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름다운 내 故鄕(고향) 巨濟島(거제도)
地理(지리)
거제도는 한반도 남해안의 동부에 위치한 섬이다. 섬의 남쪽으로는 한산도 등 수많은 섬들이 있으며, 이 섬들과 함께 거제도의 일부도 한려해상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이곳들은 임진왜란 당시 《한산대첩》, 《칠천량해전》 등의 격전장이었다.
섬의 최고봉은 최남단에 있는 가라산(580m)이며, 그 밖에 계룡산(554.9m), 대금산(437.5m)과 국사봉(400m) 등의 산이 있다. 해안선 길이는 386.6km로 리아스식 해안의 특징인 복잡한 해안선을 가지고 있다.
1971년 4월 8일 길이 740m의 거제대교가 개통하여 육지와 다리로 연결되었고, 1999년 4월 22일 길이 940m의 신거제대교가 개통되었다. 동쪽으로는 진해만 입구에서 약 9 km 거리에 가덕도가 있으며, 2010년 12월 13일 거제도와 가덕도 사이에 거가대교가 연결되어 부산으로 직통 육로가 열렸다. 거제도의 주요 섬 중 칠천도는 2000년 1월 1일 칠천연륙교로 연결되었고, 가조도는 2009년 7월 13일 가조연륙교로 연결되었다.
巨濟灣(거제만)
地圖(지도) 地理(지리)
거제도 가볼만 한 곳 외도,
아름답기만한 섬에 숨겨진 정성가득한 이야기
https://www.youtube.com/watch?v=vZSRLAAHFqo
남해의 낙원 '거제도' / YTN (Yes! Top News)
https://www.youtube.com/watch?v=po2l_SJAO-s
거제도 해금강, 섬 전체가 식물원인 외도, 바람의 언덕, 신선대 #기암괴석 #해금강 유람선 [Korea Island]
https://www.youtube.com/watch?v=jC723aXSiWM
위치 | 동아시아 |
좌표 | 북위 34° 51′ 29″동경 128° 37′ 06″ / 북위 34.85806° 동경 128.61833° / 34.85806; 128.61833 |
면적 | 379.23 km² |
최고점 | 580m (가라산) |
행정 구역 | |
대한민국 | |
도 | 경상남도 |
시 | 거제시 |
거제도(巨濟島)는 경상남도 거제시의 본섬으로, 제주도에 이어 대한민국에서 2번째로 큰 섬이다. 면적은 379.23 km²이다.
북동쪽으로 부산 가덕도와 거가대교로 연결되어 있으며, 서쪽으로는 통영시와 신거제대교로 연결되어 있다. 북쪽 해안은 진해만(鎭海灣)과 접한다. 높은 산이 많으며 경사가 급한 편이다. 조선업과 어업이 발달하였다.
目次(목차)
아비 도래지
이 부분의 본문은 거제도 연안의 아비 도래지입니다.
歷史(역사)
삼한시대는 변한의 12개 나라 중 독로국(瀆盧國)에 해당하였고, 757년(신라 경덕왕 16년)부터 거제(巨濟)라는 현재의 명칭이 사용되었다. (史學家(사학가) 이병도(李丙燾)는 瀆盧國(독로국)은 巨濟(거제) 아니고 釜山(부산) 東萊(동래)로 主張(주장)하고 있어 더 硏究(연구)가 必要(필요)하다.)
高麗(고려) 때 岐城縣(기성현)으로 불리다가, 朝鮮(조선) 時代(시대)에는 巨濟縣(거제현)이라고 불렸다. 地理的(지리적)으로 日本(일본)에 가까워 이 時期(시기)에는 倭寇(왜구)의 侵入(침입)에 자주 시달렸다. 壬辰倭亂(임진왜란)이 벌어지자 1592년 玉浦海戰(옥포해전), 閑山大捷(한산대첩), 1597년 漆川梁海戰(칠천량해전) 등 主要(주요) 海戰(해전)이 벌어졌고, 이 때문에 隣近(인근)의 統營(통영)에 三道隋軍統制營(삼도수군통제영)이 設置(설치)되었다.
1914년 4월 1일 統營郡(통영군)으로 編入(편입)되었다가, 1953년 1월 1일 巨濟郡(거제군)으로 다시 分離(분리)되었다. 韓國戰爭(한국전쟁) 中(중)에는 유엔군(UN軍)에 의해 巨濟島(거제도) 捕虜收容所(포로수용소)가 運營(운영)되었다.
1974년과 1981년 造船所(조선소)가 잇달아 들어서면서 生産(생산)活動(활동) 人口(인구)가 急速(급속)히 流入(유입)되어 이 地域(지역) 經濟發展(경제발전)의 原動力(원동력)이 되었다. 1989년 1월 1일 長承浦邑(장승포읍)이 시(市)로 승격하여 巨濟郡(거제군)과 分離(분리)되었다가, 1995년 1월 1일 長承浦市(장승포시)와 巨濟郡(거제군)이 統合(통합)하여 勞動複合市(노동복합시)인 巨濟市(거제시)가 되었다.
(장승포시(長承浦市)는 경상남도 동부 지역에 있었던 행정 구역이었다. 거제군과 통합하여 현재는 거제시가 되었다.
면적 30.1km2이며,옥녀봉(玉女峰:565m)·국사봉(國士峰:470m)을 주봉으로 하는 산지로 둘러싸여 옥포만에 면해 있는 지역이다. 1935년 통영군 이운면(二運面)이 장승포읍으로 승격되고 1953년 통영군에서 거제군으로 관할이 옮겨졌다. 1973년 대우조선소가 들어서면서 인구가 유입되었고 1989년 1월 장승포시로 승격되었다. 하지만 1994년 도시와 농촌의 복합 형태의 행정구역을 개편하는 정부시책으로 1995년 1월 관내 장승포·마전(麻田)·능포(菱浦)·아주(鵝州)·옥포 1·2동 등 6개 동을 거제군과 통합, 거제시로 개편하였다. 행정구역상으로는 1989년 이전의 거제군 상태로 되돌아갔다. 통합 당시의 인구는 약 5만을 헤아렸다.1989년 1월 1일 장승포읍이 장승포시로 승격하여 거제군과 분리되었다.)
文化(문화)
복잡한 리아스식 해안의 형태를 가지고 있고, 경치 좋은 해변과 해수욕장이 많다. 구조라 해수욕장, 와현 해수욕장, 명사 해수욕장 등과 학동몽돌 해변 등이 있어 여름에는 인근 서부경남 지역의 피서지이기도 하다. 주변 해안의 해금강과 외도 자연농원도 유명한 볼거리이다.
觀光(관광)
交通(교통)~道路(도로)
국도 제14호선과 지방도 제1018호선이 주간선도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섬의 서쪽으로는 신거제대교와 거제대교를 통해 육지와 연결되어 있다. 섬의 북동쪽으로는 2010년 12월 13일 거가대교가 개통되어 부산광역시도 제17호선을 통해 부산광역시와 연결되었다. 그 밖에도 여러 보조간선도로가 있다.
버스(Bus)
가장 많이 이용되는 교통수단이며, 서울에서 거제까지는 4시간30분 정도 소요된다. 2010년 12월 거제-부산 사이에 거가대교가 개통되면서 거제 고현터미널 - 부산 사상시외버스터미널 간 통행거리가 140km에서 60km로 크게 줄어, 통행시간이 3시간에서 1시간20분으로 단축되었다. 2014년 1월부터 거가대교를 경유하여 거제도와 부산을 잇는 직행좌석버스가 운행하고 있다. 이 버스는 연초면, 옥포 시내, 장목, 가덕도, 녹산공단, 도시철도 하단역 노선을 운행한다. 그 밖에 고현-진주 간은 1시간15분, 고현-대전 간은 2시간50분이 소요된다.
거제시의 시내버스는 배차간격이 긴 편이며 승객이 많지 않다. 시내버스에는 BIS(버스정보시스템)가 적용되어 각 버스정류장마다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고, 노선별 버스 도착시간 안내서비스가 실시 중이다.
航空(항공)
거제도에서 가장 가까운 空港(공항)은 사천공항으로, 自動車(자동차)로 1시간 거리에 있다. 2010년 12월 13일 巨加大橋(거가대교)가 개통하여 金海空港(김해공항)까지 소요시간이 1시간20분으로 대폭 단축되면서 거제도의 航空交通(항공교통) 접근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海洋交通(해양교통)
실전(거제)-속천(진해) 노선에 카페리가 운항 중이다. 2010년 12월 14일 거제도와 부산을 잇는 거가대교가 개통되기 전까지는 거제-부산, 거제-안골(진해) 간 페리 노선도 운항하였으나, 거가대교 개통 후에 운항이 중단되었다.
巨加大橋(거가대교)
거가대교(巨加大橋)는 부산광역시 강서구 천성동에서 가덕도와 죽도, 저도를 거쳐 거제시 장목면을 잇는 교량터널이다. 2010년 12월 13일에 개통되었으며, 총길이 3.5km의 2개의 사장교 와 3.7km의 침매터널, 총길이 1km의 2개의 육상터널로 이루어져 총 길이는 8.2km에 달한다. 도시고속도로인 거가대로(부산광역시도 제17호선)를 구성한다. 거가대교를 포함한 거가대로 개통으로 부산~거제(부산 사상시외버스터미널~거제 고현터미널) 간 통행거리는 기존 140km에서 60km로, 통행시간은 기존 130분에서 50분으로 단축되었다.
目次(목차)
沿革(연혁)
1994년 : 김영삼 대통령 당시 공약으로 사업계획 실시, 사업명 '거제~부산 간 연결도로'
2010년 12월 14일 : 일반에 대해 무료통행 개시
2020년 1월 1일 : 대형차량 통행료를 기존 25,000원에서 20,000원으로, 특대형차량 통행료를 기존 30,000원에서 25,000원으로 인하
槪要(개요)
부산광역시 강서구 천성동의 가덕도에서 경상남도 거제시 장목면 유호리 구간을 연결한다. 이로써 광역도로망이 구축되어, 동남광역권의 산업, 항만, 물류를 담당하게 되며, 거리는 140km에서 60km로 줄고, 시간은 1시간 30분이 걸리던 연결거리를 40분 내로 단축 연결함으로써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통영대전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부산대구고속도로 등과 연결되어 기존의 남해고속도로와 경부고속도로의 교통량이 분산될 것으로 기대된다. 거가대교의 개통으로, 부산과 거제는 하나의 생활권으로 묶이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통영과 고성을 포함한 10개 지역(인구 673만명)이 부산광역경제권에 묶이게 되었다.
着工(착공) 및 完工(완공)
총사업비는 1조 4,469억원이며, 국고 지원은 28%에 민간자본 72%가 투입되었다. 2004년 12월에 착공되었으며, 2010년 12월 13일 오후 2시에 개통식을 하였고 차량 통행은 다음날인 12월 14일 오전 6시부터 가능해졌다.
施行社(시행사)
거가대교 건설사업에는 다음과 같은 업체가 참여하였다.
대우건설(43.45%)
대림산업(21.3%)
두산건설(13.6%)
SK건설(8.0%)
고려개발(5.7%)
한일건설(5.3%)
원하종합건설(1.5%)
한국도로관리(주)(1.15%)
構成(구성)
대한민국 최초로 침매터널(Immersed Tunnel, 오차 ≤4 cm)과 2주탑과 3주탑이 연속된 사장교이다. 왕복 4차로에 총 길이는 8.204km로, 사장교 3.5 km, 침매터널 3.7 km, 육상터널 1km로 구성되어 있다.
巨加大橋(거가대교) 파노라마, 巨濟(거제) 休憩所(휴게소)
論難(논란)
通行料(통행료)
거가대교 개통 이전인 2010년 11월 25일에 거가대교 건설조합과 GK해상대교 측은 거가대교 통행료를 승용차를 기준으로 10,770원으로 해 논란이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11월 30일에 통행료를 770원을 인하해 10000원으로 책정하였지만 이런 극소폭 인하에 대해 지역 주민들이 반발을 해 감사원에 감사를 청구하였다. 또한 거가대교보다 4 km 이상 긴 12.3 km 인천대교의 통행료에 비해 배 가까이 비싸며, 국내 유료 도로 가운데서도 가장 비쌀 뿐만 아니라 민자도로 중에서 서울양양고속도로의 덕소삼패 나들목 ~ 춘천 분기점 구간과 인천대교의 운영기간은 30년인데 비해 거가대교는 40년이 되어 큰 논란이 되고 있다.[10]
2010년 12월 14일부터 2010년 12월 31일까지는 무료로 이용할 수 있었고, 통행료는 2011년 1월 1일부터 징수하기 시작하였다. 요금은 계획대로 10,000원 (소형차 기준)이다. 장애인 차량은 2,900원이다.
가드레일
창원시에서는 도로 미관을 위하여 불모산터널에 경관 가드레일, 즉 일반 가드레일보다 좀 더 아름다운 가드레일 설치를 승인하였는데, 이 경관 가드레일은 일반 가드레일보다 강도도 약하였으며, 설치비도 훨씬 더 많이 들어 예산 낭비로 지적받기도 하였다.
감사원은 2012년 3월 이 가드레일이 국토해양부의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다며 경상남도와 감리단등에 통보하였다. 자동차전용도로의 경우 가드레일의 성능이 14톤 차량이 시속 65km로 비스듬히 충격하였을때도 견딜 수 있는 5등급 이상이 되어야 하는데 이 경관 가드레일은 이보다 낮은 3등급이라는 것이다. 경상남도는 경관만이 아니라 현장의 도로구조 등도 반영해 설치하였다며 감사원에 이의를 신청할 방침을 밝혔다.
그런데 이 가드레일은 거가대교에도 설치되었다고 한다. 이 가드레일은 불모산터널과 거가대교 모두 경남도 요구로 설치되었는데, 거가대교의 경남도 연결부분에만 해당 가드레일이 설치된 것이 이를 증명한다.
通行料(통행료)
2020년 1월 1일 기준이다. 통행료는 2050년 12월 31일까지 징수할 예정이다.]
區分(구분) | 통행료 |
경차 (1,000cc 미만) | 5,000 |
소형(2축, 윤폭 279.4mm 이하) | 10,000 |
중형(2축, 윤폭 279.4mm 초과 1,800mm 이하) | 15,000 |
대형(2축, 윤폭 1,800mm 초과) | 20,000 |
특대형(3축 이상) | 25,000 |
關聯(관련) TV 프로그램
EBS 《극한 직업》 거가대교 건설현장 (2008년 4월 2일 ~ 4월 3일)
EBS 《다큐프라임-원더풀사이언스》 세계신기록 5개의 첨단 건설공학 거가대교! (2009년 11월 19일)
KBS 《다큐멘터리 3일》 바다를 달리다 - 부산~거제간 연결도로 3일 (2010년 4월 18일)
같이 보기
체서피크 베이 브리지 터널(CBBT, en:Chesapeake Bay Bridge-Tunnel)
巨加大橋(거가대교) 加德(가덕)海底(해저)터널
巨加大橋(거가대교) 陸上(육상)터널
巨加大橋(거가대교) 柱塔(주탑)
加德(가덕)海洋(해양)파크
加德(가덕)海洋(해양)파크,창너머가 침매터널 부분이다.
加德(가덕)海洋(해양)파크 弘報館(홍보관)
加德(가덕)海洋(해양)파크, 바다 부분이 침매터널,
그 너머가 巨加大橋(거가대교)
加德(가덕)海洋(해양)파크
留意事項(유의사항)
巨加大橋(거가대교)의 두 다리 사이는 白鷺(백로) 棲息地(서식지)라 警笛(경적) 使用(사용)이 禁止(금지)된다.
脚注(각주)
↑ 높이 156m 사장교, 웅장함에 압도 - 거제신문, 2008년 12월 4일
↑ “新 남해안시대 동맥 '거가대로' 개통(종합)”. 연합뉴스. 2010년 12월 13일.
↑ 부산광역시 공고 제2010-1230호, 2010년 12월 29일.
↑ 경상남도공고 제2010-926호, 2010년 12월 24일.
↑ 경상남도공고 제2019-1796호, 2019년 12월 12일.
↑부산시 (2008년 4월 23일). “거가대교 건설의 시너지효과 제고방안”. 2009년 5월 3일에 확인함.
↑ 부산~거제도 연결 새 남해안 시대 열리다《경향신문》2010년 12월 13일 작성.
↑ “거가대교 그 위용을 드러내다”. 모닝뉴스. 2008년 12월 1일. 2009년 5월 3일에 확인함.
↑ “‘1만770원’ 거가대교 통행료 논란”. 파이낸셜뉴스. 2010년 11월 25일.
↑ “‘거가대로’ 잠정 통행료 만 원…감사 청구”. KBS. 2010년 12월 13일. 2011년 11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이동: 가 나 “보관된 사본”. 2014년 7월 2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2월 5일에 확인함.
↑ “보관된 사본”. 2015년 12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12월 5일에 확인함.
↑ “GK해상도로주식회사 - 통행료 안내”. 2020년 1월 2일에 확인함.
外部(외부) 링크
거가대교 건설의 시너지 효과 제고방안 (PPT)
지방도 | 1018호 |
市內(시내) | 티머니(버스, 지하철 요금을 지불하는 교통 카드의 기능과 결제 따위를 할 수 있는 신용 카드의 기능이 합쳐진 카드.) |
공원 | 교통 | 누정 | 도로 | 도서관 | 동굴 | 박물관 | 산 | 서원 | 섬 | 성 | 온천 | 저수지 | 종합병원 | 축제 | 하천 | 해수욕장
거제시의 교통 | |
일반도로 | |
주요 간선도로 | |
버스 | |
해상 | |
기타 |
鐵道(철도)
철도는 없다. 마산역이나 부산역으로 가려면, 자동차로 1시간30분 정도 이동해야 한다.
같이 보기
脚注(각주)
↑ “120417(조간)_2012년도_지적통계연보_발간(지적기획과1)”(HWP). 2012년 4월 16일.
↑ “고속도로 따라 꿈틀대는 부산권 경제”. 한국경제. 2009년 1월 13일.
↑ 부산∼거제 시내버스 22일부터 운행 동아일보, 2014.1.21.
↑ ‘실전~진해 속천 카페리’만 남았다. Archived 2016년 3월 5일 - 웨이백 머신 거제중앙신문, 2011.1.14.
外部(외부) 링크
(한국어)巨濟市(거제시) 公式(공식) 사이트
거제시 | 가조도 갈도 갈산도 거제도 대병대도 백사도 산달도 소다포도 소병대도 송도 외도 윤돌도 저도 칠천도 |
고성군 | 문래섬 상비사도 소치섬 윗대호섬 하비사도 |
남해군 | 고도 남해도 노도 마안도 목도 사도 상장도 세존도 소목과도 소치도 죽암도 창선도 |
사천시 | 늑도 솔섬 우무섬 학섬 향기도 |
창원시 | 곰섬 대율도 부도 소율도 소쿠리도 수도 수우도 양도 연도 우도 웅도 음지도 잠도 저도 지리도 초리도 |
통영시 | 가왕도 갈도 갈도쌍여 곤리도 국도 납도 네바위 녹운도 농가도 대혈도 두미도 등대섬 막도 만지도 매물도 미륵도 비산도 비진도 사량도 상노대도 소구을비도 소덕도 소매물도 소지도 소초도 솔여도 송도 수도 수우도 안거칠리도 어유도 어의도 연대도 연화도 오곡도 오비도 외부지도 욕지도 용초도 우도 읍도 입도 자사리제도 장사도 저도 적도 좌도 좌사리도 죽도 지도 초도 추도 추봉도 춘복도 하노대도 하서도 학림도 한산도 해간도 홍도 |
하동군 | 마도 소마도 소첨도 악도 오동도 장도 채도 토도 혈도 |
이 문서는 2020년 11월 13일 (금) 19:44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서울특별시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 광주광역시 |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 강원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전라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
|
첫댓글 이승철 일 2020-11-29 오후 5:12 거제 사는 사람 보다 더 잘 아십니다. 고향 생각이 납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