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다 유희
영어에 joy가 있다.
joy
1. (큰) 기쁨, 환희 2. 기쁨(을 주는 사람・것) 3. 성공, 만족
됴아 둏아-->조아 좋아(어원) 어근 둏
y 나 -oi 들어가는 철자는 g가 대부분 생략이 되어 있다.
이런 예는 터키어로 산을 다으 라 발음하고 산 [ 山 ] Daǧ 이렇게 묵음으로 없어지는
경우가많더라. 닥 우리말의 둔턱 할때 턱이나 높은 것을 의미하는 언덕할때 덕 과
어원이 같은 것이다.
높은 곳을 이르는 우리말 달동네 할때 달 -역시 어원이 같다.
타르-->다르 혹은 달-->다흐-->닥
타르-->다르 혹은 달-->단-->th번데기-->산
g는 ㅎ발음이 날 수도 있고 발음이 약해져 ㅇ으로 음가가 없어져 버리기도 한다.
이런 발음변화로 우리들이 우리말인 것을 알아채지 못하는데
하나 예를 들면
자이로 [gyro]
자이로라는 말은 원래 라틴어로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g를 ㄱ으로 읽으면 우리말이 보인다.
그르 기르 구르 굴러-->어원
구른다는 것을 회전 돌아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joy (n.)
c. 1200, "feeling of pleasure and delight;" c. 1300,
"source of pleasure or happiness," from Old French joie
"pleasure, delight, erotic pleasure, bliss, joyfulness" (11c.)
, from Latin gaudia "expressions of pleasure; sensual delight,
" plural of gaudium "joy, inward joy, gladness, delight;
source of pleasure or delight," from gaudere "rejoice,"
from PIE root *gau- "to rejoice" (cognates: Greek gaio
"I rejoice," Middle Irish guaire "noble").
g가 항상 ㄱ발음만 나는 것은 아니지.
이런 발음의 유동성에 대해서 모르면 어원찾기 힘들지.
gene 진 이라 읽고 genome은 영어에서는 지놈 독일어에서는 게놈으로 읽는다.
general 영어에서는 제너럴 스페인어에서는 헤네랄 이라 읽는다.
Argentina 영어에서는 알젠티너 스페인어에서는 아르헨띠나.
예)ge gi 헤 히 gemelo 헤멜로(쌍둥이) gitano 히따노 (집시)
g는 나라에 따라 ㅎ 로도 날 수가 있는 것이다.
체코수도 프라하 prague 프라그
독일어로 책 Buch 부흐~ 영어는 book 북
즉 본다는 것이다.책을 보다
명사를 지칭할때 꼭 그대로 표현하는 것이 아니다.
명사는 동사,형용사나 부사에서 파생되어 만들어지는 것이다.
아주 근원적으로 올라가면 그렇다는 말이다.
좋아할,호 好 역시 같은 어원이다.
ㄷ-->ㅈ j로 쓰기 때문에 ㅎ발음으로도 가능하다.
스페인어에서는 j를 ㅎ으로 포르투갈어에서는 그대로 ㅈ으로
발음하는 경우와 같다.
ㄷ<-->ㅈ 발음이 잘 변화하는 호환성을 가지는 발음이다.
d,z,j,g 등이 변화를 잘 한다.
觸 닿을,촉 아래자료참고하면
받침 ㄱ은 kh 그러니 ㅎ과 호환
ㅊ은 ㅌ에서 변한 것이니 그럴만도 하다.
어찌보면 같은 발음 어원에서 분화된 것일지도 모른다.
라틴어에도 ludere 놀라 의 의미가 한자발음 遊 유 와 어원이 같다.
동사활용을 보면 ludo ludis ludit ludimos luditis ludunt
遊 l은 반모음성질 l 이으
고로 유 로 소리가 난다.
베트남어 du [遊] 역시 '두'의 변음 '주'라고 읽는다.
그런데 베트남 남부로 가면 '유' 라고 발음한다.
遊 떠돌아다니다 여행하다는 뜻도 있다.
뜨다
자리를 뜨다--> 이동하다
travel 떠삘 혹은 떠나삘-->떠나버리다의 경상도사투리
trip 떠나삐 혹은 떠뿌 -->떠나버리다의 경상도사투리
tradition 전통 이라고 하지만
이 단어도 순우리말로 되어있다.
퉈래뎌셤-->둬내뒀음-->저내줬음-->전해줬음 (어원)
ㄴ<-->ㄹ 간의 변화와 받침 n<-->m의 비음현상 ㄷ-->ㅈ 변화가 일어남.
보내다 send sent 역시 마찬가지다.
아래자료 보면 이동한다는 뜻인데
뜨다 뜨니더 뜬다의 경상도사투리
우리말 모르면 왜 이동하는지 모르는 것이다.
sent 나 send는 떤다 뜬다 전다 즌다 준다 등 발음에 따라 다양한 의미가 나온다.
이렇게도 이해할 수가 있다.
영어단어에 있는 여러가지 뜻은 이런 우리말 발음변화를 통해 다양한 그 뜻을 입증할 수가 있다.
우리말발음 아 다르고 어 다른데 우리말을 생각하면 답 나온다.
특히 동음이의어 같은 경우 그렇다.우리말이 해답의 열쇠다.
자리를 뜨다
이동을 의미하는 동시에 전달을 의미한다.
send
1. (특히 우편・이메일・무선 등으로) 보내다, 발송하다 2. (메시지・전갈을) 전하다
한자로 전갈 전달
전할,전 傳 한자발음 (여기서는 s의 ㅈ발음)역시 영어와 같은 뿌리다.
한자발음 역시 상당부분 산스크리트어에서 왔기에 (나머지는 알타이어 공통어근)
둔다 돈다-->준다(현재 씀) 존다(현재 안 씀)
s의 ㅈ발음을 이해.상황에 따라 -sion이 젼 이나 션 으로 발음.
경상도 말에 도-->줘 의 의미
먹을 것 좀 줄래? 경상도 말로 ===>물꺼 좀 도.
발음변화법칙 t-->th번데기-->s 이걸 알아야 한다.
tr은 ㄸ-->ㅉ 베트남어에서는 tr-은 ㅉ발음
ㅌ 혹은 ㄸ-->th번데기-->ㅅ
present 할때 sent랑은 의미가 다르다.
앞에 있언니드 존재의 의미 pre+esent로 구성된다.
선물의 뜻일때는 sent는 주다는 말이다.gift 조삐다 줘삐다
s의 ㅈ발음
presentation 보내줬었음-->어원
발표의 뜻일때는
보여줜니드-->보여주었습니다의 경상도사투리
presentation 보여줬었음-->어원
presentation
1. 제출, 제시; 수여, 증정 2. <제공・설명하거나 보여주는 방식>
마음을 담은 호의를 보내거나 설명를 보여주는 것이다.
프리젠테이션 역시 상대방에게 보내주거나 혹은 여러사람에게 보여주는 것이다.
Meaning: "travel" | Query method: Match substring
Proto-IE: *sent-
Meaning: to walk, to travel
Avestan: hant- (prs. hi-šanat_, ft. ni-šąsyā) `gelangen, gelangen lassen'
Armenian: ǝnthach `Weg, Gang', ǝnthanam `gehe, reise, eile'
Baltic: *süñt- (*süñt-a-/-ja-) vb. tr., *suñt-ī̂- vb.
Proto-Baltic: *süñt- (*süñt-a-/-ja-) vb. tr., *suñt-ī̂- vb.
Meaning: send
Lithuanian: sių̃sti (siuñta/siuñčia, siuñtē) `schicken, senden'
Lettish: sùtît (-tu, -tĩju) `schicken, senden'
Celtic: *snt- > OIr sēt `Weg', sētig `Frau'; Cymr hynt `Weg', OCorn cam-hinsic `iniustus', cun-hinsic `justus', OBret do-guo-hintiliat (gl.) `inceduus', MBret, Bret hent `Weg'
Russ. meaning: ходить, путешествовать
References: WP II 196 f
들뜨다
마음이나 분위기가 가라앉지 아니하고 조금 흥분되다.
be excited
float on air
들떠있다
뜨 혹은 떠---->어원
뜨--->뚜 (원순모음화)
기분 좋으면 위로 붕~뜬다.
터키어 oyun
jesus 예수 j는 d,g,z음과 호환성을 이룬다.
제사지내는 祭와 관련이 깊다.
ㄷ-->ㅈ-->ㅇ
ㄷ-->ㄹ-->ㄴ-->ㅇ 과 같은 발음변천을 거친다.
play를 구글번역기 돌리면
타밀어 Viḷaiyāṭa 벌였다.
잔치를 벌이다 일을 벌이다
힌디어,텔루구어 ple 벌여
한자발음 놀,유 遊의 어원이 되는 말
일본어 놀다의 뜻인 아소부 의 어원이 된다.
Meaning: "play" | Query method: Match substring
Proto-Altaic: *òǯa
Meaning: to play
Russian meaning: играть
Turkic: *oj-
Proto-Turkic: *oj-
Meaning: 1 play 2 to play 3 to jump
Russian meaning: 1 игра 2 играть 3 прыгать
Old Turkic: ojun 1, ojna- 2 (OUygh.)
Karakhanid: ojun 1, ojna- 2 (MK) Turkish: ojun 1, ojna- 2
Tatar: ujɨn 1, ujna- 2
Uzbek: ọjin 1, ọjna- 2
Uighur: ojun, ojan 1, ojni- 2
Sary-Yughur: oin, ujin 1
Azerbaidzhan: ojun 1, ojna- 2
Turkmen: ojun 1, ojna- 2
Khakassian: ojɨn 1, ojna- 2
Shor: oin 1
Oyrat: ojɨn 1, ojno- 2
Chuvash: vъʷjъʷ 1
Yakut: ōnńū 1, ōnńō- 2, oj- 3
Dolgan: oj- 3, ōnńō- 2
Tuva: ojun 1, ojna- 2
Kirghiz: ojun 1, ojno- 2
Kazakh: ojɨn 1, ojna- 2
Noghai: ojɨn 1
Bashkir: ujɨn 1, ujna- 2
Balkar: ojun 1, ojna- 2
Gagauz: ojun 1, ojna- 2
Karaim: ojun 1, ojna- 2
Karakalpak: ojɨn 1, ojna- 2
Kumyk: ojun 1, ojna- 2
Comments: EDT 274, 275, ЭСТЯ 1, 435-436, Stachowski 190, 198. The verb also has sexual connotations, preserved in Kirgh., Oyr., Bashk. and Yak. (where it also means 'to flirt, be in love') and in the common Turkic derivative *ojnaĺ 'lover' (see ЭСТЯ ibid.) - important for establishing external connections. Mongolian: *oǯu-
Proto-Mongolian: *oǯu-
Meaning: 1 to kiss 2 penis
Russian meaning: 1 целовать 2 penis
Written Mongolian: oǯu-, oǯi- 1, oǯuɣui, oǯuɣu 2 (L 626) Middle Mongolian: oǯu- 1, aǯoɣa 2 (IM), uǯa- 1, uǯaɣaj 2 (MA), uǯa- 1, uǯoqa, uǯǝqai 2 (LH) Khalkha: oʒo- 1
Buriat: ozogoj 2
Kalmuck: ozā, ozǝɣǟ 2
Ordos: oǯoGo, oǯoGȫ 2
Monguor: oǯoGwǝ̄, ǯoGwǝ̄, ʒ́iGwǝ̄ (SM 72) 2 Tungus-Manchu: *(x)oǯu
Proto-Tungus-Manchu: *(x)oǯu
Meaning: oestrum
Russian meaning: течка
Even: oǯụ
Comments: ТМС 2, 7. Cf. perhaps also Oroch uǯaǯina- 'to play on a wooden instrument' (if the original meaning was 'play' ('playfulness (of animals)' > 'oestrum'). Japanese: *àjà-
Proto-Japanese: *àjà-
Meaning: 1 to manipulate by strings (dolls etc.) 2 to nurse
Russian meaning: 1 манипулировать при помощи веревок (куклами и т.п.) 2 нянчить
Middle Japanese: àjà-túr- 1
Tokyo: ayatsúr- 1, ayas- 2
Kyoto: áyátsúr- 1
Kagoshima: ayatsúr- 1
Comments: JLTT 679. The Tokyo accent is aberrant; otherwise all sources point to low tone. Comments: Poppe 64, TMN 2, 225 ("semantisch möglich, nicht mehr").
Chinese: "遊" | Query method: Match substring
Proto-Sino-Tibetan: *jua
Sino-Caucasian etymology: Sino-Caucasian etymology
Proto-Sino-Caucasian: *=ĭxwV
Meaning: to float, roam
Sino-Tibetan: *jua
Proto-Sino-Tibetan: *jua
Meaning: float, wander about
Tibetan: g-jo (p.,i. g-jos) to move.
Burmese: jǝw flow, leak; mjawh to float down, drift, hmjawh to set afloat.
Kachin: jo1, joŋ1 to float with the stream.
Lushai: zoʔ go along, walk along; follow (as road).
Comments: Tsangla yu; Rawang ǝyü; Trung a3-jǝ2 to flow. Ben. 103. Cf. also Karen *ju.1B, Kanauri ya-m-, Tani *yo- 'fly', with a nasal suffix also Naga *yoŋ, Chepang šuŋ id.
Meaning: float, wander about
Chinese: 遊 *lu wander about; 游 *lu float.
Character: 遊
Modern (Beijing) reading: yóu
Preclassic Old Chinese: lu
Classic Old Chinese: lu
Western Han Chinese: lǝw
Eastern Han Chinese: źǝw
Early Postclassic Chinese: źiw
Middle Postclassic Chinese: jiw
Late Postclassic Chinese: jiw
Middle Chinese: jǝw
English meaning : to float, wander about, ramble, divert oneself
Russian meaning[s]: 1) бродить, гулять; кочевать; путешествовать; бродячий, кочевой; подвижный, передвижной; 2) слоняться без дела; развлекаться; наслаждаться; беспутный; 3) действовать, легко управляться (напр. с ножом); 4) действовать молниеносно; партизанить; летучий; 5) плавать, см. 游; 6) ходить с проповедью, проповедовать (свое учение); 7) обращаться; учиться у...
Sino-Tibetan etymology: Sino-Tibetan etymology
Proto-Sino-Tibetan: *jua
Meaning: float, wander about
Tibetan: g-jo (p.,i. g-jos) to move.
Burmese: jǝw flow, leak; mjawh to float down, drift, hmjawh to set afloat.
Kachin: jo1, joŋ1 to float with the stream.
Lushai: zoʔ go along, walk along; follow (as road).
Comments: Tsangla yu; Rawang ǝyü; Trung a3-jǝ2 to flow. Ben. 103. Cf. also Karen *ju.1B, Kanauri ya-m-, Tani *yo- 'fly', with a nasal suffix also Naga *yoŋ, Chepang šuŋ id.
Dialectal data: Dialectal data
Number: 1747
Character: 遊
MC description : 流開三平尤以
ZIHUI: 6662 1616
Beijing: iou 12
Jinan: iou 12
Xi'an: iou 12
Taiyuan: iou 1
Hankou: iou 12
Chengdu: iǝu 12
Yangzhou: iôɨ 12
Suzhou: iöy 12
Wenzhou: ɦiau 12
Changsha: iôu 12
Shuangfeng: iû 12
Nanchang: iu 31
Meixian: jiu 12
Guangzhou: jau 12
Xiamen: iu 12
Chaozhou: iu 12
Fuzhou: ieu 12
Radical: 162
Four-angle index: 6524
Karlgren code: 1080 g
Tibetan: g-jo (p.,i. g-jos) to move.
Burmese: jǝw flow, leak; mjawh to float down, drift, hmjawh to set afloat.
Kachin: jo1, joŋ1 to float with the stream.
Lushai: zoʔ go along, walk along; follow (as road).
Comments: Tsangla yu; Rawang ǝyü; Trung a3-jǝ2 to flow. Ben. 103. Cf. also Karen *ju.1B, Kanauri ya-m-, Tani *yo- 'fly', with a nasal suffix also Naga *yoŋ, Chepang šuŋ 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