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내의 등살 때문에 못 살 정도면 어떻게 해야 할까?
등살은 등에 있는 근육을 말하며 발음은 등쌀이다.
아내의 등살 때문에 못 살 정도면 아내가 살을 좀 빼면 될 것이다.
이와 달리 몹시 귀찮게 구는 짓을 가리킬 때는 등쌀이라고 쓴다.
발음은 등살과 같아도 표기는 다르다.
한글맞춤법에는 한 단어 안에서 뚜렷한 까닭 없이 나는 된소리는 다음 음절의 첫소리를 된소리로 적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예를 들어서 ㄴ, ㄹ, ㅁ, ㅇ 받침 뒤에서 나는 된소리 산뜻하다, 잔뜩, 살짝, 훨씬, 담뿍, 움찔, 몽땅, 엉뚱하다는
이 조항에 해당되므로 된소리로 적는다.
등쌀은 잔뜩과 마찬가지로 뚜렷한 까닭 없이 된소리로 소리 나기 때문에 등쌀이라고 적는다.
또한 한글맞춤법에는 둘 이상의 단어가 어울리거나 접두사가 붙어서 이루어진 말은
각각 그 원형을 밝히어 적는다고도 규정하고 있다.
등살은 2개의 단어 등과 살이 결합하여 이루어진 말이므로 원형을 밝혀 등살로 적는다.
이때 등살의 발음이 등쌀로 나는 것은 합성어가 만들어지면서 어떤 단어들에서는 된소리되기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첫댓글 아주 훌륭하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