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m.hankookilbo.com/News/Read/201611091439865360
동물들은 암수 간에 얼마나 차이가 있을까
표범, 퓨마와 같은 동물들은 육안으로 암수를 구분하기 쉽지 않다.
사람들은 점점 더 남녀가 서로 닮아가고 있다. 하긴 남녀차이라야 겨우 X, Y 염색체상의 몇 개 유전자 차이인걸 뭐. 그 중에서도 성염색체는 X 염색체가 주가 된다. 어찌 보면 X유전자의 10분의 1만 보유한 Y 염색체를 가진 남자가 열성이라고도 할 수 있다. 또 미토콘드리아 내의 염색체는 난자를 통해서만 대대로 전해진다. 때문에 인류의 조상을 찾으려면 현재 사용하는 이 ‘미토콘드리아법’으로는 결국 최초의 여자(미토콘드리아 이브)가 누구냐 하는 것일 뿐이다.
이런 유전자적 차이를 떠나 외형상으로 남녀 간의 차이는 아직까지는 현격하다. 그럼 동물들은 암수 간에 얼마나 차이가 있을까? 일단 대개의 암수 형태는 사람과 비슷하다. 소위 ‘사나이 대 아가씨’처럼 골격이 크고 힘이 센 것이 수컷이고, 골격이 작고 힘이 약한 쪽이 대개 암컷이다.
하지만 좀 더 눈을 크게 뜨고 넓게 보면 그 차이가 현격히 줄어든다. 새들만 봐도 기러기, 독수리, 두루미, 황새 종류들은 육안으로 거의 구별을 할 수가 없다. 그도 그럴 것이 그들 암수 간에는 생리적인 일부 특성을 제외하곤 사냥, 집 짓기 등의 거의 모든 활동에서 서로 차별이 없기 때문이다.
이번에 한 마리 밖에 없는 표범을 마취할 일이 생겼다. 그 과정 중에 우리가 그 동안 큰 오류를 범하고 있다는 걸 확인했다. 우린 이 표범이 동물 개체카드에 수컷으로 기록되어 있어 그런 줄만 알고 있었는데 막상 자세히 살펴보니 암컷이었던 것이다.
사실 그동안 사육사들은 이 표범의 성별에 대해 의구심이 있었지만 확인하기가 어려워 이번 기회에 자세히 살펴본 것이다. 주 관찰 포인트는 꼬리 밑에 고환(정낭)의 유무다. 수컷 표범이 어릴 때는 고환이 거의 도드라져 보이지 않기 때문에 이런 류의 실수를 범 할 수도 있다. 고양이과 동물 가운데 사자나 호랑이처럼 몸집이 커서 체격이 두드러지게 차이가 나면 몰라도 체격이 작은 표범부터 고양이들까지는 거의 동일한 위치에 생식기가 있고 볼일을 보는 것도 비슷해 외모만으로는 암수를 판별하기가 매우 어렵다. 이른바 전문가들마저 그렇다. 이들은 암수 모두 독립적으로 살아가니 굳이 암수가 외형적으로 구분 될 필요가 없는 것 같다.
수컷 두꺼비의 몸집이 암컷보다 더 작다.
물고기들 역시 몸 안을 들여다보지 않고는 암수 구별이 힘들다. 심지어 일부 돔 종류는 암컷들만 존재한다. 번식철이 되면 한두 마리가 정도가 수컷이 되는 ‘자웅동체어’이며 잘 알려지지 않아서 그렇지 물고기 중에는(애니메이션 니모의 주인공인 흰동가리 역시도) 이런 경우가 의외로 많다고 한다. 가시고기나 해마는 기존의 관념적인 남녀구실이 완전히 바뀐다. 즉 양육의 책임은 전적으로 수컷이 진다. 양서류인 개구리들은 물론 알을 낳아만 놓고 돌보지 않는 게 대부분이지만 이를 안쓰럽게 여긴 몇몇 수컷들은 아예 알 보따리를 입 속이나 등에 짊어지고 다닌다.
곤충 단계까지 가서는 그 동안 우리가 흔히 알고 지내던 남녀의 외모차이까지 완벽하게 반전된다. 거미나 사마귀의 암컷 크기는 수컷의 서너 배에 달한다. 대부부의 수컷들이 암컷보다 훨씬 작고 모기처럼 흡혈 같은 위험한 일을 하는 것들도 모두 암컷이다. 수컷 개미들은 여왕을 위해서만 존재한다. 일개미와 병정개미는 모두 암컷이다.
포유류에서도 드물지만 암컷이 수컷을 완전히 지배하는 경우가 있다. 코끼리와 하이에나 무리가 그렇다. 무리동물인 사자, 미어캣, 늑대 사회에서도 복잡하지만 모계중심의 ‘아마조네스(그리스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여전사로만 이루어진 전설적인 부족)’가 엿보인다.
자! 이런 걸 볼 때 어떤 생각이 드시는지. 이른바 만물의 영장이라는 인간이 외모와 알량한 힘 차이만을 기준으로 남녀를 차별하거나 다른 성별을 혐오해도 괜찮은 걸까. 이런 소모적 논쟁은 동물들이 보기엔 정말 우스워 보일 수도 있다.
https://naver.me/FS5btjvh
태초부터 생존에 유리하려면 강한 유전자들이 살아남았을 텐데, 남녀간에는 왜 선천적인 힘 차이가 있나요?
오스트랄로~호모사피엔스 진화중에도 남성이 수렵 전투등을 했을까요?
다같이 달려들어서 가져오고 싸우는편이 효율적이고 전체가 전투원인 무리가 오래 살아남았을거 같은데
=> 전체가 전투원인 것이 집단이 단기간 생존하는 것에는 유리할 것입니다. 하지만, 구성원을 유지하는데 있어서는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대부분의 동물은 암,수의 전투력의 차이가 그렇게 크지 않습니다. 하지만, 인간이 포함되어 있는 영장류는 암, 수의 전투력에 차이가 있고, 인간은 더욱 더 큰 차이가 있습니다.
그 이유는 인간은 집단을 이루고 남자와 여자가 서로 맡은 역활을 구분해서, 종족이 유지되는 최적의 방안을 찾았기 때문입니다. 남자가 사냥을 통해 동물성 단백질을 공급하고, 여자는 안전한 은신처에서 식량을 생산하고 아이를 양육하며 미래를 준비한 것이죠.
동물이 암수 모습이 다른 이유는?
생물계에는 수컷에 기생하는 암컷이나, 너무나
도 긴 꼬리를 가진 수컷 등, 암컷과 수컷이 다른
종이라고 생각된 만큼 전혀 다른 모습을 한 다양
한 생물이 있다. 왜 이와 같은 모습이 되었을까?
그 답은 암컷과 수컷의 ‘사랑의 술수’에 있다.
번식기에만 생기는 장식깃
https://naver.me/5ipiNJ3w
'수컷이 암컷보다 항상 크다'는 믿음은 오해
수컷이 암컷보다 몸집이 더 크다는 생각은 오해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특히 설치류에서 대다수 종이 암컷이 수컷과 크기가 비슷하거나 컸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수컷의 몸집이 대체로 암컷보다 더 크다는 생각은 오해일 수 있다.
미국 뉴욕시립대 헌터칼리지 및 프린스턴대 연구팀은 포유류는 수컷이 암컷보다 크다는 일반적인 믿음과 달리 실제로는 대부분 포유류가 암수 크기가 크게 다르지 않다는 연구결과를 12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공개했다.
연구팀은 포유류 427종의 암컷과 수컷의 몸집을 비교했다. 45.1%는 수컷의 몸집이 암컷보다 컸다. 38.7%는 크기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16.2%는 암컷이 수컷보다 더 컸다. 수컷의 몸집이 암컷보다 큰 경우는 절반 이하라는 것이다.
연구팀은 수컷 포유류가 암컷보다 몸집이 더 크다는 생각은 진화론을 바탕으로 100년 넘게 지속된 편견이라고 설명했다. 진화론에 따르면 암컷의 관심을 끌기 위해서는 다른 수컷들과의 싸움에서 이겨야하기 때문에 수컷이 몸을 키우도록 진화했다. 코끼리물범의 경우 수컷은 짝짓기를 하기 위해 여러 수컷들과 잔인한 육체적인 싸움을 벌인다.
연구를 이끈 카이아 톰박 뉴욕시립대 헌터칼리지 박사는 "몸 크기에 따라 힘의 세기가 결정되는 건 아니다"라면서 이런 믿음이 잘못됐을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 같은 편견은 우리에게 익숙한 포유류들이 수컷이 암컷보다 몸집이 크기 때문에 생긴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사자, 고릴라, 소 같은 육식동물, 영장류, 유제류의 경우 수컷이 암컷보다 크기가 큰 경우가 대다수다. 유제류는 척추동물 포유류 중 발 끝에 발굽이 있는 동물을 말한다. 육식동물의 경우 분석에 포함된 종 중에서 87%, 유제류는 79%, 영장류는 62% 수컷이 암컷보다 컸다.
이들은 종으로 따지만 포유류의 대다수가 아니다. 설치류와 박쥐가 지구상 포유류 종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분석한 설치류 종의 48%에서 수컷과 암컷의 크기가 같았다. 44%는 수컷이 더 컸다. 박쥐 종의 46%는 암컷이 더 컸다.
톰박 박사에 따르면 암컷의 크기가 크면 여러 이익을 얻을 수 있다. 몸집이 큰 암컷이 더 큰 새끼를 낳을 가능성이 있고 몸집이 큰 새끼가 생존할 가능성이 높다. 크기가 큰 암컷이 새끼에게 더 나은 영양과 보살핌을 제공할 수도 있다.
연구진은 "이번 발견은 전체 포유류 종의 5%만 분석한 것이라 이 주제에 대한 최종 결론과는 거리가 멀다"면서도 "우리가 갖는 일반적인 믿음이 구체적으로 들여다보면 쉽게 무너질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