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느릴 부(部)자는 의부(義符)로 고을 읍(邑,⻏)자에 성부(聲符)로 침 부(咅)자를 했습니다. 침 부(咅)자는 설 립(立)자 아래에 입 구(口)자를 해서 입에서 나오는 침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소리 음(音)자는 설 립(立)자 아래에 가로 왈(曰)자를 했습니다. 여기서 설 립(立)자는 입에서 나오는 소리라는 뜻입니다. 소리가 나온다는 표시로 설 립(立)자를 한 것입니다. 침 부(咅)자와 소리 음(音)자의 차이는 그저 입 구(口)자를 했나? 아니면 가로 왈(曰)자를 했나? 하는 것입니다. 입 구(口)자와 가로 왈(曰)자의 차이점은 혀를 그렸는가? 아닌가에 달려 있습니다. 침은 그저 입에서 나오는 액체이지만 소리는 혀를 통해서 나오는 소리입니다. 부분(部分) 지도부(指導部) 학생부(學生部) 부장(部長)
지아비 부(夫)자는 사람이 네 활개를 펴고 땅바닥에 드러누워 있는 모습을 그린 큰 대(大), 큰 대(大)자 위에 한 획을 더 하여 사람 위에 있는 하늘 천(天)자를 만들고, 하늘 천(天)자를 꿰뚫어(夫) 하늘보다 더 높은 기상을 상징적으로 그려서 남편, 지아비 부(夫)자를 만들었다. 부부(夫婦) 부인(婦人) 부인(夫人) 대장부(大丈夫) 농부(農夫)
아버지 부(父)자는 사람이 회초리를 들고 있는 모습입니다. 아이를 훈육하는 그림이지요. 이렇게 아버지는 아이에게 문화적인 것, 정신적인 것, 사상적인 것, 관습적인 것, 삶의 질서, 남과의 관계 맺기, 사회성 등을 가르칩니다. 이런 가르침을 회초리를 들어서라도 해야 하는 것입니다. 부모(父母) 부친(父親) 부자(父子) 엄부(嚴父)
북녘 북(北)자는 사람이 등을 대고 앉아 있는 그림입니다. 상형(象形) 글자지요. 등을 대고 앉아 있으니 서로 배반했다는 뜻으로도 전주(轉注) 되었습니다. 사람은 향일성(向日性)이래서 해를 등지고 있으니 북쪽입니다. 북향(北向) 북방(北方) 북극(北極) 북위(北緯)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