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기로울 분(芬)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나눌 분(分)자를 했습니다. 나눌 분(分)자는 둘로 잘 나누어진 것을 표시하는 여덟 팔(八)자에 칼 도(刀)자를 해서 나눌 때에는 칼로 나눈다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분단(芬丹) 분란(芬蘭) 분방(芬芳) 분황사(芬皇寺) 분추(芬秋)
무덤 분(墳)자는 무덤은 흙으로 만든다는 뜻으로, 의부(義符)는 흙 토(土)자 변을 했습니다. 그리고, 발음을 표시한 성부(聲符)로 클 분(賁)자를 했습니다. 클 분(賁)자는 조개 패(貝)자 위에 열 십(十)자를 세 개나 해서 돈(貝)이 많음을 표시했습니다. 돈(貝)이 많아 크다는 말이지요. 예나 지금이나 돈(貝)의 힘은 컸던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분묘(墳墓) 봉분(封墳) 분토(墳土) 분영(墳塋) 고분(古墳) 구분(丘墳) 석실분(石室墳)
달릴 분(奔)자는 사람이 보폭을 넓혀서 풀밭에서 달리는 모습을 한 글자인 큰 대(大)자를 의부(義符)로 삼고, 큰 대(大)자 아래에 성부(聲符)로 풀 훼(卉)자를 했습니다. 클 분(賁)자도 풀 훼(卉)자가 들어 있어서 ‘분’으로 읽습니다. 분주(奔走) 분망(奔忙) 분상(奔喪) 분출(奔出) 분마(奔馬) 분방(奔放) 광분(狂奔)
떨칠 분(奮)자는 큰 대(大)자 아래에 새 추(隹)자를 하고 맨 아래에 밭 전(田)자를 했습니다. 새(隹)가 밭(田)에서 날아오르는 모습을 하고 있는 글자입니다. 밭에서 새가 깃털을 펴서 떨치고(大) 일어서는 모습입니다. 활개짓(大)을 하며 힘을 과시하는 글자(奮)입니다. 분력(奮力) 분용(奮勇) 분충(奮忠) 분로(奮怒) 분투(奮鬪) 분기(奮起) 흥분(興奮)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