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youtu.be/vLu8nZARG4I?si=Zr5epnbmKacVgvvk
https://youtu.be/k2HT8v0u7Wg?si=9qng5iHGt3P-qlYe
개경근처에서 협공의 위협을 느끼고 철군하려는 소배압의 거란군은 북상 중 귀주성 앞에서 고려의 강감찬과 마지막 회전을 결심합니다.
바람의 방향도 북풍. 한편 고려군은 검차로 1,2선을 만들어 전진하며 거란과의 거리를 좁히고 공격이 들어오면 방진을 짜기도 하고 돌팔매로 대갈을 부수기도하고 검차를 타고 올라오면 긴창으로 상쇄시키고 도리깨로 다시 수박을 부수기도 하고 죽을 힘을 다해 버팁니다. 바람의 방향이 일시적으로 남풍으로 바뀌고, 그 찰나 개경을 지키러 떠났던 김종현의 고려 중갑기병이 나타나 거란의 후방을 교란하며 살육을 시작하고.
네, 김종현의 등장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장면은 드라마의 창작물입니다. 귀주대첩에서는 검차가 사용되었다는 기록은 없으니까요. '전쟁이 우천으로 취소되었다' 라는 비판이 비수같이 꽂힐겁니다. 뭔가 설명도 부족했고. 자막이라도 쓰던가...
전쟁은 고려의 대승으로 끝나고 키탄은 10만에서 겨우 수천명만이 살아 남아 압록강을 건넜습니다.
(고려사대로)현종은 영파역에서 비단으로 된 천막을 세우고 원수 강감찬에게 금으로 만든 꽃을 만들어 머리에 꽂아 주고 그의 손을 잡으며 치하하는 장면을 묘사하였습니다. (고려사 강의의 시청각 자료를 제대로 남겨주네요.)
이후 고려의 행동이 주목되는데요. 현종은 송나라의 협공제의도 뿌리치고 힘의 균형을 선택합니다.
오히려 요제 성종에게 사신을 보내어 책봉을 요구?하고 거란의 연호를 사용하기로 합니다. 외교에서 되도록이면 하지 말아야 할 것이 상대방에게 빚을 지지 않는 것인데 고려는 회전에서 대승을 거두고도 거란에게 사신을 보내 구겨진 체면을 세워주고 더블 빚을 지게 만들어 버립니다. 이후 요나라나 송나라에서 고려사신이 제대로 대접 받고 함부로 하지 못한 것은 귀주대첩에서 고려군이 그 물리적 힘을 보여주었기 때문이었겠지요. (송나라의 소식은 '맥적들(고구려, 고려를 낮추어 부르는 말)이 조공하면 이익은 없고 5가지 손해만 끼친다' 라고 말했다고 하니 고려의 위세를 간접적으로 알 것 같습니다.)
많이 아쉽네요. 좀 더 시간과 돈을 투자 받아 시즌제로 가고 불미스런 PD들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하지만 그동안 몰랐던 고려 초기 역사와 거란과의 전쟁, 양규, 김숙흥, 지채문, 하공진, 채충순, 장연우, 황보유의, 최사위, 유진, 유방, 왕가도, 김은부, 김종현, 김훈, 최질, 노전 등 숨은 영웅들에 대해 검색하고 공부할 수 있는 기회도 가질수 있었고 당시 고려의 관습 및 정치체제와 세계정세를 간접적으로 알 수있어서 흥미로웠습니다.
그래서 저의 점수는 별 다섯개 중 3개를 주고자 합니다.
배우분들 고생많으셨습니다.
https://youtu.be/yi1astGG3m4?si=yxY4yT5V77vZcCpG
<고려사 열전 권제7 > 제신(諸臣) > 강감찬 > 강감찬이 귀주 등지에서 거란 침략군을 격퇴하고 개선하다
契丹蕭遜寧來侵, 兵號十萬. 時邯贊爲西北面行營都統使, 王仍命爲上元帥, 大將軍姜民瞻副之, 內史舍人朴從儉·兵部郞中柳參爲判官, 帥兵二十萬八千三百, 屯寧州. 至興化鎭, 選騎兵萬二千, 伏山谷中, 以大蠅貫牛皮, 塞城東大川, 以待之. 賊至, 決塞發伏, 大敗之. 遜寧引兵, 直趍京城, 民瞻追及於慈州來口山, 又大敗之. 侍郞趙元, 又擊於馬灘, 斬首萬餘級.
明年正月, 邯贊以契丹兵逼京, 遣兵馬判官金宗鉉, 領兵一萬, 倍道入衛, 東北面兵馬使, 亦遣兵三千三百入援. 於是, 契丹回兵, 至漣·渭州, 邯贊等掩擊, 斬五百餘級. 二月, 契丹兵過龜州, 邯贊等邀戰於東郊, 兩軍相持, 勝敗未決. 宗鉉引兵赴之, 忽風雨南來, 旌旗北指. 我軍乘勢奮擊, 勇氣自倍, 契丹兵奔北. 我軍追擊之, 涉石川, 至于盤嶺, 僵尸蔽野, 俘獲人口·馬駝·甲冑·兵仗, 不可勝數. 生還者, 僅數千人, 契丹之敗, 未有如此之甚. 契丹主聞之大怒, 遣使責遜寧曰, “汝輕敵深入, 以至於此, 何面目見我乎?, 朕當皮面, 然後戮之.”
邯贊帥三軍凱還, 獻俘獲, 王親迎于迎波驛. 結綵棚備樂, 宴將士, 以金花八枝, 親揷邯贊頭. 左執手, 右執觴, 慰嘆不已, 邯贊拜謝不敢當. 遂改驛名爲興義, 賜驛吏冠帶與州·縣吏同.
거란(契丹)의 "소손녕(蕭遜寧)"이 침입하니, 병사가 100,000명이라 하였다. 당시 강감찬(姜邯贊)은 서북면행영도통사(西北面行營都統使)가 되었는데, 왕은 그를 상원수(上元帥)로 임명하였고 대장군 강민첨(姜民瞻)을 부원수로 하였으며, 내사사인(內史舍人) 박종검(朴從儉)과 병부낭중(兵部郞中) 유참(柳參)을 판관(判官)으로 삼아 군사 208,300명을 거느리고 영주(寧州)에 주둔하게 하였다. 흥화진(興化鎭)에 이르러 기병 12,000명을 뽑아 산골짜기에 매복시킨 후에, 큰 동아줄을 소가죽에 꿰어서 성 동쪽의 큰 냇물을 막고 그들을 기다렸다. 적들이 오자 막아 놓았던 물줄기를 터놓고 복병을 돌격시켜 크게 패배시켰다. 소손녕이 군사를 이끌고 바로 개경으로 진격하자, 강민첨은 자주(慈州)의 내구산(來口山)까지 쫓아가서 다시 크게 패배시켰다. 시랑(侍郞) 조원(趙元)은 또 마탄(馬灘)에서 공격하여 목 벤 것이 10,000여 급(級)이었다.
이듬해 정월, 강감찬은 거란군이 개경 가까이 오자 병마판관(兵馬判官) 김종현(金宗鉉)으로 하여금 병사 10,000명을 거느려 급히 〈개경으로〉 들어가 수비하게 하고, 동북면병마사(東北面兵馬使) 역시 군사 3,300명을 원군으로 보냈다. 이에 거란이 군사를 돌려서 연주(漣州)·위주(渭州)에 이르자, 강감찬 등이 기습하여 500여 급을 목 베었다. 2월에는 거란군이 귀주(龜州)를 통과하자 강감찬 등이 동쪽 교외에서 맞아 싸우니, 양쪽 군사들이 서로 대치하며 승패를 결정짓지 못하였다. 김종현이 군사를 인솔해 그곳에 이르니, 갑자기 비바람이 남쪽에서 불어와서 깃발이 북쪽을 가리켰다. 아군이 그 기세를 타고 용기백배하여 격렬히 공격하니, 거란 군사들이 북으로 도망치기 시작하였다. 아군이 그들을 추격하여 석천(石川)을 건너 반령(盤嶺)에 이르렀는데, 시체가 들을 덮었고 사로잡은 포로, 노획한 말과 낙타, 갑옷, 병장기를 다 셀 수 없을 지경이었다. 살아서 돌아간 자가 겨우 수천 명이었으니, 거란의 패배가 이토록 심한 적은 없었다. 거란의 왕이 패전 소식을 듣고 대노하여, 사자를 소손녕에게 보내어 말하기를, “네가 적을 얕잡아보고 적국 깊이 들어가 이런 지경이 되었으니, 무슨 면목으로 나를 보려는가? 짐은 너의 얼굴 가죽을 벗기고, 그런 후에 죽일 것이다.”라고 하였다.
강감찬이 삼군(三軍)을 거느리고 개선하여 포로와 노획물을 바치니, 왕은 친히 영파역(迎波驛)까지 나와 영접하였다. 비단을 누각에 묶고 풍악을 준비하여 장군과 병사들을 위해 잔치를 열었고, 금으로 만든 꽃 8가지를 몸소 강감찬의 머리에 꽂아주었다. 왕이 왼손으로 〈강감찬의〉 손을 잡고 오른손으로는 술잔을 잡고서 위로와 감탄의 말을 그치지 않으니, 강감찬은 감당할 수 없다며 사의를 표하였다. 드디어 역의 이름을 흥의역(興義驛)으로 고쳤고, 역리(驛吏)들에게 관대를 하사하여 주리(州吏)·현리(縣吏)와 같게 하였다.
->소손녕(蕭遜寧) : 1018년(현종 9) 고려를 침입한 거란 장군은 ‘소배압(소손녕의 형)’인데, 『고려사』 원문에는 ‘소손녕’으로 되어 있다.(『요사』 권16, 본기 16, 성종(聖宗) 7 참고)
첫댓글 최고급 재료가 있었습니다.
단순히 물넣고 소금간 조금하고
손질 살짝해서 끓여도
누구나 맛있게 느껴질 정도의 최고급 재료.
재료 맛만 잘살려도 초등학생조차
미쉐린3성급 맛을 낼 수 있는 그런 꿈같은 재료.
당연히,
재료특성 최대한 살려서 조리 중이었습니다.
근데 갑자기 자존심 넘치는 다른 셰프가
지가 만든 특제 소스 넣으면 더 맛있을거라며
어울리지도 않는 재료와 함께 마구 넣기 시작합니다.
조리 중간에요.
중간 중간 시음 잠깐 해봐도, 아니 해보지 않고
눈으로만 봐도 음식이 이상해지는게 느껴집니다.
내가 기대하던 최고급 재료의 맛이 사라지는 느낌.
그리고 조리 마무리할 때 즈음
갑자기 뜬금없이 최고급 재료를 덜어내서
쓰레기통에 버립니다.
결과물은 다른 음식이 되어버렸고
추가로 넣은 소스와 추가로 넣은 재료가 더 많이 들어간
이상한 결과물로 변질되었습니다.
이 과정을 모두 지켜본 저는
이것을 음식물 쓰레기라고 부르기로 했습니다.
존중합니다. 저는 배를 채우고 갈증을 조금 해소했네요. ㅎ
돗돔으로 생선까쓰 만들어먹은듯함
전투장면이라도 기대하면서 봤는데 갑자기 비오더니 끝. 1회때 나온장면 외에 더 나온것도 거의 없고. 소문난 잔치에 먹을것 없다더니 1회에 잔치상 다 먹어치운거 같더군요.
ㅎㅎ 왕좌의게임 처럼 된 측면도 있네요. 제작 역량과 시간과 투자의 문제로 보입니다. 지금 KBS는 맛이 갔다고 생각하거든요.
솔직히 귀주대첩 장면은 아쉬움이 많았습니다. 그외에도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습니다. 그런 점들만 빼면 대체적으로 괜찮게 봤습니다. 특히 마지막 엔딩 장면이 영화 같더군요 제작비 탓도 있었지만 기존의 사극들과 달리 전개가 상당히 빠른점이 인상깊었습니다.
조선과 달리 지역색이 있고 화려한 색감이 있던 모처럼 고려시대 사극이라 반가웠습니다. 한반도에서 이렇게 정규군대를 데리고 들판에서 회전을 벌여 승리한 것은 거의 유일한 것이라고 생각되네요. 현종의 전후처리와 포상, 복구 행정과 외교전술, 군사전술전략상으로도 배울게 많았던 거란과의 전쟁이었습니다.
@Red eye ㅇㅇ 공감합니다.
다 봤는데
다 떠나서
드라마 제목이 고려 거란전쟁이면
전쟁씬을 우천으로인한 취소때리면 안되었음
그래서 전 별한개도 아까움
아 배우분들은 열연하셨음
잘 읽었습니다. 매번 이 드라마에 대한 평을 쓰는 것을 재밌게 봐왔습니다. 저는 16화까지는 제대로 보고, 그 이후에는 실망감이 들어서 띄엄띄엄 보기는 했지만, 그래도 계속 관심을 가지면서 무슨 이야기가 나오는지 보게 되더군요. 기대감이 높았던 만큼 실망감도 컸던 드라마 같습니다. 여하튼, 레드아이님 그동안 수고하셨습니다. 이후에도 재미있는 글 부탁드립니다. ㅎㅎ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