘江口开,万人鼓噪岸边排。弄潮健儿显身手,风头浪尖逞矫材。
《梦粱录》:『观潮,其杭人有一等无赖不惜性命之徒,以大彩旗,或小清凉伞,红绿小伞儿,各系绣色缎子满竿,伺潮出海门,百十为群,执旗泅水上,以迓子胥弄潮之戏,或有手脚执五小旗浮潮头而戏弄。自后官府禁止,然亦不能遏也。有《看弄潮诗》云:『弄罢江潮晚入城,红旗飐飐白旗轻。不因会吃翻头浪,争得天街鼓乐迎!』可见市民对弄潮儿像接待英雄一样欢迎他们。
四十九 清 供兔儿爷
玉轮清光照庭阶,剪纸圆满桌上贴。瓜果月饼为供品,烧香罗拜兔儿爷。
中秋祭月、供月光纸的风俗,在明代已然盛行。见明刘侗《帝京景物略》。清代更供兔神,《燕京岁时记》:『每届中秋,市人之巧者用黄土抟成蟾兔之像以出售,谓之兔儿爷。有衣冠而张盖者,有甲胄而带纛旗者,有骑虎者,有默坐者。大者三尺,小者尺余。其余匠艺工人无美不备,盖亦谑而虐矣。』清诗人张朝墉《燕京岁时杂咏》云:『蟾宫桂殿净无尘,剪纸团如月满轮。别有无知小儿女,烧香罗拜兔儿神。』兔儿神或兔儿爷,用泥制成,身披袍甲,头戴战盔,背插小旗,手执长棒,五彩涂画,装以金银,吸引儿童喜爱。
五十 清 走月亮
中秋木樨插鬓香,姊妹结伴走月亮。夜凉未嫌罗衫薄,路远只恨绣裙长。
以前江苏地区的妇女,在中秋夜要『走月亮』。一般是结伴在月下游玩,或互相走访,或拜佛庵,或举行文艺活动。据说苏州妇女走月亮,至少要走过三座桥,称为『走三桥』。有的要走过更多的桥而不许重复,这就不仅动体力,还须动智力。清周宗泰《姑苏竹枝词》云:『中秋共把斗香烧,姐妹邻家举手邀。联袂同游明月巷,踏歌还度彩云桥。』
中国古代风俗百图鈥Α疚幕嘉摹
五十一 晋 饮菊花酒
九月采菊酿酒香,来年开坛又重阳。畅饮何必陶隐士,难得佳节入醉乡。
农历九月九日,二九相重,称为『重九』。古人认为九是阳数,所以又称『重阳』。汉代已有重九日佩茱萸、食蓬饵、饮菊花酒的风俗。饮菊花酒的时代,一般认为是从晋代陶渊明赏菊饮酒而来的。南朝檀道鸾《续晋阳秋》载:某年重阳,陶渊明在家中东篱下弹琴赏菊时,忽然想要饮酒;恰好有一白衣使者挑担前来送酒,于是立即畅饮,并写下名诗《九日闲居》。晋代干宝《搜神记》中还记载酿造菊花酒的方法。
五十二 唐 登乐游原
乐游原上游人多,重九登高乐如何。留恋夕阳无限好;寸阴难买莫蹉跎。
据《续齐谐记》载,东汉桓景跟费长房学道术。一日,费告知桓:九月九日有大灾,可速回家,让全家插茱萸,登高饮菊花酒,即能免灾。从此形成一种风俗。王维《九月九日忆山东兄弟》:『独在异乡为异客,每逢佳节倍思亲。遥知兄弟登高处,遍插茱萸少一人。』茱萸是茴香科植物,据说戴其茎、花有避疫的功效。李白《宣州九日寄崔侍御》诗:『九日茱萸熟,插鬓伤早白。』杜牧有《九日齐山登高》诗。
中国古代风俗百图鈥Α疚幕嘉摹
五十三 宋 冬舂
一年辛苦到腊中,舂米碓杵运成风。筛簸分藏三日毕,除夕香满饭盎馨。
江南至腊八日,家家舂米。因腊月米较坚实,舂时可少损耗。南宋范成大有《冬舂行》诗云:『腊中储蓄百事利,第一先舂年计米。群呼步碓满门庭,运杵成风雷动地。筛匀箕健无粞糠,百斛只费三日忙。齐头圆洁箭子长,隔篱耀日雪生光。土仓瓦龛分盖藏,不蠹不腐常生香……』
五十四 宋 馈岁
不计酒食与野鲜,每逢岁暮送年盘。 馈赠虽少风淳厚,友邻情谊溢山川。
北宋时,年底人们互赠礼物,称为『馈岁』。苏轼有《馈岁》诗。南宋周密《武林旧事》载:一入腊月后,路上便可见挑担者送酒肉。称为『送年盘』。不计送多少,主要在表示祝贺。
五十五 清 卖春联
塾中先生不甘贫,书写春联卖斯文。当众挥毫显身手,自夸笔力胜右军。
据《宋史·蜀世家》载:后蜀主孟昶令学士章逊题桃木板,『以其非工,自命笔题云:新年纳余庆,嘉节号长春』,这是我国最早的春联。宋代春联仍称『桃符』,但联语则不限写于桃符,而多贴于楹柱,称为『楹联』;且用粉红笺写出,称为『春贴纸』。据明代陈云瞻《簪云楼杂话》记载:『春联之设,自明太祖始。帝都金陵,除夕前忽传旨:公卿士庶家门口须加春联一副,帝微行时出观。』由于朱元璋的提倡才使『桃符』改称并真正成为『春联』。清代《燕京岁时记》载:『自入腊以后,即有文人墨客,在市肆檐下书写春联,以图润笔,祭灶之后,则渐次粘挂,千门万户,焕然一新。』腊月间,私塾先生写春联卖,乃是常见的事。清周宗泰《姑苏竹枝词·春联》中说:『学书儿童弄笔勤,春联幅幅卖斯文。人来问价增三倍,不使鹅群笼右军。』连上学儿童也来卖春联了。
五十六 清 喝豆粥
喜到初八腊月天,门前舍豆俗相沿。信士弟子熬粥夜,念佛声声结善缘。
约在南北朝时,我国民间受佛教寺院腊月初八吃『七宝五味粥』的影响,形成了吃『腊八粥』风俗。《东京梦华录》中说:十二月初八日,请寺僧送七宝五味于门徒饮,谓之腊八粥。《扬州风土小记》载:腊月八日前,寺院和尚聚数十黄衣,沿门托钵而乞米,名曰『乞腊八米』。清代的腊八粥制作更为精美,如《燕京岁时记》称『腊八粥者,用黄米、白米、江米、小米、菱角米、栗子、去皮枣泥等,和水煮熟,外用染红桃仁、杏仁、瓜子、花生、榛穰、松子及白糖、红糖、琐琐葡萄以作点染』。天津民俗,腊月初八日,作佛会,亦舍豆。善男信女先于夜间捻豆做粥。每捻一豆,念佛一声,曰结缘豆,粥熟,则施腊八粥于行人。
中国古代风俗百图鈥Α疚幕嘉摹
五十七 宋 祭灶
时届腊月二十四,灶君朝天欲言事。酒糟涂灶醉司命,男儿酌献女儿避。
我国古代奉祀的灶神,即是火神祝融,《礼记·礼器疏》:『颛顼氏有子曰黎,为祝融,祀以为灶神。』认为灶王上天向玉皇大帝打报告的事,在晋代早已有之。晋葛洪《抱朴子·微旨》:『月晦之夜,灶神亦上天白人罪状。』《东京梦华录》:『都人至除夜,备酒果送神,以酒糟涂灶门上,谓之醉司命。』后来祭灶移至腊月二十三或二十四日,又称『小年』。范成大《祭灶词》:『古传腊月二十四,灶君朝天欲言事。云车风马小留连,家中杯盘丰典祀。猪头烂熟双鱼鲜,豆沙甘松粉饵团。男儿酌献女儿避,酹酒烧钱灶君喜。』在灶王像前供糖果、清水、料豆和秣草,然后将旧像焚之,谓之送灶;除夕又买新灶王画像供上,谓之迎灶。民间还有『男不拜月,女不祭灶』之风习,故祭灶仅限男子。
五十八 清 吃灶糖
岁暮方思媚灶王,香瓜元宝皆麦糖。粘口何需多如此,买颗先令小儿尝。
在祭灶时,用饴糖涂灶神之口,以求『上天言好事』;古代的饴糖,或称胶牙饧,或称灶糖,又称关东糖。入腊之后,街市便有卖用麦糖制成的糖瓜、糖葫芦、糖元宝、芝麻糖、蓼花等。清文人厉鹗有《胶牙饧》诗:『节物关人意,残年一碟添。蓼花分点缀,粉茧共粘。』
五十九 清 跳灶王
年关催人诸事忙,乞儿结伴扮灶王,敲竹歌噪门前舞,赏钱好言禀玉皇。
《清嘉录》载:『乞儿三五人为一队,扮灶公、灶婆,各执竹枝噪于门庭以乞钱,至二十四日止,谓之跳灶王。』清诗人周宗泰《姑苏竹枝词·跳灶神》云:『又是残冬急景催,街头财马店齐开。灶神人媚将人媚,毕竟钱从囊底来。』人们要『跳灶王』主要是讨好灶神,保佑来年赐福。
六十 宋 烧火盆
春前五日夜初更,排门燃火如昼晴。儿孙围坐鸡犬忙,迎得来岁好收成。
江南水乡在腊月二十五日夜初更,家家烧火盆。南宋范成大《烧火盆》诗云:『春前五日初更后,排门然火如晴昼。大家薪乾胜豆秸,小家带叶烧生柴。青烟满城天半白,栖鸟惊啼飞磔格。儿孙围坐犬鸡忙,邻曲欢笑遥相望。黄宫气应才两月,岁阴犹骄风栗烈。将迎阳艳作好春,正要火盆坐暖热。』
六十一 宋 照田
腊月廿五天正寒,长竿燃炬照南田。侬家今夜火最旺,定知来年多稻蚕。
南宋范成大《照田蚕行》云:『乡村腊月二十五,长竿然炬照南亩。近似云开森列星,远如风起飘流萤。今春雨雹茧丝少,秋日雷鸣稻堆小。侬家今夜火最明,的知新岁田蚕好。夜阑风焰西复东,此占最吉馀难同;不惟桑贱谷芃芃,仍更苎麻无节菜无虫。』姜夔诗《自石湖归苕溪》云:『桑间篝火却宜蚕,风土相传我未谙。』
六十二 唐 驱傩
驱傩吹笛又击鼓,瘦鬼涂面赤双足。桃弧射矢茅鞭打,鼠窜引得众欢呼。
『驱傩』是古代驱除疫鬼的仪式,多在腊月举行。唐王建《宫词》:『金吾除夜进傩名,画裤朱衣四队行。院院烧灯如白昼,沉香火底坐吹笙。』描写了仪式的场面;孟郊的《弦歌行》:『驱傩击鼓吹长笛,瘦鬼染面惟齿白。暗中崒崒拽茅鞭,裸足朱衫行戚戚。相顾笑声冲庭燎,桃弧射矢时独叫。』描写了傩的形状和人们驱傩的欢乐情绪。
六十三 唐 镜听
夫君远宦盼回程,跪拜灶前点香灯。怀中抱镜藏门候,闻人初言细品评。
《月令萃编》载:『元旦之夕,洒扫,置香灯于灶门,注水满铛,置勺于水,虔礼拜祝。拨勺使旋,随柄所指之方,抱镜出门,密听人言,第一句便是卜者之兆。』又《琅环记》载:『先觅一古镜,锦囊盛之,独向神灶,勿令人见,双手捧镜,诵咒七遍,出听人言,以定吉凶。』唐王建《镜听词》云:『重重摩挲嫁时镜,夫婿远行凭镜听。回身不遣别人知,人意丁宁镜神圣。怀中收拾双锦带,恐畏街头见惊怪。嗟嗟嚓嚓下堂阶,独自灶前来跪拜。出门愿不闻悲哀,郎在任郎回未回。月明地上人过尽,好语多同皆道来。卷帷上床喜不定,与郎裁衣失翻正。可中三日得相见,重绣锦囊磨镜面。』
六十四 宋 儿童卖痴呆
除夕悦民夜禁开,儿童结队提灯来。沿街穿巷呼贱价,赚取翁媪买痴呆。
南宋范成大《卖痴呆词》:『除夕更阑人不睡,厌禳钝滞迎新岁。小儿呼叫走长街,云有痴呆招人买。……栎翁块坐重帘下,独要买添令问价。儿云翁买不须钱,奉赊痴呆千百年!』
六十五 宋 打灰堆
除夕黎明打粪堆,一任灰尘满院飞。但求万事如吾愿,定放汝向彭泽归。
《録异记》云:有商人区明(《搜神记》作欧阳明) 者,过彭泽湖,有车马出,自称青湖君,要明过家,厚礼之。问何所须有人教明:『但乞如愿』及问,以此言答。青湖君甚惜如愿,不得已许之,乃其婢也。青湖君语明曰:『君领取至家,如要物,但就如愿,所须皆得。』自尔商人或有所求,如愿并为即得。数年遂大富。后至正旦,如愿起晚,商人以杖打之,如愿 (以头钻) 走入粪中,渐没失所。商人以杖打粪扫,唤如愿,竟不还也。今北人,正月十五 (正旦) 夜,立于粪扫边,令人执杖打粪堆云云,以答假痛,又以细绳系偶人,投粪扫中,云令如愿,意者亦为如愿故事耳。《荆楚岁时记》云:元日『又以钱贯系杖脚,回以投粪扫上,云令如愿。』南宋范成大《打灰堆词》云在元旦黎明前打灰堆:『除夜将阑晓星烂,粪扫堆头打如愿。』
六十六 明 贴门神
当年恶梦惊唐王,秦琼敬德守门旁。传到草民小茅舍,也请将军佑吉祥。
东汉应劭《风俗通》中引《黄帝书》云:上古有神荼郁垒二兄弟,居度朔山。山有一桃树,树荫如盖。每天他们在这树下检阅百鬼。如有恶鬼为害人间,便缚之喂虎。故家家户户于春节户悬『桃符』。到了唐代,门神的位置便被秦叔宝和尉迟敬德所取代。《西游记》中便有唐王作恶梦,要秦琼、尉迟恭守宫门的故事。明代《万历嘉兴府志》:『除夕,易门神、桃符、春帖,井隈皆封。爆竹,燔紫,设酒果聚饮,锣鼓彻夜,谓之守岁。』
六十七 清 压岁钱
钟打五更又一年,儿孙长高开笑颜。分食枣糕与橘荔,更喜遍赐压岁钱。
《燕京岁时记》:『长者贻小儿,以朱绳缀百钱,谓之压岁钱:置橘荔诸果于枕畔,谓之压岁果子。元旦睡觉时食之,取谶于吉利,为新年休征。』一说:『压岁钱』本为『压祟钱』,贻小儿免受祟之害也。
六十八 清 索罗杆
昔日乌鸦救汗王,索罗杆顶供斗粮。如今丹阶少人迹,坤宁宫前月昏黄。
满族人家中皆立『索罗杆』,又称『神杆、得胜杆、祖宗杆、妈妈杆』等。立杆的位置一般在正房前庭院中的东南侧,下为高一二尺的石座,杆长一丈左右,下粗上细,顶端尖锐。接近杆顶之处,套一锡斗。传说当年敌人追捕努尔哈赤时,他跑到一棵枯树下躲藏,一群乌鸦落在枯树上,追兵以为树下不会藏人,努尔哈赤因此得以逃生,后来他便命满族人家家立杆,在杆顶放肉和粮食酬谢乌鸦。据考『立杆祭天』是辽金时期女真人中早已存在的传统习俗,在清建国后,才附会种种传说。
六十九 唐 新妇不跪
并蒂莲花两相偎,红毡展地迎亲回。新妇不拜新郎拜,感谢天公为良媒。
唐代结婚有男拜女不拜之风俗。最明显的形象证明,即在敦煌莫高窟第十二窟 (又有记为四七三窟者) 晚唐的《婚礼图》,『礼堂』用步幛遮之,新娘立右,新郎跪左;新郎旁一人司仪。宴席设在对面一大棚之内,长案陈列美食,来贺男女嘉宾分两侧而坐。据《寄园寄所寄》引《渤海国记》云:『古者男女皆跪,男跪尚左手,女跪尚右手,以此为例。自唐武后尊妇人,始易令拜而不屈膝。』
七十 清 展示嫁妆
婚礼前夕显嫁妆,衣箱镜奁付杠房。双抬单顶沿街过,羡煞蓬门绮罗香!
北京婚礼之前,展示嫁妆。较富裕人家,雇杠房由双人抬箱笼等物,多者可十抬至数十抬,以显豪富。一般人家送嫁妆,则雇用一人扛之,因低头承扛箱瓶、镜奁等物,北京方言称为『窝脖儿』。袁枚《嫁妆词》云:『东家嫁女儿,珠翠盈千箱;道路多侧目,门阁生辉光。……西家嫁女儿,荆苕与布裙;奴婢嗤其陋,戚里嫌其贫。』
七十一 宋 抓周啐
时逢满岁戏抓周,罗列书玩并砚筹。原是大人情愿事,今番却令婴儿求。
《东京梦华录》:『生子百日,置会,谓之「百」。至来岁生日,谓之「周」,罗列盘盏于地,盛果木、饮食、官诰、笔砚、筹秤、经卷、针线应用之物,观其所先拈者以为征兆,谓之「试」。』《梦粱录》:『生儿至来岁得周,名曰周啐。其家罗列锦席于中堂,烧香炳烛,顿果儿饮食,及父祖诰敕、金银七宝玩具、文房书籍、道释经卷、秤尺刀剪、升斗等子、彩缎花朵、官楮钱陌、女工针线,应用物件并儿戏物,却置得周小儿于中座;观其先拈者何物,以为佳谶。谓之「拈周试啐」,其日诸亲馈送,开筵以待亲朋。」
中国古代风俗百图鈥Α疚幕嘉摹
七十二 唐 折柳
跋山涉水轻别离,天涯芳草亦萋迷。只因登程常折柳,桥畔岸边皆秃枝。
古人离别时,有折柳枝相赠之风俗。隋末无名氏《别诗》:『杨柳青青著地垂,杨花漫漫搅天飞。柳条折尽花飞尽;借问行人归不归』此为较早之思行人而折柳之诗。唐王之涣《送别》云:『杨柳东风树,青青夹御河。近来攀折苦;应为离别多。』韩翃《章台柳》:『章台柳,昔日青青今在否纵使长条似旧垂,也应攀折他人手。』敦煌出土唐代民间曲子抄本《望江南》:『莫攀我,攀我太心偏。我是曲江临池柳,者人折了那人攀,恩爱一时间。』最初因相思而咏柳,后来送别时折柳以示相思。王翰《凉州词之二》:『秦中花鸟已应阑,塞外风沙犹自寒。夜听胡笳折杨柳,教人意气忆长安。』〈折杨柳〉者,乃胡笳与笛之曲目名也。其取名折杨柳,当与离人相思有关。
七十三 唐 步障
国殷民富夸盛唐,豪门出行步障长。可怜明皇幸蜀路,难遮风雨任凄凉。
晋代即有步障,贵族富家出门要用步障遮住路的两侧,尤其内眷不欲路人看见。《晋书》:『王恺作紫丝布步障四十里;石祟作锦步障五十里以敌之。』唐代贵家妇女出门,仍用步障;在敦煌莫高窟唐代多处壁画中有步障出现。但更多的不是长形固定步障;而是方形活动步障,以横梁展障,梁中间接一竖杖,由男役持之,可以随人移动。妇女下车,即用步障遮之。
七十四 元 驿站送信
天涯海角难相逢,尺素传达赖远征。驿站健卒鞭快马,山高水长亦贯通。
秦汉已有驿传制度。但至宋代才废除唐代以民为驿夫的制度,而代之以军卒传递。并实行急递铺。二十里有歇马亭,六十里有馆。《梦溪笔谈》:『驿传旧有三等,曰步递、马递、急脚递。急脚递最遽,日行四百里,唯军兴则用之。熙宁中,又有「金字牌急脚递」,如古之羽檄也。以木牌朱漆黄金字,光明眩目,过如飞电,望之者无不避路。日行五百余里。』宋雍熙二年,允许私书附递。苏轼就有『乱山横翠嶂,落日淡孤灯。奔走烦邮吏,安闲愧老僧。』的诗句,可能苏轼托邮吏(驿卒)捎的就是私人信件。跑路送信的人称『急足』或『急脚』。如《夷坚甲志》:『陆氏晚步厅屏间,有急足拜于庭,称郑官人有书。』到元代,设有『站』,邮递的覆盖面加大,速度也更为提高。
七十五 宋 茶贩
银针碧螺漫自夸,玉壶沏煮胜紫砂。夏至日长行人少,担歇柳荫闲斗茶。
陆羽《茶经》引晋代《广陵耆老传》云:『有老妪每旦独提一器茗,往市鬻之。市人竞买,自旦至夕,其茗不减。』所谓茗,即茶水;这老妪是最早的茶水小贩形象。后来虽发展有茶棚、茶馆、茶楼,而小茶贩仍然存在。范祖述《杭俗遗风》:『杭州有茶司一行,最为便当:每担一副,有锡壶两张,其杯箸、调羹、瓢托、茶盅、茶船、茶碗……无不足用。』《梦粱录》:『在五间楼前大街坐铺中瓦前,有带三朵花点茶婆婆,敲响盏,掇头儿拍板,大街游玩人们看了,无不哂笑。』桥道坊巷,『冬月虽大雨雪,亦有夜市盘卖。至三更后,方有提瓶卖茶。冬闲,担架子卖茶、馓子,葱茶始过。公私营干,深夜方归故也。』『夜市于大街有车担设浮铺,点茶汤以便游观之人。』宋人有《斗茶图》,描绘茶贩间比美茶的活动。
七十六 金 货郎担
鼗鼓街头摇丁东,无须竭力叫卖声。莫道双肩难负重,乾坤尽在一担中。
〈货郎担图〉在宋人绘画中有数幅。〈清明上河图〉中即有两架货郎担子;金代有〈乾坤一担图〉明代也有〈货郎担图〉。《梦粱录》中所记挑担卖物者种类甚多:『并挑担卖油,卖油苕、扫帚……瓜、茄、菜蔬等物。』属生菜类;『又有铙子、木梳……与各色麻线、鞋面、领子、脚带、粉心、合粉、胭脂等物。』属小百货类;『又有挑担抬盘架,买卖江鱼、石首……河蟹、河虾、田鸡等物。』属水产品类;以及卖熟食、花草、糖果、玩具等,都有挑贩,『并于小街后巷叫卖。』一般称货郎担,主要指卖小百货之货郎。
七十七 明 磨镜
云想衣裳花想容,宝镜绰约映春风。难见庐山真面目,拨雾还赖老磨工。
古代用铜镜照面,用久则不明,需倩工磨之。如遇喜事,为使镜面光洁,也要磨之,如唐王建《镜听词》即有:『重重摩挲嫁时镜,夫婿远行凭镜听。……可中三日得相见,重绣锦囊磨镜面。』《梦粱录》即载有:『修磨刀剪、磨镜,时时有盘街者,便可唤之。』与现今磨刀工相似。
七十八 清 拉车卖酒
蒸出佳酿入酒海,驱车赶到围场来。曲香何惧鲸饮量,醉倒猎手卧虎台。
用车载酒在街市卖,唐代已有之。杜甫《饮中八仙歌》:『汝阳三斗始朝天,道逢车口流涎;恨不移封向酒泉。』这种车就是运酒或卖酒的车。宋代挑酒桶卖酒,见于《水浒传》中。清代烧锅造酒,多用大型容器贮存;如用高丽纸裱糊大竹篓,涂以猪血,一般为酒篓;可容酒百斤以上者,名为酒海。以车载酒海售酒,多在人数众多场所,如庙会、围场等处。承德离宫藏有清代『长白山老满洲京旗驻防热河兴隆阿』所绘之《围场风俗图》,其中即有大车载酒海售酒之情形。
七十九 唐 骑驴打球
吐番马球号波罗,传入大唐靡中国。民间亦好击鞠乐,无奈马少骑驴多。
马球藏语称波罗。在唐初传入长安后,即为皇帝和贵族们所喜好。盛行情况可见《封氏闻见记》。尤其到唐玄宗时,打马球风气大盛。波罗球大如拳头,用坚韧木料制成,内部挖空,外面涂色或装饰。故又称『朱球、画球、彩球、七宝球』等。球杖长数尺,击球一端呈弯月形。球场宽阔平坦,两端各有球门,两队球手骑马入场,打入球门为胜得一筹,将筹插在球门上。当时也有在大街上打球者,也有骑驴打球者。如《逸史》载:李林甫『年二十,尚未读书。在东都,好游猎打球,驰逐鹰狗,每天城外槐坛下,骑驴击球,略无休日。既惫舍驴,以两手返据地歇。』后来也有步行打球者,如王建《宫词》:『殿前铺设两边楼,寒食近人步打球。一半走来争跪拜,上棚先谢得头筹。』
八十 唐 相扑
孟贲古冶两相搏,强者角抵在必得。今番对阵显身手,他日三军勇报国。
我国古代角觝最早进入宫廷,《礼记·月令》:『天子乃命将帅讲武习射御、角力。』在秦汉时的角觝不作为体育项目,而归于百戏一类。唐《因话录》载:『文宗将有事南郊,礼前,有司进相扑人。上曰:我方清斋,岂合观此事!左右曰:旧例皆有,已在门外祗候。』可见唐代相扑久已有之。巴黎藏敦煌唐代写经上画有两个赤身着犊鼻裤者相扑的形象,可为形象佐证。宋代《东京梦华录》及《梦粱录》载:宋代宫廷御用之相扑手,乃御前卫队左右军士,名为『内等子』。市井职业相扑手,则皆有名号。胜者受赏物品有:旗帐、银杯、彩缎、锦袄、官会(钞票)、马匹等;『须择诸道州郡膂力高强、天下无对者,方可夺其赏。』亦有以相扑设擂,如《水浒传》中所描写者。故我国职业相扑,要早于日本(十六世纪日本出现职业相扑)。北宋还有『小儿相扑、乔相扑』。更有早于全世界者,南宋景定年间(1260-1264)临安有著名的女相扑手,《梦粱录》记载了她们的名字:赛关索、嚣三娘、黑四姐等。《简明不列颠百科全书》中相扑始于日本之说,并不正确。因为角力、相扑之类,欧亚许多民族都有,例如蒙古、伊朗、土耳其等,只是规矩有所差异而已。
八十一 宋 蹴鞠
一脚踢出天边月,两肩擎起海中星。何叹国足英雄少,当知高手在圆情。
我国古代称踢球为『蹴鞠』,《战国策·齐策》中说临淄富实,『民间无不吹竽鼓瑟、斗鸡走犬、六博、蹋鞠者。』《汉书·霍去病传》注:『鞠,以皮为之,中实以毛,蹴蹋而戏也。』《文献通考》:『蹴球盖始于唐。植两修竹,高数丈,络网于上,为门以度球;球二分以左右朋,以角胜负。』据《蹴鞠图谱》载无球门踢法:一人或几个人踢称打鞠;二人对踢称白打;三人以上称场户。宋代更重无球门踢球,钱选绘《宋太祖蹴鞠图》,《水浒传》中描写宋徽宗赵佶好踢球可证。当时有许多球社,称『齐云社』、『圆社』;称踢球者为『圆情的』。《蹴鞠谱》中还介绍十种踢法:『肩、背、拐、搭、控、拽、捺、膝、拍、月。』有人或争足球源于中国,正如火药、造纸印刷,如今言之,底气已不甚足矣。
八十二 宋 捶丸
城间小儿喜捶丸,一棒横击落青毡。纵令相隔云山路,曲折轻巧入窝圆。
《朴通事谚解》中有关于元代大都民俗中『捶丸』的记载:『用有柄木勺接球,相连不绝,方言谓之球棒。球用木为之,或用玛瑙,大如鸡卵。』(也有皮球的记载) 其场地『掘地如碗,名窝儿。或隔殿阁而作窝,或于阶上作窝,或于平地作窝。人打球儿,先掘一窝儿,后将球儿打入窝内。』盛球棒的器具,称为『提揽』,筐上有圆圈,用手提携。在宋代绘画有小儿《蕉阴捶丸图》;成人亦有捶丸活动,《续夷坚志》:[京娘墓]:『他日寒食,元老为友招,击丸于园西隙地。』最早系用小木棒击球。可能至元代有所改变。按捶丸的形制,就是高尔夫球之祖源。而《简明大不列颠百科全书》中没有高尔夫球起源记载,只说最早1457年 (明代)苏格兰禁止高尔夫球。
中国古代风俗百图鈥Α疚幕嘉摹
八十三 明 妇女踢球
阳春三月小桃开,笑语飞过百花台。五彩毛团翻上下,原是双娇踢球来。
汉代即有女子踢球运动,南阳汉代画像石中便有女子踢球形象。《文献通考》:『宋,女弟子队一百五十三人,衣四色,绣罗宽衫,系锦带,踢绣球。球不离足;足不离球。华庭观赏,万人瞻仰。』明王誉昌《崇祯宫词》:『锦罽平铺界紫庭,裙衫风度压婷婷。天边自结齐云社,一簇彩云飞便停。』明代画家杜堇绘有『仕女蹴鞠图』,画中三位妇女在踢一白色大球。明钱福有《蹴鞠》诗:『蹴鞠当场二月天,仙风吹下两婵娟。汗沾粉面花含露,尘扑蛾眉柳带烟。翠袖低垂笼玉笋,红裙斜曳露金莲。几回蹴罢娇无力,恨煞长安美少年。』清代年画中仍有戴花帽缠足妇女踢五彩球之形象。
八十四 明 放纸鸢
巧糊彩画飞蹁跹,乘风起舞绿杨天。影驰碧空飘双带,又送红灯到上边。
《朝野佥载》:『鲁般者,尝作木鸢乘之而飞。』元代诗人谢宗可《纸鸢》:『画里休看郭恕先,巧糊片楮作蹁跹。影驰空碧摇双带,声遏行云鼓一弦。避雨飞来芳草地,乘风游遍绿杨天。黄昏人倚楼头望,添个红灯到上边。』清代诗人描写放风筝:『槐榆舒绿柳含青,阵阵东风拂面生。最是儿童行乐事,置身檐瓦放风筝。』『春衣称体近清明,风急鹞鞭处处鸣。忽听儿童齐拍手,松梢吹落美人筝。』北京称风筝为『鹞子』;缚竹笛于风筝背上,因风播响,称为『鹞鞭』。据说初春的风,由下往上刮,过清明风则不稳;故易吹落。
八十五 清 打陀罗
冰上乐兮鞭陀罗,随风旋转呼如何。貂帽锦靴小阿哥,明年跃马金盘陀。
陀罗,又作陀螺,《通俗编》:『陀罗者,木制,中实而无柄,绕以鞭之绳,卓于地,急掣其鞭则转,顶光旋旋,影如不动也。』北方正月,天气正寒,儿童多在冰上打陀罗,俗称『冰嘎』。清李孚青《都门竹枝词·打陀罗》:『清明佳节柳条拖,放学儿郎手折多。早送爷娘上坟去,好寻闲处打陀罗。』此指在平地打陀罗也。
八十六 汉 六博
六白六黑十二棋,双方相争博一局。只缘获筹心欢悦,废寝忘食仍嗜迷。
六博在汉代流行。出土汉俑即有二人对坐六博者。鲍宏《博经》:『用十二棋,六棋白,六棋黑,所掷头,谓之琼。』每人六棋,局分十二道,中间横一空间为水,放鱼两枚。博时先掷采,后行棋。棋到水处则食鱼,食一鱼得二筹。更多具体玩法,已失传。
八十七 唐 双陆
桐阴对坐品香茗,一局双陆赤与青。掷骰滴答如铜漏,深宫又闻小尨声。
双陆是古代一种棋类游戏,有固定长方形盘,上画左右各有六路,双方分黑白各十五个马子,状如保龄球的小木棒。马子按规定在盘边摆放,双方轮流掷骰子,按点多少移动马子。白马子自右向左,黑马子自左向右。马子先出尽者为胜。晚唐反映宫人生活的绘画中有打双陆的形象。
中国古代风俗百图鈥Α疚幕嘉摹
八十八 汉 弄剑与踏杯舞
壮夫弄剑不弄丸,上下青光慑人寒。长袖应随笙鼓乐,跳踏圆杯舞君前。
四川出土汉画像砖中百戏部分有『跳丸』或称『弄丸』者,一男子赤上身,双手上举,空中有五个圆球,加其手中一球当为六球。汉代壁画百戏中亦有一人在弄六丸、梳髻着衣,似为妇女。沂南汉墓石刻百戏中一赤上身男子,所弄为四把短剑。张衡《西京赋》:『跳丸剑之挥霍,走索上而相逢。』又南阳画像石中有长袖舞女在五个杯上舞蹈之状;荥阳出土汉代陶楼所绘人物中,亦有长袖舞女在五个覆杯上舞蹈的形象。这些可视形象证实:我国的杂技在两千多年前便有了相当高超的水平。
八十九 唐 西域歌舞
西域歌舞名胡旋,传入宫掖靡长安。吹奏何必琼林宴,市间到处闻管弦。
隋唐时期,西域文化包括宗教(如景教、祆教)、服饰 (如胡服翻领窄袖)、饮食 (如胡饼、烧饼)、绘画、歌舞、音乐及乐器等一起传入长安。音乐主要有龟兹乐、天竺乐、疏勒乐、安国乐等。乐器舞蹈也随之而流行。著名的『胡腾舞』出自石国;刘言史《王中丞宅夜观胡腾》诗:『石国胡儿人见少,蹲舞尊前急如鸟。』李端《胡腾儿》诗:『环行急蹴皆应节,反手叉腰如却月。』又有『胡旋舞』,出自康国;白居易《新乐府·胡旋女》:『胡旋女,出康居。弦歌一声双袖举,回雪飘飘转蓬舞。左旋右转不知疲,千匝万周无已时。』出土唐三彩中有穿舞服的舞伎俑,唐墓壁画中也有舞女张臂作舞形象。
九十 宋 瓦子内说书
闲听瓦内讲评书,粉怪传奇胜翻读。打诨烟花皆悦众,全凭利口誉京都。
《梦粱录》:『小说讲经史:说话者谓之舌辩,虽有四家数,各有门庭。且小说名:「银字儿」,如烟粉、灵怪、传奇、公案朴刀杆棒发发踪参之事,有谭谈子……等;谈论古今,如水之流。谈经者,谓演说佛书。又有说诨经者,……讲史书者,谓讲说《通鉴》、汉、唐历代书史文传,兴废争战之事。』所谓『四家数』即对曲艺说话的分类:小说、讲史、谈经、诨话。银字儿指演出前先吹银字管乐而得名。烟粉指烟花、爱情故事;灵怪指神鬼故事;说诨经指滑稽说唱。
九十一 宋 傀儡戏
村头齐观耍傀儡,搬演故事又一回。载歌载舞赖提举;博得欢笑落夕晖。
《东京梦华录》中已载有『杖头傀儡、悬丝傀儡、药发傀儡』等名目。《梦粱录》:『凡傀儡,敷演烟粉、灵怪、铁骑、公案、史书历代君臣将相故事话本,或讲史,或作杂剧,或如崖词。如悬线傀儡者,起于陈平六奇解围故事也,今有金线卢大夫、陈中喜等,弄得如真无二,兼之走线者尤佳。更有杖头傀儡,最是刘小仆射家数果奇,其水傀儡者,有姚遇仙、赛宝哥、王吉、金时好等,弄得百伶百悼。兼之水百戏,往来出入之势,规模舞走,鱼龙变化夺真,功艺如神。』
九十二 金 酒楼唱曲
路歧天涯沦落人,酒楼赶座唱清音。不入勾栏打野呵,瞽女弹词说陶真。
耐得翁《都城纪胜》:『诸色路歧人在此作场。』路歧人指歌唱卖艺者。《武林旧事》云:或有路歧,不入勾栏,只在耍场宽阔之处做场者,谓之『打野呵』。即露天卖艺,或称『打野火』。《尧山堂外纪》载:杭州瞽女唱小说评话,谓之『陶真』。
九十三 清 高跷
丰年高跷扮秧歌,水浒英雄摹演多。文武两班分丑俊,挥扇敲鼓打手锣。
清代高跷,俗称秧歌。较早组成的内容,系表现《水浒》男女英雄人物;分丑、俊两班;以执器来分,则左棒武松,右棒张清,渔翁阮小二,樵夫石秀,丑鼓时迁,俊鼓杨雄,丑锣顾大嫂,俊锣孙二娘,丑扇王英,俊扇扈三娘。其后加入青蛇、白蛇、许仙、丑婆、傻儿等,乃进入二十世纪之事,早已失却歌颂梁山英雄之传统矣。
九十四 清 子弟书
太平歌词子弟书,开篇妙语似连珠。单弦牌曲八角鼓,风送时调满京都。
清代初期,出征的八旗子弟采用俗曲、巫歌等曲调,填词演唱。传说乾隆时凯旋的阿桂部军士即用八角鼓击节,演唱这些俗曲以颂武功,又传说军士乘骑入京,以鞭击镫,边行边唱天下太平,谓为太平歌词,京城为之轰动。后以此八旗子弟军乐为基础,形成以八角鼓伴奏的说唱形式『八旗子弟书』。八角鼓为满族乐器,传说由八旗的八位首领各献一块好木料镶嵌而成。李镛在顾琳《书词绪论》序中说:『辛亥夏(乾隆五十六年)旋都门,得闻所谓子弟书者。』《天咫偶闻》:『旧日鼓词有所谓子弟书者,始轫于八旗子弟。其词雅驯,其声和缓,有东城调、西城调之分。』子弟书在文人参与下,提高其艺术含金量,创作许多曲目。清末,子弟书由盛转衰,其曲本被北方各种大鼓所采用;部分曲调亦被借鉴和吸收;有的曲牌仍保留在单弦唱腔之中。
九十五 清 太平鼓
太平年间太平鼓,边打边唱边起舞。宛转九腔十八调,祭祖敬神求多福。
太平鼓起源有两种说法:一是汉族很早即有,宋代称打断,明代称太平鼓。鼓呈桃形,蒙以羊皮或多层高丽纸;或呈圆形,鼓边缀以绒球,铁柄下打成环中套环之形。一是源于满族萨满祭祖跳神时用之单鼓、呈椭圆形,蒙以马、驴或羊皮。清何耳《燕台竹枝词》:『铁环振响鼓蓬蓬,跳舞成群岁渐终。见说太平都有象,衢歌声与壤歌同。』
中国古代风俗百图鈥Α疚幕嘉摹
九十六 清 盲人走街卖艺
命运乖舛苦盲人,学得数术养自身。风吹雨淋街巷走,难免饥寒守清贫。
《尧山堂外纪》载:杭州瞽女唱小说评话,谓之『陶真』。旧社会盲人,一般只有两种职业:曲艺或算命。曲艺包括时调小曲、著名唱段、长篇评弹等;算命包括批八字、合婚嫁娶、细批流年等。兼业曲艺者携带三弦;专业算命者,敲小锣,锣名『报君知』;或吹横笛或打竹板。
九十七 唐 刺青
长安少年多英雄,胴臂竞相比雕青。精刺五彩多奇妙,东传扶桑有遗风。
刺青是古代纹身风俗的遗迹,许多民族都曾有过。古书记载:周代的越人即披发文身。后来民间的刺青已没有上古图腾崇拜的内容。唐代民间特别流行刺青,当时称为『札青、点青、肤札、镂身。』刺的内容有各种图形,文字以及人物佛像等。《酉阳杂俎》载:『荆州街子葛清,自颈以下,遍札白居易诗。段成式尝与荆客陈至呼观之;令其自解。背上亦能暗记,反手指其札处,至「不是花中偏爱菊」,则有一人持杯临菊丛;「黄夹缬窠寒有叶」,则指一树,树上挂缬窠,文绝细。凡札三十余首,体无完肤。陈至呼为「白舍人行诗图」。』唐代刺青的技术水平已很高妙,『又有王力奴以钱五千,召工札胸腹为山池亭院,草木鸟兽,无不具悉,细若设色。』《水浒传》中九纹龙史进,浪子燕青等皆刺得一身好花绣,说明宋代仍有刺青。宋后便少见。刺青唐代传入日本,迄今仍有满身刺五彩图形者。
九十八 晋 斗鸡
斗鸡芥翼争英雄,双距利刃逞威风。羽毛飞扬分胜负,终在纨绔欢乐中。
斗鸡在战国时期已很盛行。《国策·齐策》:『临淄甚富而实,其民无不吹竽、鼓瑟、击筑、弹琴、斗鸡、走犬。』《史记·袁盎晁错列传》:『盎免病居家……相随行斗鸡走狗。』寒食斗鸡在魏晋时尤盛。应瑒《斗鸡诗》中描写道:『二部分曹伍,群鸡焕以陈。双距解长,飞踊超敌伦。芥羽张金距,连战何缤纷。从朝至日夕,胜负尚难分。』斗鸡之风,至唐代仍很盛。花蕊夫人《宫词》:『寒食清明小殿旁,彩楼双夹斗鸡场。内人对御分明看,先赌红罗被十床。』
九十九 明 猴戏
黄毛红臀小胡狲,翻斗爬竿踏车轮。顶盔挥旗羊做马,妆扮美女笑煞人。
汉代画像石中百戏图里有猴戏形象,可知我国驯猴作戏的历史甚早。迄明清时,玩猴者多为谋生之计流浪江湖。玩猴艺人多为一副扁担,挑两个箱子;或牵羊,带助手扛一长十字竹竿。在选好场地后,敲锣引人驻足。一般令猴翻筋斗、担水、走索;或爬高竿;或开箱戴面具,穿戏衣走场。《燕京岁时记》:『耍猴儿者,木箱之内藏有羽帽乌纱,猴手自启箱,戴而坐之,俨如官之排衙。猴人口唱俚歌,抑扬可听。古称沐猴而冠,殆指此也。其余扶犁跑马,均能听人指挥。扶犁者,以犬代牛;跑马者,以羊易马也。』
一百 清 斗蟋蟀
底事清闲爱小虫,重价得来藏玉城。交恶皆因争异性,不惜搏斗逞英雄。
《燕京岁时记》:『七月中旬则有蛐蛐儿,贵者可值数金。有白麻头、黄麻头、蟹胲青、琵琶翅、梅花翅、竹节须之别,以其能战斗也。』上等蟋蟀,均系主人不惜重金购得,名虫必用青白色泥罐贮之。『蛐蛐罐有永乐官窑、赵子玉、淡园主人、静轩主人、红澄浆、白澄浆之别,佳者数十金一对。』每一罐内须置一小扇面形过笼,作为雌雄蟋蟀交尾的『洞房』。清代北京俟冬至这天以虫会友,进行传统的『封盆』格斗。早年间斗蟋蟀规定:以二十四罐为一棹,斗之前,要先比较蟋蟀的个头大小,同一等级的即大小相当的才放入一盆决斗。两条体重相等的雄性蟋蟀一旦移进斗盆,彼此寻觅『情敌』,相遇后即互相厮杀,战胜的蟋蟀,皆冠以『将军』称号。输赢亦有赌注,一般为数斤月饼或水果,主要在求一乐。
소스:이페어케이 E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