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자 윤유일 바오로(1760〜1795)
o 한국 천주교회 최초의 밀사(두 차례 베이징 왕래). 양반
o 1760년 : 경기도 여주 출생. 이후 양근 한감개로 이주.
o 1795년 : 서울 좌포도청에서 장살로 순교
‘인박 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리던 윤유일(尹有一) 바오로는 1760년 경기도 여주의 점들(현 여주시 금사면 금사리)에서 태어나 이웃에 있는 양근 한감개(현 양평군 강상면 대석리)로 이주해 살았다. 본관은 파평이 다. 1801년에 순교한 윤유오(야고보)는 그의 동생이며,윤점혜(아가타) 와 윤운혜(루치아)는 그의 사촌 동생들이다.
양근으로 이주한 뒤 권철신(암브로시오)의 문하에 들어가 학문을 닦던 바오로는 그 후 서적을 통해 천주교 신앙을 차츰 이해하게 되었 다. 그런 다음 스승의 아우인 권일신(프란치스코 하비에르)으로부터 교리를 배워 입교하였으며, 이후 가족들에게 교리를 가르치는 데 열중 하였다.
1789년 교회의 지도층 신자들은 베이징의 구베아(A. Gouvea, 탕 알 렉산델) 주교에게 밀사를 보내 그 동안의 상황을 보고하고 앞으로의 일 을 논의하기로 하였다. 이때 밀사로 선발된 신자가 바로 바오로였는데, 그 이유는 그의 성격이 온순한 데다가 심지가 굳고 학식과 교리에도 밝 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바오로는 베이징을 오가는 상인으로 가장하고, 주교에게 보 내는 신자들의 서한을 옷 안에 숨긴 후 1789년 10월 조선을 떠나 베이 징에 도착하였다. 그리고 이듬해 초에는 북당에 있는 라자로회 선교사들 과 남당에 있는 구베아 주교를 만날 수 있었다. 또 바오로는 베이징에 머 무는 동안 라자로회의 로(N. J. Raux, 羅) 신부로부터 조건 세례를 구베아 주교로부터 견진성사를 받았다. 아울러 구베아 주교로부터 ‘조선에 성직자를 파견하는 데 필요한 준비’ 에 대해 들었다.
1790년 봄 바오로가 귀국하자,지도층 신자들은 성직자 영입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 일 때문에 바오로는 그 해에 다시 한 번 베이징을 다녀 와야만 하였다.
구베아 주교는 다음해 조선 신자들과의 약속에 따라 도스 레메디오스 (dos Remedios) 신부를 조선에 파견하였다. 그러나 그 신부는 조선 밀사들과 만나지 못함으로써 조선에 입국할 수 없었다. 바오로는 이에 실 망하지 않고 지황(사바), 최인길(마티아) 등과 함께 성직자 영입을 위해 꾸준히 노력하였으며,1794년 말에는 마침내 중국인 주문모(야고보) 신부를 조선에 잠입시키는 데 성공하였다.14
주문모 신부가 입국한 뒤, 윤유일 바오로는 베이징 교회와 연락하는 일을 담당하였다. 그러나 얼마 안 되어 신부의 입국 사실이 조정에 알려 지면서 이와 관련된 모든 신자들이 위험에 처하게 되었다. 이때 주 신부 는 신자들의 재빠른 행동 때문에 다른 곳으로 피신할 수 있었지만,신부 댁 주인 최인길은 그의 피신을 돕기 위해 중국인으로 변장하고 집에 남 아 있다가 체포되 었다.
박해자들은 마침내 신부의 입국 경위를 알게 되었다. 또 신부의 입국 을 도운 윤유일 바오로와 지황의 이름도 알아내고 말았다. 그 결과 그들 은 즉시 체포되어 좌포도청으로 압송되었고, 그곳에서 최인길과 함께 혹 독한 형벌을 받아야만 하였다.
그러나 세 명의 동료들은 계속되는 매질 아래서도 결코 신부의 행적을 발설하지 않았으며, 끝까지 굳은 신앙을 고백하였다. 그러자 박해자들은
-------------------------------------------------------------------------------
140)〈로 신부가 포교성성 장관에게 보낸 1790년 11월 14일자 편지〉:〈구베 아 주교가 포교성성 장관에게 보낸 1790년 10월 6일자 편지〉. 이 편지들 은 교황청 인류복음화성 고문서고에 소장되어 있다(SOCP 67, pp. 443〜444, pp. 448〜450).
-------------------------------------------------------------------------------
더 이상 어찌할 수 없다는 것을 알고는 사정없이 그들을 때려 숨지게 한 뒤,비밀리에 그 시신을 강물에 던져버렸다. 이때가 1795년 6월 28일(음력 5월 12일)로, 당시 바오로의 나이는 35세였다.141>
이후 구베아 주교는 조선의 밀사로부터 사건의 전말을 전해 듣고는 바오로와 그의 동료들이 순교 당시에 보여준 용기를 다음과 같이 기록 하였다.
그들은 ‘십자가에 못 박힌 자를 공경하느냐?’는 질문에 용감히 그렇다고 대답하였습니다. 또 그리스도를 모독하라고 하자, 그렇게 할 수 없다고 말하면서 ‘참된 구세주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모독하기 보다는 차라리 천 번 죽을 각오가 되어 있다’ 고 단언하였습니 다.142>
-------------------------------------------------------------------------------
141)『순교자 약전』, 92〜93쪽 :『순교사 비 망기』, 32〜33쪽, 56쪽. 142) 〈구베아 주교가 디디에 주교에게 보낸 1797년 8월 15일자 편지〉. 이 편
지는 교황청 인류복음화성 고문서고에 소장되어 있다(SC 39, pp. 550 〜55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