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병률이 30%나 되는 국민 질환 고혈압은 중장년층의 전유물로 생각되지만, 30·40대 젊은 층에서도 적지 않게 발생하는 질환 중 하나다.
고혈압은 약물 치료와 함께 건강한 생활습관만 잘 유지한다면 관리가 어렵지 않는데, 문제는 젊은 환자일수록 자신이 고혈압 인지도 모르거나 알고 있으면서도 약에 대한 부담감, 젊음을 이유로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하지만 고혈압을 방치하면 심근경색, 뇌경색, 뇌출혈 같은 치명적인 심뇌혈관계 질환으로 사망에 까지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7년 우리나라 고혈압 유병률은 26.9%에 달했으며 30대는 11.3%, 40대는 19.2%의 유병률을 보여 젊은 층 환자도 생각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젊은 고혈압 환자의 문제는 첫째, 상당수가 고혈압이 있어도 인지하지 못하거나 알면서도 치료를 하지 않고 방치하고 있다는 점이다.
둘재, 30·40대는 주위 환경조차 고혈압에 취약한데, 경제활동에서 오는 스트레스, 피로, 술, 담배 등에 과도하게 노출되고 있는 것이다.
손일석 강동경희대병원 심장혈관 내과 교수(대한고혈압학회 홍보이사)는 "30·40대 고혈압 환자는 젊음을 이유로 치료에 소홀하고, 질병에 관심이 없는 경우가 많다" 면서 "더욱이 바쁜 경제활동 때문에 스트레스와 피로는 달고 살면서도 운동하기도 힘들고, 병원을 찾기도 힘들어 문제가 된다" 고 말했다.
고혈압은 나이에 상관없이 기간이 오래 되면 심뇌혈관 합병증 발생률이 올라가므로 젊다고 해도 적극전인 혈압 관리가 중요하다.
치료약은 외면하고, 나쁜 생활습관이 더해지면 혈압이 더 오르면서 조절이 어려워지는 것은 물론 심근경색, 노경색, 뇌출혈과 같은 치명적인 심뇌혈관질환이 발생할 수도 있다.
특히 심뇌혈관질환은 특별한 증상이 없다가도 갑자기 발생해 사망에도 이를 수 있어 더욱 위험하다.
실제 응급실로 오는 젊은 심뇌혈과질환 환자 중 자신이 고혈압인지도 몰랐거나 알면서도 여러 이유로 치료를 받지 않았던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고혈압을 진단받았다면 나이를 불문하고 전문의를 통한 꾸준한 혈압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젊은 고혈압 환자가 치료약을 외면하는 가장 큰 이유는 증상이 없어 약을 먹을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거나 고혈압 약을 평생 먹어야 한다는 부담감 때문이다.
하지만 우려와 달리 고혈압 진단 후 무조건 약을 먹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고혈압은 비 약물치료(생활습관 개선) 가 초기 치료의 기본이고, 혈압 조절이 안 되는 경우에 약물치료를 고려한다.
실제로 진단 후 적극적 유산소운동, 건강한 진단, 체중 감량, 금연, 절주 등 건강한 생활습관 개선으로도 혈압 조절이 잘되는 경우도 많다.
가족 중에 고혈압을 비롯한 심뇌혈관질환 병력이 있거나 최근 일정한 간격으로 측정한 혈압이 꾸준히 135/85mmHg를 넘느다면 일단 고혈압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어떤 특정 상황에서 일시적으로 혈압이 높아졌다고 해서 반드시 병원을 방문할 필요는 없지만, 측정한 혈압이 매우 높고 두통, 어지럼증, 호흡곤란 등 다른 증상이 있다면 병원에서 상담받는 것이 좋다.
모든 연령에서 공통되게 고혈압 예방은 적극적 유산소운동, 건강한 식단(저염식, 육류를 피하고 채소 위주), 체중 감량, 금연, 절주 등 건강한 생활습관 개선으로도 가능하다.
젊은 층은 특히 고혈압·심뇌혈관질환의 가족력이 있고, 흡연, 비만, 고지혈증 등 심혈관질환의 위험 인자를 가진 경우에는 더욱 건강한 생활습관 유지가 필요하고, 자주 혈압을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혈압이 있거나 정상혈압(수축기혈압 120 mmHg 미만 그리고 이완기혈압 80mmHg 미만) 보다 높은 경우라고 고혈압 합병증을 예방하고 고혈압 발생을 막기 위해서 더욱 생활습관 개선·관리가 필요하다.
◈ 고혈압을 예방하려면
1. 음식은 싱겁게 골고루 먹는다.
2. 살이 찌지 않도록 알맞은 체중을 유지한다.
3. 매일 30분 이상 적절한 운동을 한다.
4. 담배는 끊고 술은 삼간다.
5. 지방질을 줄이고 채소를 많이 섭취한다.
6. 스트레스를 피하고 평온한 마음을 유지한다.
7. 정기적으로 혈압을 측정하고 의사 진찰을 받는다.
이병문 의료전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