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사년 설날 아침에
김 난 석
뻐꾹뻐꾹 뻑뻑꾹
뻐꾸기 울면
아카시 꽃 하얗게 흔들며
내 가슴 흔들어대더라니
설날 아침 차례 뒤
떡국 먹으려니
누런 이 하나 둘 흔들려
가슴이 덜컹 내려앉네
뻐꾹뻐꾹 떡떡국
사월로 정월로 세월은 흐르고
한 살 더 먹으려니
뻐꾹뻐꾹 뻐꾸기가 서러워.
여기저기서 회원들의 설 치례 글을 읽었다.
주부로서의 정성과 수고로움이 보였다.
그걸 전통이라 하지만, 그리 쉬운 게 아니다.
1990년대에 이문열은 소설 '선택'을 썼다.
어느 종가의 종부가 안살림을 도맡아 하면서
시가와 친가 모두 잘 번성하게 했다는 이야기인데
그게 주인공의 '선택'에 의한 거라는 작가의 생각이 풍긴다.
당시 소위 페미니스트들로부터 호된 질타도 당했는데
그로부터 삼십 년 가까이 흐른 현재
차례, 제사, 시사 등의 가정의례가
많이 간소화해 나가는 추세이긴 하다.
허나, 아직도 전통과 실용의 양 끝에서 갈등을 겪거나
엉거주춤한 상태에 머무는 경우도 많은 것 같은데
앞으론 어떻게 변해갈지 추이가 궁금하기도 하다.
설날에 지내는 차례(茶禮)는 누굴 위한 것일까?
혹자는 망자와는 아무 상관없는 일이라고도 하고
혹자는 조상들의 음덕으로 잘 살고 있으니
조상님들을 잘 모셔야 또 음덕을 받게 된다고도 한다.
나는 조상님들은 내 마음속에 계신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정성을 다해 추모하되
이왕이면 마음뿐만 아니라 물질적 표도 내어 추모하고픈 심정이다.
그러나 그런 일은 나 혼자의 힘만으론 할 수 없는 것이요
반드시 아내 및 가족들의 도움이 있어야 풍요롭게 치를 수 있게 된다.
그런데 나 외의 그들이 나와 톡 같은 마음일까...?
아니다.
그래서 화목을 위한 절충이 필요하게 된다.
화목하는 방법이야 각 가정마다 다를 테지만 말이다.
나는 지난해까지 우리 집에서 차례를 지냈다.
그러노라면 아우들이 먼 길 마다하고 이른 아침에 찾아온다.
그러면 또 미안해서 이런저런 선물을 준비해 뒀다가 나눠준다.
그러기로 여러 해 보낸 뒤에
지난해부턴 아우네 집에서 차례를 지내기로 했다.
그래서 이번에도 아우네 집에 들러 차례를 지내고
떡국을 먹고 왔는데
이가 시원치 않아 차린 음식 제대로 맛도 못 보고
흘러간 세월이 야속하기만 하더라만
조상님들은 흐뭇해 하셨을까...ㅎ
나는 소설 '선택' 에서뿐만 아니라 모든 일에서
내가 할 일이라면 누가 시켜서 한다고 할 게 아니라
내가 선택해서 하는 일이라고 주문을 걸었으면 좋겠다.
그래야 무거운 짐도 다소 가벼워질 것이므로..
2025. 1. 30. 석촌(夕村)
첫댓글 절충적 선택이
화목의 지름길이 아닌가 합니다
가는 세월 따라서
치아까지 흔들리니,
세월 붙잡는 비법이라도 있으면 좋으련만..ㅎ
우야든동!
즐건 설명절 연휴 되세요~^~
맞아요, 화목이지요.
결국 가족모임이니까요.
설날을 맞이하는 것이,
시대에 따라
마음 따라 변해 가는 것 사실입니다.
마냥,
석촌님, 죄송합니다.
지금 가족 모두 저녁 먹으러 가자고
아들이 집 밖에서 기다린다고 전화가 왔습니다.
다녀 와서 다시 적겠습니다.
설모임 제2탄이로군요.
부럽습니다.ㅎ
@석촌
조상에게 경배하고,
차례상에서 물러난 음식으로 가족이 화기애애한 모습으로
한 해의 복을 비는 날이라고, 저 나름으로 생각하고 행해 왔지요.
솔직히 모두가 즐겁고 행복하자는 명절에 좀 실속있는 명절을 가지자고
가족이 서로 합의로 다과로써 상차림하고 세배를 받기로
앞으로는 그렇게 하기로 약속 했답니다.
오늘은 큰 딸네와 친손 외손이 모두 모여 함께 외식으로써
함께 했지요.ㅎ 무척 편안하네요.
석촌님, 나이에 신경 쓰이는 설날입니다.
마음으로 젊게 살고 기분으로도 건강한 나날이면 합니다.ㅎ
@콩꽃 잘하셨네요.
결국 가족모임일테니까요.
즐거운 명절 이었는지요
이젠 설날 을 맞이 하는 것이 시대적 변화에 따른
선택 이라 사료 됩니다
사실 남자들이야 심부름 조금만 하면 되니까 즐겁지요.
막걸리 좀 드셨지요?
그러면 즐거웠던 거고요.
사진 외국성 같은 것이 보이는 걸 보니 석촌호수인 걱 같습니다. 석촌님과 어떤 관계가 있나요? 궁금.
명절은 집집마다 다양하게 변해가는 시기인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