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재난 안전 관리상황
▲ 폭염 대처상황(8.9)
- 피해상황(일계/누계) : 50명(온열질환자) / 857명(사망 7,
온열질환자 850)
* 가축폐사(일계/누계) : 없음 / 193만여 마리(닭 1,852,907 오리 59,777 돼지 4,584
메추리 10,000)
- 대처상황
- (국민안전처) 재난문자방송(CBS) 등을 활용 폭염 행동요령 홍보
․119폭염구급대 : 응급처치 4명(누계 285명) / 온열질환자 이송 4명(누계 255명)
- (국 토 부) 경부고속선 등 19개
노선 4,032㎞, 343명 열차순회 점검
- (지 자 체)폭염특보 발효 16개 시․도 1,573명 상황근무 실시
․폭염
취약계층 건강관리‧안부확인(60,663회), 무더위쉼터 방문 점검‧홍보(6,209회)
․폭염상황 및 행동요령 홍보(전광판‧앰프 등
36,071회, 문자서비스 199,932명)
- 향후계획 : 지자체 폭염대책 중앙 합동점검(8.10~11, 국민안전처 등 4개 부처),
폭염피해 예방 대국민 홍보 및 119폭염구급대 지속 운영
▲ 적조 대처상황(8.9) * 피해상황(잠정)
없음
- 적조주의보 : 전남 고흥군 염포 ~ 경남 남해군 남면 ~ 경남 거제시 남부면 해역
※ 적조주의보 확대발령(8.9,
19:00) : 전남 고흥군 염포~경남 남해군 남면
※ 적조생물출현주의보 : 전남 장흥군 회진면~고흥군 염포, 경남 거제시
남부면~부산 기장군 장안읍
- 대처상황 : 해수부 적조대응 종합상황실 운영(8.5~), 국민안전처 적조 상황 모니터링,
지자체(통영시·거제시·남해군·고성군) 긴급방제 등
※긴급방제(8.2~9) : 황토살포 274톤(누계 1,073), 선박 58척(누계
257), 인력 298명(누계 1,209)
- 향후계획 : 양식장 산소발생기 가동 등 피해예방 조치 및 상황 모니터링 실시
▲ 물놀이 안전관리 상황(8.9) * 물놀이 관리지역 : 1,697개소(15개 시‧도,
146개 시‧군‧구)
- 사망사고 현황(일계/누계, 잠정) : 3명* / 누계 39명(강‧하천 22, 계곡 4, 해수욕장 8, 바다 4,
저수지 1)
※삼척시 장호항(남/26), 장수군 저수지(남/45), 합천군 창녕보(남/36) → 9월중 ‘물놀이사고심의위원회’에서
확정
- 안전사고 예방활동 * 여름철 물놀이 안전관리대책기간(6.1∼8.31)
- (국민안전처)
특별대책기간(7.15∼8.17) 관리지역 공무원 전담관리제 운영(C등급 138개소, 60명)
※ 물놀이 관리지역 공무원 전담관리제
현장점검(8.9) : 부산 해운대 등 3개 시‧군 3개소
※ 물놀이 관리지역 현장점검 : 2개 시·군 7개소(8.8), 4개
시‧군‧구 8개소(8.9)
․119시민수상구조대(9,870명, 장비 200대) 11명 구조, 해상구조대(428명, 장비 160대)
11명 구조
․물놀이 안전사고 예방 홍보(KBS 등 TV 5개사 물개송 CF, 라디오 2개사)
※ 민방위 재난 예·경보장비
활용 홍보방송(6개 시·도, 56개 시·군·구 245개소 2회)
- (지자체 등) 지자체장 등
현장점검(해남,광양,부안,무주,부산,진천,평택해경) 및 안전사고 예방 캠페인(고흥,고창,통영,세종,충북적십자사), 피서객 구명조끼 무료
배부(광양)
- 향후계획 : 안전관리 점검 및 예방 캠페인, 안전관리요원 교육 실시 등
■ 재난안전 예방활동
▲ 국민안전처, 안전담당 교사 등에 학생 안전사고 대처교육(8.10~8.13)
- 중앙119구조본부,
전국 119소년단 지도교사·학교안전 담당교사 대상, 소방·산악·수상안전 등 학생 안전사고 대처와 구조방법 실습 교육
▲ 국민안전처, 갯벌 고립사고 안전주의 당부(8.10)
- 올해 갯벌에서 총 44건의 사고(6명 사망)가
발생,서해안 갯벌에서 야간 해루질(조개잡이) 등으로 고립사고가 빈번, 안전수칙* 준수 당부
* 구명조끼 착용, 들물시간 휴대폰 알림
설정, 사고위치 확인이 가능한 ‘해로드 앱’ 활용 등
■ 소방 안전 활동 상황
◇ 소방활동 총괄
구
분 |
화
재 |
구
조 |
구
급 |
건수 |
사망 |
부상 |
피해액
(백만원) |
건수 |
인원 |
건수 |
인원 |
일
계 |
77 |
0 |
1 |
406 |
1,604 |
297 |
4,175 |
4,296 |
누
계 |
28,785 |
172 |
1,171 |
238,144 |
239,748 |
55,468 |
981,829 |
1,007,508 |
❖ 수난사고: 18건 21명(사망7, 부상4, 안전구조10 / 바다7, 해수욕장5, 강3, 계곡2, 하천2, 수영장1, 저수지1)
❖
폭염: 4건 4명(열탈진2, 열사병1, 열실신1)
❖ 생활안전: 1,681건 / 벌집제거 1,045, 위해동물포획 187, 갇힘사고
122, 전기‧가스안전 7, 기타 320
◇ 화재진압 활동
▲ (축 사) 전남 영광군
묘량면『00축산』
- 05:32∼07:35, 자돈사 환풍기에서 발화 추정, 350㎡ 및 자돈 150두
소사(95백만원)
▲ (노래방) 울산 남구 달동『노래연습장(3/0) 2층』
-
06:07∼06:43, 카운터 부근에서 발화, 15㎡ 및 집기류 등 소실(11백만원)
* 인명대피 : 3층 거주자 2명(인명피해
없음) / 1층(점포), 2층(노래방), 3층(주택)
▲ (음식점) 서울 강남구 선릉로『음식점건물(4/1) 1층』
- 09:41, 냉장고에서
발화, 30㎡ 및 집기류 등 소실(7백만원)
▲ (창 고) 인천 강화군 강화읍 연미정길『주택 간이창고(1/1)』
-
14:36∼14:48, 모터펌프 전기단락으로 발화, 33㎡ 및 집기류 소실(32백만원)
* 주택으로 연소확대
방지
◇ 구조・구급 활동
▲ (환자이송) 경기
여주시 연양동『00유원지 야외수영장』
- 16:30, 수영장 수질 정화용 소독액(아비타 5000)이 기계 오작동으로 과다
누출
- 어린이 등 60명 집단 복통 및 구토 증세, 고려병원 등 4개 병원 분산이송
* 119구급차 22명, 자차이송 38명
/ 전원 귀가조치
▲ (추락사고) 서울 도봉구『1호선 도봉산역(인천방향)』
-
18:54, 만취상태에서 선로로 추락, 부상 1명(남/30대, 치아손상, 허리통증)
- 응급처치 병원이송 / 열차운행에 지장 없음
■ 해양경비 안전 활동 상황
◇ 활동총괄
구
분 |
외국어선
단속(척) |
주요
해양사고
(척/명) |
오염방제
(건/유출량㎘) |
나
포 |
검
문 |
차단・퇴거 |
일
계 |
0 |
0 |
0 |
12 / 59 |
0 / 0 |
누
계 |
209
(지도선 포함) |
536 |
3,630 |
1,043 / 9,376 |
158 / 373 |
◇ 해양사고
▲ (선박예인) 창원・목포, 기관고장
선박(2척) 예인
- 10:50, 창원 지심도 인근 해상 어선(9톤,4명), P03정 예인, 여차항 입항
-
12:20, 목포 양덕도 인근 해상 어선(7.9톤,4명), 106정 예인, 서망항 입항
▲
(레저사고) 목포・보령・포항・통영・동해・울산・평택, 레저기구(10척) 예인・구조
- (기관고장)목포 신안비치호텔 앞 해상
요트(6톤,2명), 포항 송도해변 보트(3.3톤,1명), 통영 신수도 인근 보트(1톤,5명), 목포 송이도 인근 보트(130마력,7명), 동해
노봉해변 보트(10톤,9명), 동해 통구미해변 보트(0.8톤,1명)
- (연료고갈)평택 대난지도 인근 보트(90마력,3명), 보령 대천항
인근 보트(1.5톤,5명)
- (추진기탈락)보령 삽시도 인근 보트(2.9톤,7명)
- (배터리방전)경주 관성해변
보트(1톤,3명)
▲ (익수・추락자) 통영・동해・포항, 익수・추락자(4명) 인양・구조
- 13:33, 통영
욕지도 관광객(남,51세) 파도에 휩쓸려 실종, 122구조대 인양(사망)
※ 동원세력 : 함선 6척(해경2, 해군2, 관공선1,
민간1), 항공기 1대, 122구조대(4명)
- 17:00, 동해 묵호항 입구 주취 수영자(남,52세) 122구조대 구조
-
18:12, 동해 장호항 어촌체험 익수자(남,25세), 임원센터 인양(사망)
※ 18:14∼18:27,
구조정(1명)・체험장관리선(1명) 입수, 익수자 해중인양, CPR 실시
- 10. 02:20, 포항영일신항만 방파제 TTP
낚시객(남,55세) 추락, 영일만센터・119 합동구조
▲ (응급환자) 통영・군산・여수, 응급환자(3명) 이송
- 통영 좌사리도 북서 3해리
해상 다이버(의식불명), 헬기 이송(사망)
- 군산 선유도 관광객(고열), 여수 금오도 주민(담석증), 함정 이송
▲ (변사자) 제주, 변사자(1구) 인양
- 08:35, 이호테우해변 인근
변사자(여,불상) 해녀 발견, 제주센터 인양・수사중
8월 10일 06:00 기준.
자료 : 국민안전처
소방방재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