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혈상담치유학이란? 귀를 보고 (귀의 형태, 반응) 과거, 현재, 미래의 건강 상태와 성격, 심리, 부부, 직업, 인간관계 등 모든 분야를 한눈에 파악하고 또 귀만 가지고 이 모든 것을 개선, 보완하여 건강한 가정, 사회생활을 할 수 있도록 상담, 지도해 주는 것이다. 즉, 건강 및 일상생활의 모든 문제의 근원적인 제기와 더불어 그 문제의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해 줄 수 있는 것이 이혈상담치유학이다.
이혈치료란? 귀에 나타나 있는 혈자리를 보면서 진단을 하고 문제가 있는 자리에 자극을 주거나 기석을 붙임으로써 치료를 하는 대체의학이라고 할 수 있다. 아래의 이혈도를 참고하며서 해당 혈자리가 충혈되었거나 작게 부풀어 있거나 반점 등이 있으면 그 혈에 해당하는 신체의 부위에 이상이 있다고 보면 된다.
예를 들어 편두통이 있다면 머리에 해당하는 부분의 '섭'부분이, 허리가 아프면 허리 부분에 반응이, 맹장수술을 했다면 맹장 부분인 '란미'부분에 작은 흔적이 있으므로 타인의 귀를 보면서도 그 사람의 질병을 알 수 있는 진단법이다. 더 자세한 질병의 진단은 더 공부를 해야겠지만 이 부분에 초보이어도 어느 정도는 진단이 가능하다는 이야기가 된다.
귀혈진단치료의 기원 귀침은 중국의 매우 오랜 침구학의 중요한 조성 부분이며 중국 의학 보물 고증의 귀중한 유산의 하나로서 일찍 우리나라 고대 문헌 중에 기재되었다. 귀혈진단치료는 중국에서 기원하였으며 중국의 첫 번째 경전 의작<황제내경>을 비롯하여 기타 의학 저작에서도 귀와 경락의 관계에 대하여 상세하게 논술하였다.
50대 중엽부터 60 중엽까지는 귀혈응용과 귀혈분포규율의 형성 시기이었고, 60말부터 70말기까지는 귀혈의 수량 및 귀혈의 진단, 치료방법은 최고에 이르렀다.
80년대는 귀혈의 깊이와 넓이에서 연구하고 확장하는 새로운 시기였으며, 80 말, 90 초에 이르러 귀혈 진단 치료법은 귀혈 진단 치료학 체계로 발전하였다. 프랑스에는 17세기에 중국 주재 프랑스 영사 리리, 모란터등이 쓴 <진정한 중국 의술>이 구라파 침구요법에 소개되어 귀침을 응용한 제일 일찍인 나라가 되었고, 가까운 일본은 최초로 귀침을 응용한 것은 1965년 5월호<의도와 일본>잡지에 소개한 것과 전수의 <침으로 귀 방울을 찔러 모낭염을 치료>에서 볼 수 있고, 미국은 근년대 귀침요법이 감비(살 빼기), 금연, 약독 제거 등 위주로 성행하였다.
소련에는 1959년 카로신스끼의 전문 저서 가운데 '귀침치료는 초절단의 반사 과정이다'라고 하면서 소개하였다. 그 외에도 이탈리아, 캐나다, 폴란드, 루마니아, 화란, 덴마크, 희랍, 미얀마, 타이, 에스파니아, 아르헨티나, 나이지리아, 터키, 인도, 스리랑카, 월남, 필리핀, 독일.... 등이 있다.
● 귀혈의 모형도
▶ 이륜각(섭생과 배설)
구(구강), 식도, 본문, 위(소화불량), 십이지장, 소장, 란미(맹장), 대장(변비,설사, 대장질환)
▶ 대이륜(인체의 척추)
경추, 흉추, 요추(허리 뼈), 저추(엉덩이뼈), 미추(꼬리뼈), 경(목), 흉(가슴), 복(배), 견배(어깨 등), 늑협(옆구리), 요기(허리 근육), 갑상선, 유선, 열혈
▶ 대이륜 상각
지(발가락), 근(발꿈치), 족심(용천혈), 슬관절(무릎관절), 과관절(발목관절), 슬(무릎), 비장기근(종아리), 국와(오금), 관관절(엉덩이 관절), 고사두기(허벅다리근육), 고외측 (허벅다리 외측), 고내측(허벅다리 내측)
▶ 대이륜 하각 (엉덩이 부분)
좌골신경, 교감(자율신경 계통), 둔(엉덩이와 허리부위 좌골 신경통)
▶ 이주부분(팔에 해당)
지(손가락 관절), 완(손목관절), 주(팔꿈치), 견(어깨), 견관절(어깨관절), 쇄골(어깨부위), 풍습선(알레르기) 풍계, 액하(겨드랑이 땀냄새), 신염점(신장 염증), 이대신경점(상체주관)
▶ 이병(인후)
병첨(열),신상선(염증), 외비(바같코), 기점(살빼기), 갈점(갈증점), 외이(동상), 심포점, 인후(금연), 내비(속코 질환), 이섭신경점(안면이상)
▶ 대 이병 (머리에 해당)
시선(피부질환), 난소(부인병), 뇌간(중풍), 연중(내분비 질환), 섭(편두통), 평천(해소,천식), 액(이마), 침(후두통), 정(정수리), 운구(어지럼 구), 신경 쇠약구(긴장완화), 구뇌, 흥분점(생리활동), 고환(남성 생식기 질환), 피질하(신경계통, 소화 계통, 심혈관 계통), 전간점(간질 점), 뇌점(중풍)
▶ 이수(귀 방울)
안(눈), 내이(속귀), 수전(수면), 편도, 아(치통), 하악(아래 입천장), 상악(윗입천장), 설(혀), 하합(아래턱), 상합(위턱), 승압점(혈압), 목1(눈 : 만성질환), 목2(눈 : 급성질환), 관심구(부정맥), 이명구, 면협구(얼굴부위)
▶ 이갑강(심폐기관)
기관, 기관지(해소, 천식), 폐, 심(심장), 혈액점(빈혈 등), 비장(성장, 면역기능), 삼초. 내분비, 결핵점
▶ 이갑정(소화기관)
신(소변 등), 전립선(전립선염), 수뇨관(결석), 방광(요통), 정중(급체), 간(간질환), 이담(당뇨질환 등), 담관(이선점), 복수점(해독작용), 복창구(소화불량)
▶ 삼각와(인체의 내부 생식기관에 해당)
내생식기(자궁혈), 분강(골반강), 부건, 궁경, 강압점, 간염점, 신문, 고관절(허벅다리 관절), 변비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