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 텅 빈 마음으로 선행을 하다
淨心行善分 제23
“또 수보리야, 이 도리는 평등해서 높고 낮음이 없다. 이것이 이름이 최상의 깨달음이다. 나도 없고, 남도 없고, 중생도 없고, 수명도 없는 경지에서 여러 가지 선법을 닦으면 곧 최상의 깨달음을 얻으리라. 수보리야, 이른바 선법이란 것은 여래가 말하기를, ‘곧 선법이 아니고 그 이름이 선법이다’라고 하느니라.”
청정(淸淨)한 마음으로 선(善)을 행(行)한다
청정한 마음이라고 하는 것은 텅 빈 마음, 공(空)한 마음 공적(空寂)한 마음으로 선을 행한다는 그런 뜻으로 이해를 해야 한다. 시법(是法)이 평등(平等)하야 무유고하(無有高下), 참으로 멋있는 말이다. 이 도리는 평등해서 고하가 없다. 부처님께서 깨닫고 보니까 이 세상은 전부 차별(差別)투성이야, 일체(一切)가 차별 투성이고 오해 투성이야, 갖가지가 차별인데 눈을 뜨고 보니까 평등해서 고하가 없다. 시법이 평등하다. 무유고하다. 그것이 깨달음이다.
그 도리를 깨닫는 것, 그것이 바로 교리(敎理)를 볼 줄 아는 것, 깨달음이다.
그렇다. 우리는 고하를 따지고 차별을 따지고 하지만, 궁극적으로 모든 사람이 그리고 모든 존재가 삼라만상(森羅萬象)까지도 고하가 없다, 차별이 없다라고 하는 그런 내면의 세계를 우리가 생각할 줄 알아야 한다. 그것을 알면 그대로 최상의 깨달음이다.
그래서 아상(我相)ㆍ인상(人相)ㆍ중생상(衆生相)ㆍ수자상(壽者相)을 우리가 부르지만, 실로 아상ㆍ인상ㆍ중생상ㆍ수자상이라고 부를 것이 아무 것도 없다.
무아(無我)ㆍ무인(無人)ㆍ무중생(無衆生)ㆍ무수자(無壽者)로 그것 없는 상태로서 수일체선법(修一切善法)하며, 착한 법을 닦을 것 같으면, 즉득아뇩다라삼먁삼보리(卽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하느니라. 곧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게 될 것이다. 정말 제대로 눈을 뜰 것이다. 그런 말씀이다. 그러니까, 그 이름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라는 것을 알면, 그 다음부터는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천 개 만 개 얻게 됐다 하더라도 아무 허물이 안 되고, 하나도 못 얻었다고 해서 허물이 되지 않는다.
말의 진정한 의미는 따로 있으니까, 그래 말을 쫓아가지 않을 줄 알면 그대는 아무리 말을 해도 괜찮은 것이 된다. 아무리 말을 해도 허물이 되지 않는다. 그런 것이다. 예를 들어 아주 친한 회사 동료와 퇴근길에 자주 들러서 술 한잔 하는 곳이 있다고 하자. 퇴근하면서 장소는 말하지 않고 ‘빨리 와’ 한 마디만 하고 먼저 나갔다. 남이 들으면 그게 무슨 말인가? ‘빨리 와’ 하는 소리는 자기를 따라 오라는 소리로 들리지만, 그것은 거기 그곳에서 만나자는 소리로 안다.
또 ‘퇴근 안 해?’라고 해도 역시 그곳에서 만나자는 소리다. 무슨 소리를 해도 상관이 없다. 다 통한다. 그냥 눈빛만 봐도 통해버린다. 거기서 만나자 하는 의미로 무슨 행동, 무슨 말도 다 무사통과다. 그런 사이에는, 그런 관계를 가진 사람들끼리는 그렇기 때문에, 부처님의 깨달음에 대해서 시명아뇩다라삼먁삼보리(是名阿耨多羅三藐三菩提), 이렇게 표현한 것을 제대로 우리가 소화를 했다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아무리 이야기해도 허물이 되지 않는다.
거기엔 이제 다 벗어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또 이런 말을 할 수 있다. 어떻게 보면 상당히 혼란스러운 것 같지만, 하여튼 최선의 방법을 동원해서 우리에게 이해시키려고 그렇게 한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자꾸 읽고 쓰고 읽고 또 읽고, 다 아는 것 같아도 읽을 때마다 새로움을 느낄 것이다. 읽을 때마다 새롭게 다가올 것이다. 또 같은 뜻으로 되더라도 이해의 깊이가 또 다른 것이다. 이해의 깊이가 영 다른 것이다.
예를 들어 늘 물을 마셔도 목이 마를 때 마시는 것하고 목이 마르지 않을 때 마시는 것하고, 식전에 마시는 것하고 식후에 마시는 것하고 맛이 전혀 다른 것이다. 물은 하나인데도 그렇다. 그와 마찬가지로 오늘의 내가 이곳에 얼마나 마음을 쓰고 정성을 들여 쓰고 읽고 거기에 그만큼 마음을 투자하느냐에 따라서, 이해가 달라지고 깊이가 달라진다는 것이다.
첫댓글 바람이 많이 부는 월요일 아침에 인사올립니다. _()()()_ 오늘 '금강경 이야기'에서도 큰스님께서 바른 훈습, 실답게 공부(읽고, 쓰고, 외우고, 위타인설...)하라는 끝없는 사랑의 말씀이 있었습니다. 이제 '금강경 이야기'도 끝을 향해 달리고 있습니다. 잘 정리하시고 건강하시는 하루 하루가...
텅 빈 마음, 그래서 시법이 평들하여 무유고하(無有高下)가 없고 장단(長短)이 없다.이것이 깨달음이다.그 도리를 깨닫는것 그것이 곧 교리를 볼줄 아는 깨달음이다...그 깨달음에 가까이 다가갈수 있도록 오늘도 열심히 정진합니다.아직도 분별심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사상을 버리기 위하여.. 습한 날씨에 큰스님 마라톤님
큰스님께서 자주 말씀하시는 경구이기도 합니다. 시법이 평등하여 무유고하라... 지금 우리의 생각 생각은 어떠한지???
염화실 도반님들 건강관리 잘 하시고 늘~~행복 하세요.._()()()_
하늬바람님의 정성...이 염화실, 그리고 금강경 이야기방의 법우님들에게 힘을 실어주십니다. 감사....
읽을때마다 늘 새롭게 와 닿는 금강경입니다.어떤 날은 이 귀절에...또 어떤 날은 다른 귀절에서 새삼 새로운 진리를 발견 할때가 있습니다.'이 법은 평등하여 높고 낮음이 없으므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라 이름하나니, 我도 없고 人도 없고 衆生도 없고 壽者도 없이 일체의 선한 法을 닦으면 곧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
참 묘한 표현이지요? 읽을 때 마다, 물을 마실 때 마다... 느낌이 달라짐은 우리들 마음 속에 그 무엇이 들었길레...
차별화 없이 장점만을 생각하면서 주변이들을 바라보려 해도 자신도 모르게 상대의 단점을 보고 질책하고 있는 모습을 보며 마음공부 부족한 자신을 탓해야 하는데 오히려 회의감이 드니...오늘 말씀에 많이 반성이 되네요. 이 번주는 금강경 불빛안에서 좀 더 내면세계 밝히도록 노력해야겠어요. 감사합니다._()_
요즘 장산 스님으로부터 선물을 받으신 금강경을 자주 읽으시는지요? 여름 방학을 앞 두고 무척 바쁘시지요?
_()_()_()_
잊지 않고 항상 도량을 밝혀주셔서 감사합니다._()()()_
누구를 막론하고 평소에는 다 좋은 마음을 갖게 마련이다.하지만 어떤 상대와 이해관계가 생기면 자신도 모르게 본성이 불쑥 불쑥 드러나는 법이다. 이것은 항상 마음 속에 온갖 더러운 마음이 들어있다는 증거이다. 무슨 소리를해도 다통하며 정을 깔고 하는이야기 이므로 따뜻한 마음으로 이해 할수있는 공부인으로..._()
불쑥 불쑥 과거의 나쁜 습관이 일어날 때 그 순간 나의 의식을 꿰뚫어 볼 수 있다면 그 또한 큰 공부라고 생각합니다._()()()_
_()()()_
수희동참하시어 도량을 밝히시니 염화실, 금강경 이야기방이 부처님의 지혜 광명입니다. _()()()_
()()()
천천히 그러나 쉬지말고 정진합시다. 마하반야바라밀!
상을 떠나 보내고 머무르지 않는 청정한 마음으로 선을 행하면 시법(是法)이 평등(平等)하야 무유고하(無有高下)라..진실된 마음으로 육진 경계에 끄달리지 않고 바른눈을 뜨면 차별도 없고 편견도 없어져 최상의 깨달음인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는다. 무상 무주의 마음으로 바르게 훈습하는 참불자가 되기위하여 .._()_
항상 지혜의 말씀을 주셔서 다른 법우님들을 대신해서 감사의 말씀을 올립니다. _()()()_
_()()()_
열심히 정진하시는 겨리님의 모습이 아름답습니다. 나무금강반야바라밀!
마하반야바라밀 마하반야바라밀 마하반야바라밀 _()_
좋은 게시물이네요. 스크랩 해갈게요~^^
나무금강반야바라밀경_()_
마하반야바라밀_()_ 이렇게 정성스러운 가르침에 감동하고있답니다. 고마워요. 감사해요.
_()()()_
나무금강반야바라밀경_()()()_
감사드립니다..나무금강반야바라밀경,_()_
_()()()_
_()_
나무아미타불
ㅡㅡㅡㅡ
관세음보살..()()()
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