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간은 사회적 동물’입니다
인간은 본래 여러 사람이 서로 힘을 합해서 살아가는 존재라는 뜻이지요. 따라서 여러 사람이 함께 모여 사는 ‘사회’를 공부하는 것은 중요하며 반드시 필요하답니다. 그렇다고 해서 사회 공부가 정답을 찾는 지루한 과정은 아닙니다. 사람들이 모여 살아가는 다양한 모습을 체험하고 진지하게 관심을 가지다 보면 저절로 재미있어지거든요. 《도비와 함께 사회 공부 뚝딱!》은 여러분에게 사회의 다양한 모습을, 마치 즐거운 여행을 하듯이 보여 줄 것입니다.
감수‧추천 박성혁 (서울대 사회교육과 교수)
사회 공부를 쉽게 하려면
사회 교과서를 만드는 여덟 갈래를 알면 돼요!
초등학교 3학년이 되면 1, 2학년 때 배우지 않던 사회 과목을 새로 배웁니다. 그런데 사회 교과서에 담긴 정보량이 워낙 많고, 그동안 어린이들이 접하지 않던 생소한 내용을 설명하고 있어서 공부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하지만 방법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물건을 쉽게 들기 위해 손잡이를 단 것처럼, 사회 공부를 쉽게 하려면 먼저 교과서를 구성하는 갈래를 익히면 되거든요.
이 책은 어린이들이 사회 교과서에 나오는 내용을 이해하기 쉽도록, 사회의 다양한 모습을 8가지로 묶어 이야기로 꾸몄습니다. 주인공 도비를 따라 사회 교과서를 만드는 8개의 갈래를 익히고 사회 공부를 쉽게 해 보아요. 사회 공부 뚝딱! 해 치우러 떠나 볼까요?
* 이 책에서 설명하는 사회 교과서의 여덟 갈래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한옥을 돌아보면서 옛날과 지금의 집이 어떻게 다른지 알려 주고,
시끌벅적한 ②시장 구경을 하면서 사람들이 필요한 물건을 어떻게 구하는지 알아봅니다.
우리가 생활하면서 사용하는 ③도구가 시간이 지나면서 어떻게 변화했는지 찾아보고,
어떤 물건이든 역사를 한눈에 보여 주는 ④박물관 견학도 합니다.
농촌에서 ⑤모내기 체험을 하면서 밥이 어떤 과정을 거쳐 우리 식탁에 오르는지 알아보고,
어촌에서 1년 동안 고기 잡으며 무사히 지내게 해 달라고 비는 ⑥풍어제도 구경할 거예요.
또 동네와 나라를 한 바퀴 돌면서 ⑦다양한 이웃(다문화 이야기)과 이야기도 나누고,
⑧우리나라의 모습(한국 지리)이 어떻게 생겼는지도 알아봅니다.
사회 교과서를 쉽게 쉽게 따라가다 보면 궁금증이 저절로 생겨요!!
뒤표지에는 교과서의 어떤 내용과 연계 되는지를 한눈에 찾아볼 수 있도록 관련 교과를 표기했습니다.
각 장의 끝에는 사회 공부를 하면서 각 갈래마다 더 배울 정보를 그림과 함께 넣어 이해를 도왔습니다.
한옥 ★집은 어떻게 달라졌을까? ★아파트가 좋아? 전통가옥이 좋아?
시장 ★시장은 어떻게 생겨났을까? ★시장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을까?
도구 ★생활 도구도 변해요 ★대결! 옛날 도구와 요즘 도구
박물관 ★벼라별 박물관이 다 있네 ★유물은 어떻게 찾아낼까? ★유물 찾으러 가자!
모내기 체험 ★쌀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사는 곳에 따라 하는 일도 달라
풍어제 ★얼쑤, 좋다! 전통 잔치 ★사시사철 재미있는 민속놀이
다양한 이웃 ★서로 다른 건 당연해! ★세계 여러 나라 인사말을 배워 볼까?
우리나라의 모습 ★자동차 타고 전국일주! ★우리나라는 어떻게 생겼을까?
작가 소개
글 유다정 대학에서 국문학을 공부하고, 어린이 책 작가교실에서 어린이 책에 대해 공부했습니다. 《발명, 신화를 만나다》로 ‘창비 좋은 어린이책’ 기획 부문 대상을 받았습니다. 어린이들이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책을 쓰기 위해 늘 노력하고 있습니다.
지은 책으로 《난 한글에 홀딱 반했어!》, 《투발루에게 수영을 가르칠 걸 그랬어!》, 《놀라운 미생물의 역사》, 《터줏대감》, 《동에 번쩍》, 《어른이 되는 날》 등이 있습니다.
그림 민은정 이화여대에서 동양화를 공부했고, 2004년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교를 졸업했습니다. 어린이들이 상상력을 무한히 펼칠 수 있는 책을 만들려고 합니다.
그린 책으로 《우리 집 구석구석 숨은 과학을 찾아라》, 《바퀴에서 우주선까지, 연기에서 인터넷까지》, 《두려움아 저리 가》, 《행복한 수학초등학교 3》, 《운수 좋은 날》 등이 있습니다.
감수‧추천 박성혁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한국사회과교육학회 편집위원장과 한국법교육학회 편집위원장, 교육부교육과정 심의위원, 재단법인 자녀안심하고 학교보내기운동 국민재단이사로 활동하면서 현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꼬맹이 도비 사회 속으로 저벅저벅 대작전
전통가옥 구경 가자! 3학년 1학기 3. 고장의 생활과 변화 ① 의식주 생활의 변화
시끌벅적 시장 나들이 3학년 2학기 1. 고장 생활의 중심지 ② 사람들이 모이는 곳
뚝딱뚝딱 도구로 무슨 일을 할까? 3학년 1학기 3. 고장의 생활과 변화 ② 지혜를 담아 온 생활 도구
박물관으로 쑝쑝 4학년 1학기 1. 우리 지역의 자연환경과 생활 모습 ④ 우리 지역 현장 답사
질퍽질퍽 모내기 체험 3학년 1학기 2. 고장의 자랑 ③ 고장의 행사
나쁜 일을 막아 주는 풍어제 4학년 2학기 2. 여러 지역의 생활 ① 촌락의 생활 모습
우리 동네에 세계가 쏙! 4학년 2학기 3. 사회 변화와 우리 생활 ④ 사회의 다양성과 소수자의 권리
우리나라 한 바퀴 4학년 1학기 3. 더불어 살아가는 우리 지역 ③ 더욱 가까워지는 지역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