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활절을 잘 맞이하기 위해 부활 판공성사를 받읍시다. 또 미루지 말고 이번엔 꼭! * 저도 스마트폰(Galaxy S2 HD) 구입했습니다. 번호는 종전대로 010-6757-3217. * 2012년 석림동 본당 설정 25주년을 맞이하여 ‘말씀의 전화 1000명 이메일 보내기 운동’을 전개합니다. 특히 냉담자들의 이름, 세례명, 이메일주소, 손전화번호를 알려주시면 매주 보내드리겠습니다.
☎ 전화로 듣는 천주교 주일 강론 ‘말씀의 전화’ ☎ 주님 수난 성지 주일 나해, 2012. 4. 1. mapalmb12배신보은.hwp
* 만약 이 ‘말씀의 전화’가 토요일 늦게까지 도착하지 않으면 아래 카페를 참고하십시오. 어떤 때는 시간 없어 못 보내드릴 수도 있습니다. * ‘말씀의 전화’ 카페 http://cafe.daum.net/malssmphone * ‘방윤석 신부의 주일 강론’은 대전마르코니 카페 http://cafe.daum.net/DS0LB 에 있음. 공소회장님들과 원하시는 신부님, 수녀님, 평신도 분들께 매주 보내드리고 있습니다. * 전화로 말씀의 전화 듣는 법: 152 누르고 기다림-신호음 울리고 안내말 나오면-사서함번호 3217번 누름. 듣는 시간 3분. 전국 어디서나 시내전화 1통화 요금. 공소예절 중 강론시간에 스피커폰으로 대신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기에는 시간 관계상 아래 내용을 줄여 음성 입력할 수도 있습니다. * 이 강론들은 주일이 지난 후 다시 정리하여 두 카페에 최종 저장됩니다. ▥ 제1독서 : 이사야서 50,4-7 <나는 모욕을 받지 않으려고 얼굴을 가리지도 않았다. 나는 부끄러운 일을 당하지 않을 것임을 안다(주님의 종의 셋째 노래).> ▥ 제2독서 : 사도 바오로의 필리피서 2,6-11 <그리스도께서는 당신 자신을 낮추셨다. 그러므로 하느님께서는 그분을 드높이 올리셨다.> † 복 음 : 마르코가 전한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수난기 14,1-15,47 <또는 15,1-39>
* 제 목 : 배신은 그만, 이제는 보은의 때! 찬미 예수님, 여기는 전화로 듣는 천주교 주일 강론 ‘말씀의 전화’입니다. 충남 서산 석림동 성당 방윤석 베르나르도 신부가 매주 토요일 입력하고 있으며 전국 어디서나 시내전화 한 통화요금으로 들으실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2012년 4월 1일 주님 수난 성지 주일 나해 강론을 시작하겠습니다. 다음 카페에 말씀의 전화가 있으니 스마트폰에서 찾아보세요. <브루투스, 너마저도!>라는 유명한 일화가 있습니다. 케사르는 로마의 황제였습니다. 영어로 율리어스 시저입니다. 패전의 포로였던 브루투스. 케사르의 첫 사랑의 아들. 케사르의 관대함에 브루투스는 친아버지처럼 따랐습니다. 케사르의 암살음모가 착착 진행될 무렵, 브루투스에게 익명의 편지들이 쇄도합니다. “브루투스여, 케사르의 시대는 저물었다.” “브루투스여, 그대는 우리의 존경을 원치 않는가.” “브루투스여, 그대의 위대한 가문과 그대의 앞날을 생각하라.” 그래서 은인 케사르의 등에 칼을 꽂은 브루투스... 케사르는 “브루투스, 너마저도!”라는 말을 남기고 죽습니다. 브루투스는 패전하여 피신한 후 자살로 生을 마감했습니다. 오늘 복음의 예수님을 배신한 유다스와 어찌 그리도 똑 같은지요. 오늘의 수난 복음은 예수님의 수난과 죽음을 아주 극적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예수님의 수난은 참으로 처참했습니다. 온몸에 채찍질을 당하고 머리에는 가시관이 눌려 씌여진 상태로 십자가에 매달려 극심한 고통 중에 돌아가셨습니다. 이러한 고통 중에서도 가장 고통스러웠던 것은 무엇이었을까요? 육체적 고통도 고통이지만 가장 가까운 사람들에게서 버림받고 배신당한 고통이었을 것입니다. 제자들을 봅시다. 예수님께서는 가까운 제자 유다스로부터 돈 때문에 배반을 당하십니다. 그리고 다른 제자들도 다 도망쳐 버렸습니다. 군중들을 봅시다. 엊그제까지만 해도 예수님에게 병 고침 받았던 사람들이고 올리브 가지로 환영하던 사람들입니다. 그런 사람들이 예수님을 십자가에 못 박으라고 악을 씁니다. 이렇게 예수님께서는 제자들과 군중들에게 철저히 배반당하셨습니다. 오늘 복음에 나오는 모든 사람이 바로 우리의 자화상이기도 합니다. 아무튼 배신은 그만, 이제는 보은의 때입니다. 이제 사순절도 막바지에 이르렀습니다. 교회가 명하는 판공성사를 꼭 받으시길 바랍니다. 특히 밖에 나가 있는 냉담 자녀들을 버려두지 마시고 강경하게 권고하세요. 판공성사 받는 것! 그것이 보은의 첫걸음입니다. 그리고 성삼일 전례에 꼭 참여하시기 바랍니다. 아멘. 감사합니다. *
* 참고- 케사르, 그는 누구인가? 로마 공화정 말기의 정치가․장군(BC 100~BC 44). 기원전 60년 폼페이우스, 크라수스와 함께 삼두 정치(三頭政治)를 수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로마의 집정관에 취임하였다. 갈리아 전쟁, 알렉산드리아 전쟁을 치르며 로마의 최고 지배자가 되어 율리우스력(Julius曆) 사용과 각종 사회 정책 사업 등을 실시했으나 권력 집중에 반대한 원로원의 브루투스와 카시우스 등에게 암살되었다. 문인(文人)으로서의 재주도 뛰어나 《갈리아 전기(戰記)》, 《내란기(內亂記)》같은 저술을 남겼다. 줄리어스 시저는 ‘율리우스 카이사르(Julius Caesar)’의 영어식 이름이다. 공동번역 신약성서 마태오 복음 22,15-22에서는 ‘가이사르의 것은 가이사르에게’라고 나와 있다. 지금의 성경은 ‘황제’로 번역되어 있다.
<<웃음한마당>> <1. 인생 시간표> 잠자리에서 보내는 시간 - 25년. / 직장과 학교에서 보내는 시간 - 14년. / TV를 시청하면서 보내는 시간 - 12년. / 사교활동을 하면서 보내는 시간 - 5년. / 글을 읽으면서 보내는 시간 - 3년. / 식사하면서 보내는 시간 - 3년. / 씻고 치장하느라 보내는 시간 - 2년. / 전화 통화하는 시간 - 1년. / 변기에서 보내는 시간 - 10개월. / 섹스에 들이는 시간 - 5개월. / 기타 활동(가사, 쇼핑, 줄서서 기다리기, 걷기, 자동차 운전, 오락, 멍하니 보내는 시간) - 10년. 야, 안 돼!!! 그래 가지고 언제 영생 챙기니? <2. 어느 국회의원의 이름> 매일 텔레비전에 얼굴이 나오는 유명 국회의원이 어느 날 지역구 유치원을 방문했다. 원생들은 손뼉 치며 환호했다. 새싹들의 밝은 모습을 본 그는 흡족해 물었다. "여러분 내가 누구인지 알아요?" "네, 국회의원이요." 그러자 유치원생에게도 인기가 있다고 믿은 그가 다시 물었다. "그럼, 내 이름이 뭔지 알아요?" 그러자 아이들은 일제히 큰 소리로 외쳐댔다. "저 자식이요." ㅎㅎ 오죽하면 초딩들 중에 다투다가 가장 심하게 한다는 욕이, "저 자식 여의도로 보내버려~~"가 됐겠나?? <3. 아버지와 아들> 아버지가 유치원생 아들과 함께 목욕탕에 갔다. 열탕 속에 들어간 아버지가 시원하다고 하면서 아들에게 "너도 들어오라"고 했다. 아들은 시키는 대로 열탕 속에 풍덩 들어갔다. 순간 어찌나 뜨겁던지 얼른 나오면서 "세상에 믿을 놈 없어"라고 했다. 이 말을 들은 아버지가 화가 나서 아들을 두들겨 팼다. 아들이 앙앙 거리면서 말했다. “그래, 때려 죽여라. 니 새끼 죽지 내 새끼 죽냐?" 목욕이 끝나고 빵집에 가서 아버지는 5개, 아들은 3개의 빵을 먹고 나서 아버지가 물었다. "배 부르지?" 아들 왈, "3개 먹은 놈이 배 부르면 5개 먹은 놈은 배 터지겠다." 아들은 또 한 번 얻어 터졌다. 집에 와서 아버지가 엄마에게 일러바치자 아들이 중얼거렸다. "원 세상에, 마누라 없는 놈 서러워서 살겠나!" 에구, 이걸 죽여 살려? <4. 여선생과 벽시계> 어느 초등학교에서 젊고 예쁜 처녀 선생님이 수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모든 사물에 대해서는 주의 깊은 관찰력이 필요하다며, 아이들에게 그 교실에 걸린 벽시계를 가리키며 물었다. "저 벽시계에도 있고 선생님에게도 있는 것이 뭐가 있을까요?" 한 아이가 대답했다. "두 손이요." 다른 아이도 대답했다. "얼굴이요." "아주 잘 보았어요. 그럼 다시 자세히 보고 벽시계에는 있는데 선생님에게는 없는 것은 뭐죠?" 한참 침묵이 흐른 뒤 한 꼬마가 나지막하게 대답했다. "불알이요!" <5. 여자의 재치> 어떤 중년 부인이 지나가는 중년 남자를 붙잡고 말했다. "어머나, 너 고등학교 때 우리 반이었던 준태로구나, 어쩌면 이렇게 변했니? 그 많던 새까만 머리숱이 대머리가 됐네. 그 날렵했던 몸매는 어디로 가고 이렇게 뚱보가 돼 버렸니?' 이렇게 달라지다니 정말 놀랍구나." 그러자 중년 남자가 이렇게 말했다. "여보세요, 내 이름은 준태가 아니라 기태라고요!" 순간 여자는 사람을 잘 못 봤다는 사실을 깨달았고 실수를 했다고 생각하니 당황스러웠다. 그래서 이렇게 둘러댔다. "어머, 그럼 너 이름까지 바꿨단 말이니?" <6. 남자들이 갖는 세 가지 욕심> 남자의 인생에는 세 갈래의 길이 있습니다. 하나는 가족을 위한 굳건한 가장의 길이고... 또 하나는 사회적 지위의 상승과 성공의 길이며... 나머지 하나는... 언제든 혼자일 수 있는 자유의 길입니다.// 남자의 인생에는 세 여자가 있습니다. 하나는 아내가 닮았으면 하는 어머니이고... 또 하나는 전능한 어머니였으면 하는 아내이며... 나머지 하나는... 가슴에 숨겨두고 몰래 그리는 여인입니다. // 남자의 인생에는 세 가지 중요한 것이 있습니다. 하나는 인생을 걸고 싶을 만큼 귀한 친구이고... 또 하나는 고단한 길에 지침이 되어주는 선배이며... 나머지 하나는... 자신을 성숙케 하는 책입니다. // 세 가지 갖고 싶은 게 있습니다. 하나는 자신을 징그러울 만큼 꼭 닮은 아들이고... 또 하나는 죽을 때 까지 잊을 수 없는 첫사랑이며... 나머지 하나는... 목숨 다할 때 까지 효행하고픈 부모입니다. // 남자의 인생에는 세 번의 몰래 흘리는 눈물이 있습니다. 하나는 첫사랑 보낸 후 흐르는 성숙의 눈물이고... 또 하나는 실패의 고배를 마신 후 뼈아픈 눈물이며... 나머지 하나는... 부모를 여의었을 때의 불효의 피눈물입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