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대교 - 신행주대교 - 방화대교 - 가양대교 - 성산대교 - 양화대교 - 서강대교 - 마포대교
원효대교 - 한강대교 - 동작대교 - 반포대교 - 한남대교 - 동호대교 - 성수대교 - 영동대교
청담대교 - 잠실대교 - 올림픽대교 - 천호대교 - 광진교 - 강동대교
◈ 한강다리 순서대로 외우기
김씨는 반가운 성향인데 / 설마 원한을 동반한 동성(同性)? / 엄청 잠온 첫 관광..
김신 방가성양 / 서마 원한 동반한 동성 / 영청 잠올 천 광강
☞ 마지막 관광(광강) 부분만 주의하면 OK!
=========================
총 갯수는 25개입니다.
0.김포대교
1. 신행주대교(2000)/ 행주대교(1978)-- 서울시 강서구와 경기도 고양시 연결 2. 방화대교(2000) 3. 가양대교(2002) 4. 성산대교(1980) 5. 양화대교[제2한강교](1965) 6. 당산철교(1982) 7. 서강대교(1996) 8. 마포대교(1970) 9. 원효대교(1981) 10. 한강철교(1900) 11. 한강대교[한강인도교](1917) 12. 동작대교(1984) 13. 반포대교(1982)/잠수교(1976) 14. 한남대교[제3한강교](1969) 15. 동호대교(1985) 16. 성수대교(1980) 17. 영동대교(1973) 18. 청담대교(2000) 19. 잠실대교(1972) 20. 잠실철교(1980)-- 철교 좌우에 소형 자동차 전용도로교 설치로 자동차 통행 가능 21. 올림픽대교(1989) 22. 천호대교(1976) 23. 광진교(1936) 24. 강동대교(1991)-- 서울시 강동구와 구리시 토평동 연결
================
교량명 |
위치 |
규모 |
상부구조 형식 |
공사기간 |
폭(m) |
연장(m) |
광진교 |
광진구 광장동∼강동구 천호동 |
20.0 (4차로) |
1,056 |
Steel Box Girder : 434m PC Beam Girder : 622m |
'97.3.18∼2003.12. |
천호 대교 |
광진구 광장동∼강동구 천호동 |
25.6 (6차로) |
1,150 |
Steel Box Girder : 400m PC Beam Girder : 750m |
'74.8.17∼'76.7.5 |
올림픽 대교 |
광진구 구의동∼송파구 풍납동 |
30.0 (6차로) |
1,470 |
PC Box Girder : 1,470m 사장교 |
'85.10.28∼'90.6.27 |
잠실 철교
(도로교) |
광진구 구의동∼송파구 신천동 |
8.8 (2차로) |
1,270 |
Steel Box Girder : 1,200m Steel Plate Girder : 70m |
'77.11.1∼'79.10.30 |
잠실 대교 |
광진구 자양동∼송파구 잠실동 |
25.0 (6차로) |
1,280 |
Steel Plate Girder : 1,280m |
'70.8.13∼'72.7.1 |
청담 대교 |
광진구 자양동 ~ 강남구 청담동 |
27.0 (6차로) |
1,050 |
ST Box GIR |
'93.12.31 ~ 2001. 2. 27 |
영동 대교 |
광진구 자양동∼강남구 청담동 |
25.0 (6차로) |
1,065 |
Steel Plate Girder : 850m PC Beam Girder : 215m |
'70.8. ∼'73.11.8 |
성수 대교 |
성동구 성수동∼강남구 압구정동 |
19.4 (4차로) |
1,160 |
Gerber Truss : 768m Steel Plate Girder : 392m |
'95.4.20 ∼'97.8.14 |
동호 대교 |
성동구 옥수동∼강남구 압구정동 |
20.4 (4차로) |
1,220 |
Steel Box Girder : 1,220m |
'80.6.1∼'84.12.31 |
한남 대교
(신교) |
용산구 한남동∼강남구 신사동 |
25.5 (6차로) |
917 |
Steel Box Girder : 917m |
'96.12~2001.3 |
한남 대교
(구교) |
용산구 한남동∼강남구 신사동 |
27.0 (6차로) |
917 |
Steel Plate Girder : 917m |
'66.1.19∼'69.12.25 (※ 개수공사 2001.3~2003.6) |
반포 대교
(잠수교) |
용산구 서빙고동∼서초구 반포동 |
25.0 (6차로) (18.0) (4차로) |
1,495 (795) |
Steel Box Girder : 1,495m (RC Slab : 795m) |
'80.1.11∼'84.6.25 ('75.9.5∼'76.7.15) |
동작 대교 |
용산구 이촌동∼서초구 반포동 |
28.6 (6차로) |
1,245 |
Steel Box Girder : 960m Steel Plate Girder : 285m |
'78.10.16 ∼'84.12.29 |
한강 대교
(신교) |
용산구 한강로3∼동작구 본동 |
18.1 ∼20.3 (8차로) |
1,005 (중지도 포함) |
Tied Arch : 381.3m Gerber Truss : 459.6m 중지도 : 164.1m |
'79.1.4∼'81.12.23 (1934∼1936) |
한강 대교
(구교) |
원효 대교 |
용산구 원효로4∼영등포구 여의도동 |
20.0 (4차로) |
1,470 |
PC Box Girder : 1,120m PC Beam : 350m |
'78.7.17∼'81.11.9 |
마포 대교 |
마포구 마포동∼영등포구 여의도동 |
25.0 (6차로) |
1,389 |
Steel Plate Girder : 1,074m Steel Box Girder : 315m |
'68.2.28∼'70.5.16 |
서강 대교 |
마포구 창전동∼영등포구 여의도동 |
29.0 (6차로) |
1,320 |
PC Box Girder : 1,040m Steel Box Girder : 130m Nielsen Arch : 150m |
'92.12.26∼'99.12.30 |
양화 대교
(신교) |
마포구 합정동∼영등포구 양평동 |
16.1 (4차로) 18.0 (4차로) |
1,053
1,048 |
Steel Box Girder : 1,053m RC Box Girder : 600m Steel Plate Girder : 448m |
'79.1.4∼'82.2.25 '62.6.20 ∼'65.1.25 |
양화 대교
(구교) |
성산 대교 |
마포구 망원동∼영등포구 양평동 |
27.0 (6차로) |
1,410 |
Gerber Truss : 720m Steel Plate Girder : 480m Steel Box Girder : 47m PC Beam : 163m |
'77.4.6∼80.6.30 |
가양 대교 |
마포구 상암동 ~ 강서구 가양동 |
16~36 |
1,603 |
ST Box GIR |
'94.12~2002.4 |
방화 대교 |
|
|
2,559 |
|
|
행주 대교 |
|
|
|
|
|
잠실 철도교 |
광진구 구의동 ~ 송파구 잠실동 |
10.0 |
1,270 |
ST PL GIR |
'77.11.1~ '79.10.30 |
한강 철도교 |
용산구 이촌동 ~ 동작구 노량진동 |
10.0 |
1,112 |
ST PL GIR |
|
당산 철도교 |
마포구 합정동 ~ 영등포구 당산동 |
10.0 |
1,360 |
ST Box GIR |
'99.11.22 재개통 |
- 단순교
교각과 교각사이를 경간, span, 혹은 지간이라고도 하는데 각 지간(경간)의 주형이 분리된 교량입니다. 장점으로는 계산이 쉽고(정정구조물) 시공이 간편합니다. 단점으로는 처짐이 크기 때문에 지간을 길게 뽑아낼수 없다는 겁니다. 때문에 단순교는 주로 작은 교량에 적용됩니다. (물론 큰 교량에 해도 되지만 지간장이 짧으니까 교각이 많이 필요하겠죠?, 그럼 돈이 많이 들구여...) 보통 24m~45m 의 지간장이 경제적이라고 합니다.
- 연속교
단순교와는 반대되는 개념으로 교량의 주형이 연속된 교량입니다. 연속교는 단순교에 비해 처짐이 작아서 더 길게 만들수 있습니다. 단점은 단순교에 비해 계산이 어렵다는(부정정구조물) 겁니다. 연속된 경간수에 따라 3경간, 4경간, 5경간 연속교라고 예기 하는데요.. 5경간 이상은 잘 쓰지않는것 같더군요..
- 게르버교
Gerber란 위의 그림처럼 "내부힌지의수-2 = 지점의수" 를 만족하게하여 정정구조물로 만든 연속보입니다. 지반이 불량한 경우 효과적이지만 내부힌지 부분을 적절하게 연결시켜야 처짐의 문제가 없게 됩니다. 한강다리중 성수대교가 대표적인 Gerber교입니다. (정확하게는 Gerber Truss교입니다.) 게르버형식은 연속교에 내부힌지를 둠으로써 정정구조물로 만들어 해석이 쉽지만 내부힌지사이의 보(Suspeded span)가 과다하게 처지게 되어 내부힌지가 매우 취약하게 됩니다.
2. 거더와 상판 연결형태에 따른 분류 - 합성구조 거더와 상판슬래브가 일체로 작용하여 슬래브가 거더와 같이 작용하는 형태 거더와 일체시키기위해 전단연결재를 사용한다. 비합성 구조에 비해 거더의 단면을 줄일수 있는 장점이 있다.
- 비합성 구조 거더와 상판슬래브가 일체로 작용하지 않는 형태로 거더가 모든 하중을 받으므로 합성구조에 비해 단면이 커진다.
3. 재료에 따른 분류 사용재료에 따라 철근콘크리트교, PS콘크리트교, 강교등으로 분류된다.
4. 구조형식에 따른 분류 - 슬래브교 주부재가 슬래브인 교량으로 3~12m정도의 짧은 지간에 대해서는 1방향 슬래브교가 경제적이다. 슬래브교는 긴 지간인 경우 자중이 커져서 비경제적이므로 종방향으로 구멍을 내어 자중을 감소시킨 중공 슬래브교를 사용하기도 한다. 중공슬래브교인경우는 단순교에서 10~20m, 연속교에서는 15~30m정도가까지가 경제적이다.
- 거더교 주부재가 거더인 교량으로 거더의 재료와 모양에 따라 아래와 같이 구분된다. (1) T형교
30m정도까지의 지간에 대하여 콘크리트 T 형교가 사용된다. 주형과 일체로 된 콘크리트 바닥판은 가로방향을 지간으로 하는 슬래브로 작용하는 동시에 주형에 대해서는 플랜지로 작용합니다.
(2) 판형교 (Plate Girder교)
철판으로 I형의 거더를 만들고 그위에 콘크리트 슬래브롤 얹은 형태로서 지간장 50m정도가 경제적이다. Steel Box Girder교와 함께 가장 많이 시공되는 강교중에 하나이다.
(3) 강상자형교 (Steel Box Girder교)
철판으로 제작된 박스형태의 거더로 지간장 60m정도가 경제적이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교량형식중 하나이다.
(4) 강상판형교
교량 슬래브가 콘크리트가 아닌 철판으로 제작하여 자중을 감소시킨 형식으로 다소 고가이며 지간장 70~80m정도가 경제적이다.
(4) PSC Box교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박스 형태의 거더를 가지며 60~70m의 지간장에서 많이 사용된다. 가설 방법에 따라 FCM, FSM, ILM등이 있다.
(5) PC Girder 교
I형의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거더로 20-40m의 지간장에서 많이 쓰인다.
- 라멘교 보통 다리는 상부구조와 이를 떠받치는 하부구조로 되어 있으나, 이것을 하나로 묶어서 문형태로 구성한 것으로, 역학적 성상은 아치교와 비슷하다. 지점의 구조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며, 몇 개의 경간을 하나로 연결시킨 연속 라멘교 등의 특수한 것도 있다. 통상적인 형교에 비해 형의 높이를 낮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입체교차부분 등에 많이 사용된다
*강동대교
캔틸레버 공법에 의한 PS Concrete 교량이며 서울외곽순환도로로 서울시 강동구 강일동과 경기도 구리시 토평동을 잇는 한강 횡단교량이다.
*광진교
1934년 8월에 착공하여 1936년 10월에 준공한 다리로 유심부 구간은 강Truss 구조로 7경간의 연장 429.5m 이었으나, 한국전쟁중 모두 파손되어 1952년 미8군에 의해서 지금의 Steel Gerber 구조인 14경간으로 응급복구되었고 잔여구간은 T형 콘크리트 Gerber 구조의 28경간(연장 608.1m)으로 건설되었던 것이 구조물의 노후도가 심하여 현재는 철거되었고 확장공사가 시행 , 폭 20m, 연장 1056m, 4차로로 상부구조의 유심부 구간은 Steel Box Girder, 고수부지 구간은 Steel Plate Girder 구조이다
*올림픽대교
1면 방사형 콘크리트 사장교로 선정하고, 탑의 구성을 4주로 하여 동방철학에서 우주만물의 근원으로 상징하는 年, 月, 日, 時와 4계절 春, 夏, 秋, 冬 및 4방향 東, 西, 南, 北을 나타내도록 하였다. 한편 제24회 올림픽 경기를 기념하여 케이블의 수를 24조, 주탑의 높이는 1988년을 기념하기 위하여 88m로 취하였다. 구조형식은 유심부가 PC 사장교이고 기타구간은 다경간연속 PC Box Girder교로 구성되어 있으며, 교폭은 30m, 교장은 1,470m 이다. 사장교 구간은 교량하부 동바리를 사용하지 않고 이동식 거푸집(Form-Traveller)을 이용하여 교각에서 순차적으로 한 세그멘트(Segment)씩 균형되게 시공을 함으로써 교량을 가설하는 켄틸레버공법(FCM)으로 가설하였다.
*천호대교
상부구조는 교폭 25m (6차선)에 교장 1,150m로 경간 30m의 합성형 PC Girder (750m)와 4경간 연속 Steel Box Girder (400m)로 이루어져 있다. 하부는 구주식(矩柱式) 철근콘크리트 교각 32개와 중력식 철근 콘크리트 교대 2개이며 기초공법은 우물통기초 30기와 Pile 기초 4기로 건설되었다.
*잠실철교
상부는 3경간 연속 철근콘크리트 합성 강상형교로 최대지간이 50m이며, 교폭은 철도가 9.2m, 차도가 양측에 각각 4.4m로 구성, 총폭이 18m이며 연장은 1,270m에 달한다. 또한 하부는 교각의 수가 26기이며 구조는 철근콘크리트이고, 기초는 우물통공법이다. 양측 교대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직접확대기초 공법으로 건설되었다
*잠실대교
상부는 3경간 연속 강판항교로서 지간 40m, 교폭 25m, 교량의 총연장은 1,280m 이다. 또한 하부는 구주식 교각 31기와 중력식 교태 2기이고 기초공법은 교각에는 우물통기초, 교대는 파일기초로 시공하였다
*청담대교
하부에 철도교(지하철 7호선)를 두고 상부는 차량이 통행하는 복층교로 되어있으며, 본교와 남 북단 접속교, 진출입램프(6개소)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구조의 주된 형식은 강상판형+강합성 으로 되어있고 램프는 강합성 형식으로, 하부구조는 콘크리트 라멘형 및 단주형 교각이다. 기초형식은 수중부는 우물통 기초이며, 둔치구간은 대구경 현장타설 말뚝이고 일부는 PHC파일 형식이다.
*영동대교
상부는 3경간 연속 강판형 다리로서 지간 50m의 동일한 구조형식을 가진 폭 25m (6차선)의 교량으로 총연장은 1,065m이다. 또한 하부는 구주식 교각 16기중 15기는 우물통기초이고 1기는 직접확대기초이며 중력식 교대 2기는 직접기초와 파일기초로 각각 건설된 교량이다.
*성수대교
성수대교는 최대경간이 120m인 Gerber Truss 교로서 상부구조는 강재로 구성되어 있고 하부구조는 콘크리트로 되어 있다. 기초공은 수상구간에 우물통, 기타 고수부지 구간에는 말뚝기초를 사용하였으며 교각은 π형과 T형을 사용하였다.
'94. 10. 21 교각10번과 교각11번 사이의 현수경간 행거가 끊어지면서 현수경간 48m가 붕괴되었다, 이사고로 32명의 희생자가 발생했다
*동호대교
상부구조의 형식은 본교구간은 강상판형(鋼床板型) 및 강상형(鋼箱型)으로 되어 있고, 램프는 강상형(鋼箱型), RC슬래브형교로 구성되어 있으며, 양측 고가 차도는 강상형(鋼箱型)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구조는 T형 및 라멘식 교각이다. 기초형식은 수중부 및 둔치 일부는 우물통 기초이며 나머지 둔치부와 육상부는 강관파일 형식이다
*한남대교
상부구조의 주된 형식은 강상형이 대부분이고 형하고가 필요한 북단의 강변북로 경원선 상부구간과 남단의 올림픽대로 상부구간은 강판형교로 설치되어 있으며 하부구조는 본교는 콘크리트 라멘형이고 납북단 연결램프는 T형 교각이다. 기초형식은 수중부 및 둔치부분은 우물통 기초이며, 나머지 고수부지 구간은 강관파일 형식이다.
*반포대교(잠수교)
상부구조의 형식은 반포대교 본교 및 램프구간 모두 강상형이며 잠수교 본교는 강상판형 과 RC슬래브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부구조는 라멘식π형, T형교각이다. 기초형식은 수중구간 및 둔치 일부에는 우물통 기초 둔치 및 육상부는 파일기초 및 직접기초 형식으로 구성되었다.
*동작대교
중앙에 철도교(지하철 4호선)를 두고 상 하행선이 양측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본교와 남 북단 접속교, 진출입램프(8개소)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구조의 주된 형식은 강상판형, 강판형, 강상형 및 슬래브교로 구성되어 있으며(※철도교는 랭거아치교), 하부구조는 콘크리트 라멘형과 T형교각이다. 기초형식은 수중부 및 둔치부분은 우물통 기초이며, 나머지 접속교 및 램프구간은 강관파일 형식이다.
*한강대교
1950년 한국전쟁으로 타이드아치 3경간이 1950년 6월 28일에 파괴되었던 것을 1957년 1월에 복구공사를 착수하여 1958년 5월 15일에 준공되어 서울의 명물이었던 한강대교가 새로운 모습을 되찾게 된 것이다. 1차 교량건설은 상부가 Pin Pratt Truss 강구조로 최대경간 60.6m이고 교각의 기초공법은 우물통공법을 채용했었다. 2차 교량 건설 시에는 리벳팅 Tied Arch 강구조로 최대경간이 63.55m인 교량과 최대경간 28.787m인 강판형 게르버교로 가설되었으며 하부 기초공법은 아치교에는 잠함공법, Plate Girder교에는 우물통공법을 적용하였다. 3차 교량건설에서는 상부구조를 2차와는 달리 용접연결 구조를 도입하였을 뿐 모양과 형태가 동일한 강구조이고 하부기초는 모두 우물통공법을 채택시공하였다.
*원효대교
Dywidag 공법과 Free Cantilever Method (F.C.M)를 사용한 100m 경간의 P.S 콘크리트 교량이다. F.C.M은 지보공 없이 이동식 거푸집 (form traveller)을 사용하여 시공하며, 거어더의 높이는 구조물 응력선을 따라 변화하게 되므로 Box Girder의 하단이 종방향으로 곡선을 이루고 있어 외관이 매우 아름답고 구조적으로도 안정감이 있다. 하부구조에 있어서 기초는 우물통기초를 사용하였고 교각은 시각적으로 우수하고 상부구조와 잘 조화되는 V형으로 되어 있다. 특히, 이 교량은 프리스트레싱 강재로서 Dywidag Bar를 사용한 교량으로 민간회사가 건설하여 서울시에 기부한 교량이다. 민간회사에 의해 건설된 초기에는 통행료를 받는 유일한 한강상의 교량이었으나 서울시에 기부한 이후 톨게이트는 철거되었다.
*마포대교
본교량의 상부구조 형식은 본교구간 및 램프구간이 강상형교로 구성되었고 하부구조 형식은 본교구간은 라멘식(∏형), 램프구간은 T형 교각이며 기초형식은 수중구간은 우물통 기초, 육상구간은 S.I.P 강관파일 기초 형식으로 구성되었으며 상부구조 형식에서 본교구간의 강상형교는 최대경간장 70.0m의 2∼5경간 연속형 이며, 본교연장은 1,389.0m이다
*서강대교
교량상부 형식은 콘크리트 상자형교, 아치교, 강상형교, 강판형교로 구성되어 있으며 철새도래지인 밤섬과 한강의 자연환경 보호를 위하여 교량상판(PSC 상자형) 960m를 연속압출공법으로 가설하고, 아치부분이 경사지게 설치되어 조형미가 뛰어난 닐센아치교 150m를 국내 처음 시공하였다. 닐센아치교는 공장 제작 후 한강고수부지에서 일괄 조립하여 서해안의 조수간만의 차이를 이용하여 4대의 바지선으로 운반, 가설하는 새로운 공법을 도입함으로써 토목기술 발전에 기여한 바 크다.
*양화대교
상부구조는 구교 (폭 17.05, 교장 1,048m)가 Steel Plate Girder, Concrete Box Girder로 되어 있었으나, 신교 (폭 16.20m 교장 1,053m)는 Steel Plate Girder로 설치하였다. 하부기초는 우물통 파일기초 또는 직접기초방법을 적용하였다. 양화대교는 당초 교명이 제2한강교였는데 한강종합개발계획과 더불어 지금의 양화대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성산대교
상부구조의 주된 형식은 본교 구간은 게르버트러스 접속교 및 램프는 강판형교, , 강상자형 및 프리 스트레스 콘크리트빔(PSC I빔)교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부구조는 콘크리트 라멘형과 T형교각이다. 기초형식은 수중부 및 둔치부분은 우물통 기초이며, 나머지 접속교 및 램프구간은 강관파일 형식이다.
*가양대교
가양대교는 국내 최장 경간 (110+180+110m)의 강상판 상자형교 (STEEL BOX GIRDER)
본선 상부구조는 강상판 상자형교로서 폭 16m∼29m(4∼6차선), 연장 1,603m이며 또한 하부구조는 우물통(D=7∼8m) 43기, 현장타설말뚝기초(D=1,500m) 64기로 시공되었으며, 교량 제작에 소요된 강재만도 26,000톤에 달한다.
*구리방향에서 일산방향 순서로 나열했습니다.
방화대교는 신공항고속도로소속으로 자료 미흡, 김포대교는 한국도로공사관리인데 자료부족, 행주대교 역시 같은 상황(서울시설관리공단소속인지 파악이 않됨)
|
◈ 교량의 종류 ◈
▣ ARCH 교
교량의 주체를 아치구조로 하여 지점을 이동하지 못하도록 만든 교량이다. 수평 반력에
의해 ARCH RIB에 휨모멘트를 감소시켜 단면을 결정하게 되는 주요인을 축방향 압축
력이 되게 만든 구조이다.
아치교는 장대교에 주로 사용되며 교령이나 미관이 좋아서 단경간 교량에도 사용됨.
이러한 아치의 분류 방법에는 구조계, 아치리브, 통행로 위치, 형식별 분류등으로 나
눌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구조계 및 형식별 분류로 아치를 구분한다.
1) 구조계(힌지수)에 의한 분류
(1) 고정아치교 (3차 부정정)
지점에서 수평반력외에 고정모멘트가 크게 발생하여 강성이 큰 지반에 적합.
다른 구조에 비해 처짐이 작으나 장지간 채택시 처짐에 의한 부가응력이 크므로 신중
한 검토 필요
(2) 1힌지아치교 (2차 부정정)
(3) 2힌지아치교 (1차 부정정)
가장 많이 쓰이는 형식. 지간 180 ~ 270m에 적용
(4) 3힌지아치교 (정정)
바닥틀구조의 교장방향 탄성곡선이 정부힌지의 위치에서 침하하므로 고속도로 및 철
도교와 같이 큰 충격이 발생하는 곳에서는 사용곤란. 지간 180m 이내에 적용
2) 형식별 분류
(1) TIED ARCH교 (외적 정정, 내적 1차 부정정)
아치의 양단을 Tie로 연결하여 1단 고정단 타단 가동단으로 지지하여 수평반력을 Tie
로 받게 한 형식. 아치Rib에는 모멘트 및 축력 작용, Tie에는 축력만 작용
【장단점】
① 지점에서 일어나는 수평반력을 Tie가 받으므로 지점 수평반력 안생김.
② 외적으로 정정구조이므로 반력은 단순보로 해석.
③ 지반상태가 양호하지 않은 곳에서 채택가능.
④ 가설시 어려움으로 비경제적
(2) LANGER교 (1차 부정정)
LANGER교는 비교적 가는 ARCH부재와 보강형을 수직재(평형재)로 힌지연결하
며 ARCH부재는 압축력만 받게하고, 휨모멘트와 전단력은 별도 설치한 보강형(형 또
는 트러스)이 받게한 형식.
지간장 80 ~ 200m에 적용. 동작대교 전철교
【장단점】
① 아치Rib는 압축력만 받고 보강형이 휨모멘트 및 전단력을 받으므로 경제적.
② 아치Rib의 강성이 작으므로 설계시 주의 요함.
③ 내적으로는 부정정구조임.
④ 미관이 좋고 교량전체의 중심이 낮다.
(3) LOHSE교 (고차 부정정)
LANGER교의 아치단면을 크게 하고 접합점을 강결로 하여 아치부재도 휨모멘트, 전
단력을 부담할 수 있게 한 구조.
【장단점】
① 아치Rib와 보강형의 강성이 같으므로 모멘트 분배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기 때문
에 구조적으로 안정감이 있다.
② 상, 하현재의 구조가 동일하므로 연결부 설계 용이.
③ 아치Rib와 보강형의 강성이 크므로 수직재(Tie)의 간격을 Langer교에 비해 넓게
배치 가능함.
④ 비경제적임
(4) BALANCED ARCH교
교량이 3경간일때 중앙경간을 아치로 설치하고 측경간에 캔틸레바를 연장해서 그
선단과 교대 사이에 형 또는 트러스를 설치하여 만든 교량.
(5) NIELSEN ARCH교
로제교의 일종으로 아치부재 및 아치부재와 보강형을 연결하는 로프나 봉강을 경사
지게 배치하여 트러스와 같이 강성을 향상시킨 형식.
오하이오강 아치교
하버리리지
▣ 합성형교
1. 합성형교의 유형
합성형이라는 것은 강형과 철근콘크리트 바닥판이 일체로 거동하도록 강형의 플랜
지 와 철근콘크리트 바닥판을 전단연결재로 합성시킨 거더를 말한다. 합성형은 강재
와 콘크리트의 서로 다른 재료의 강점을 최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합성하였으며, 비합
성형에 비해강성이 높고 강형의 중량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기 때문에 널리 사용된
다.
1) 활하중 합성형(반합성형)
강형을 지점에서만 지지한 상태로 바닥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으로 사하중에
대해서는 강형만이 지지하며, 바닥판 경화 후 추가되는 사하중 및 활하중에 대해서
는 합성형으로 작용한다.
2) 사하중 및 활하중 합성형(전합성형)
바닥판 콘크리트가 경화하여 강형과 합성작용을 할때까지 강형을 지보공으로 지지
하여 거더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작하는 합성형이다.
3) 프리스트레스 연속합성형
연속보의 중간지점에 발생하는 부모멘트에 의한 콘크리트 바닥판의 균열을 방지하
기 위해 지점부 바닥판에 미리 압축력을 도입시키는 합성형이다.
4) 프리플렉스 합성형
Preflex 합성형은 강형을 이용한 철골 철근콘크리트 구조로서 하부플랜지를 구성하
는 콘크리트 부분에 작용하중에 의한 인장응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작시 프리플랙
션기법에 의해 압축응력을 도입한 프리플랙스형과 현장타설 콘크리트 바닥판을 서
로 합성시킨 합성형이다. 25~45m 지간교량에 적용되며 강형이 콘크리트로 보호되
어 있어 유지관리에 유리하다.
2. 합성형의 장단점
1) 장점
① 콘크리트 슬래브의 거의 전부를 압축 상태로 이용할 수 있다.
② 강구조 보다 많은 부분의 강이 인장상태에 있게 된다.
③ 동일한 하중과 경간에서 필요한 강의 하중을 훨씬 줄일 수 있다.
④ 비합성에 비해 강도가 훨씬 크며 처짐은 작다.
⑤ 초과 하중을 받을 수 있는 능력이 크다.
⑥ 형고가 낮아 경쾌하고 수려한 구조가 된다.
⑦ 형고가 낮아 耐火費用이 필요한 경우 줄일 수 있다.
2) 단점
① 전단 연결재의 설치 및 가설에 비용이 든다.
② 세밀한 시공을 요한다.
③ 설계시 합성단면 취급이 보다 어렵다.
3. 연속 합성형교 지점부 부모멘트 처리방법
1) PS를 도입하는 방법
① Preloading을 주는 방법 - 지점에 인장력을 유발하기 위해 하중을 미리 재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콘크리트가 경화한 후 하중을 제거하여 PS를 도입하는
방법.
② 지점의 上昇, 下降방법 - 지점을 상승시켜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지점을 하강시
켜 콘크리트에 PS를 도입하는 방법
③ PS강선․강봉을 이용하는 방법 - 지점부근의 콘크리트에 직접 PS를 加하는 방법
2) PS를 도입하지 않는 방법.
① 연속 합성형 - 전단연결재를 전길이에 걸쳐 배치하고 인장력을 받는 바닥에서 판
콘크리트 단면을 무시하고 교축방향 철근과 주형의 합성단면으로
설계하는 방법.
② 단속 합성형 - 중앙지점 부근의 전단연결재를 생략함으로서 지점부근에서 비합
성단면이되게 하는 방법이다.
③ 탄성합성형 - 지점상 Girder가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도록 탄성재료를 사용한
탄성재료층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슬래브가 탄성적으로 거동
하게한다.
3) 결론
PS를 도입하는 방법은 설계, 시공상의 어려움이 있고 PS를 도입하지 않는 방법
은 지점부 콘크리트 균열에 대한 방수층 설치, 전단연결재 설치 등의 단점이 있으나
응력 관리나 설계시 복잡성이 없고 연속형이 갖는 주행성, 경제성, 시공성 등의 장
점을 갖춰 보다 실용적이라 할 수 있다.
▣ 구조 형태에 따른 콘크리트 교량의 분류 및 특성
1. 철근 콘크리트교
1) SLAB교
① 균열 안전율이 비교적 크다.
② 장경간에는 사하중의 증가로 불리하며 단순경간의 경우 15m 이하에 적용된다.
③ 보 높이를 줄일 수 있어 橋高의 제약을 받는 곳에서 유리하다.
④ 거푸집이 간단하고 콘크리트 타설시 수평이음을 두지않고 끝낼 수 있으므로
시공이 비교적 용이하고 확실하다.
2) 중공 SLAB교
① 자중을 줄일 수 있어 단순경간일 경우 10 ~ 20m에 쓰인다.
② 중공관 주위가 취약할 수 있다.
3) T형교
① 자중이 SLAB교보다 적어 15 ~ 40에 쓰인다.
② 보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어 상호 처짐의 차이로 평탄성이 나빠질 수 있다.
③ 부의 모멘트에 불리하므로 연속교에는 적합치 않다.
2. PS 콘크리트교
1) I형교
① 교고가 비교적 높고 20 ~ 40m에 쓰인다.
② 주형에 강선을 도입하여 강성을 크게 하였으므로 주형 갯수를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다.
③ 주형 및 상판 시공시 동바리가 필요없어 경제적이며 공기도 비교적 짧아 시공
성이 좋다.
④ 다른 형식에 비해 거더가 높아 형하공간의 제한을 받는다
2) 박스 거더교
① 외형이 단순하고 미관이 양호하며 외면이 평탄한 관계로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② 거더교에 비해 긴 경간에 적용할 수 있으며 보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③ 1개 박스 사용시는 하부공의 횡방향 크기를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다.
④ 거푸집이 복잡해서 현장품이 많이 든다.
워싱턴selah만 fixed concrete bridge
ps콘크리트교(신단양대교)
강교(부산영도대교)
▣ TRUSS 교
주구조가 축방향인장 및 압축부재로 조합된 형식의 교량
일반 형교와 현수교의 중간경간에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사장교의 등장으로 많이
사용 되지 않음.
1) 트러스교의 구성
① 주트러스 : 수직하중을 지지하고 그하중을 하부구조로 전달하는 역할.
현재(상하현재), 단주(경사, 수직단주), 복부재(수직재, 사재)로 구성
② 수평브레이싱 : 양측의 주트러스를 연결하여 횡하중에 저항하는 역할.
③ 수직 브레이싱 : 양측의 주트러스와 상부 수평브레이싱을 연결하는 것.
④ 바닥틀 : 횡형과 종형으로 구성되며 바닥판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주트러스
의 격점으로 전달.
2) 구조특성
① 부재의 모든 격점은 마찰이 없는 핀결합으로 가정하므로 부재력은 축방향력만
발생한다.
그러나, 실제는 리벳,볼트,용접 등 강결구조이므로 2차응력이 발생하나 그영향
력은 미소 하므로 무시할만함.
② 트러스교의 높이를 임의로 정할 수 있어 상당히 큰 휨모멘트에 저항할 수 있다.
③ 구성부재를 개별적으로 운반하여 현장에서 조립이 가능하다.
④ 트러스의 상하에 바닥판의 설치가 가능하므로 2층구조의 교량형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⑤ 내풍성이 좋고 강성확보가 용이하여 장대교량의 보강형으로 적합하다.
⑥ 부재구성이 복잡하고 현장작업량이 많으므로 가설비가 비싸며 유지관리비가 고
가임.
3) 적용경간
① 단순 트러스 : 60 ~ 100M
② 연속 트러스 : 70 ~ 200M
③ 게르버 트러스 : 90 ~ 200M
4) 종류
① PRATT TRUSS : 사재가 만재하중에 의하여 인장력을 받도록 배치한 트러스
상대적으로 부재길이가 짧은 수직재가 압축력을 받는 장점
지간 45 ~ 60m에 적용
② HOWE TRUSS : 사재가 만재하중에 의하여 인장력을 받도록 배치한 트러스
③ WARREN TRUSS : 상로의 단지간에 사용. 지간 60m에 적용
④ PARKER TRUSS : 지간 55 ~ 110m에 적용
⑤ BALTIMORE TRUSS : 분격트러스의 일종. 지간 90m이상에 적용
⑥ K - TRUSS : 외관이 좋지 않으므로 주트러스에는 사용않함. 2차응력이 작은
이점이 있다.
지간 90m이상에 적용
5) 구조해석상의 기본가정
① 부재의 양단은 마찰없는 핀으로 연결
② 하중 및 반력은 트러스의 평면에 있고 격점에만 적용
③ 부재는 직선이며 중심축은 격점에서 만난다
④ 하중으로 인한 트러스의 변형 무시
6) 트러스의 교번응력
① 정의- 한부재의 전부재력이 인장력도 될수 있고 압축력도 되는 현상을 응력교
체(應力交替,stress reversal) 이라 하고, 이때의 응력을 교번응력(交番應
力) 이라 한다.
Truss의 중앙격간 부근에 있는 사재(斜材)일수록 應力交替의 가능성이
크다.
② 설계방법
a. 소요단면적 - 각 응력에 대해서 소요단면적을 구하고 큰쪽의 단면적을 사용해
야하며 압축응력에 대한 좌굴강도의 검토도 해야한다.
b. 상반응력 부재 - 활하중에 의해서 발생한 활하중응력이 사하중응력과 부호
가 반대가되는 경우
③ 결론
과거에는 일반적으로 사재가 압축응력을 받지 않는다고 가정했기 때문에 응력교
체가 일어나는 구간에서는 사재와 교차되는 새로운 사재 즉 대재(對材)를 설치하
였다, 그러나 오늘날 대부분의 교량 트러스에서는 교번응력을 동시에 견디도록 설
계 되어 있으며 對材를 두지 않는다.
7) 트러스의 2차응력
① 원인
a. 격점에서 거세트 플레이트에 의해 부재를 강접
b. 부재의 중심에 대해 축방향력이 편심하여 작용
c. 부재의 자중에 의한 영향
d. 횡연결재의 변형에 의한 영향
② 최소화 방안
a. 부재의 세장비 또는 높이, 길이의 비 h/L가 적당한 범위에 들어오도록 한다.
( 시방서 규정사항: h / L < 1 / 10 )
b. 거세트 플레이트를 가능한한 Compact하게 한다.
c. 부재의 폭을 작게 한다.
동호대교
출처 -네이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