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과단원-실내 디자인]
1. 다음 디자인의 원리 중 균형의 요인이 아닌 것은?
ⓐ 불규칙한 형태는 기하학적 형태보다 가볍게 느껴진다.
ⓑ 작은 것은 큰 것보다 가볍게 느껴진다.
ⓒ 수직, 수평선보다 사선이 가볍게 느껴진다.
ⓓ 부드럽고 단순한 사선이 복잡한 것보다 가볍게 느껴진다.
※해설: 기하학적 형태는 불규칙한 형태보다 가볍게 느껴진다.
2. 다음 중 오피스 랜드 스케이프(oggice land scape)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
ⓐ 가구 ⓑ 식물 ⓒ 파티션 ⓓ 고정 칸막이
※ 해설: 오피스 랜드 스케이프- 오픈 오피스에 있어 작업환경의 능률향상을 위한 배려와 개방공간에
서의 작업자의 심리적인 상태를 고려한 사무공간 계획방식으로 전
통적인 계획의 기하학적인 양상과 모듈에 대한 개념을 없앤 것
3. 다음 중 주택의 기능별 공간계획이 바른 것은?
ⓐ 정적공간: 침실, 서재, 거실 ⓑ 동적공간: 식사실, 현관, 서재
ⓒ 생리적 기능공간: 침실, 식당, 욕실 ⓓ 정서적 기능공간: 거실, 서재, 작업실
※ 해설: ① 정적공간- 침실
② 동적공간- 거실, 식당, 부엌
③ 가사노동공간- 다용도실, 부엌, 가사실, 세탁실
4. 다음 주거공간 중 급배수 설비와 가장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공간은?
ⓐ 거실 ⓑ 식당 ⓒ 욕실 ⓓ 침실
※ 해설: 배고나은 집중배치하고 내벽속에 하며 욕실, 부엌, 화장실 등은 배관설비가 필요하다.
5. 다음 중 전시(display)의 목적이 아닌 것은?
ⓐ 기업과 상품의 이미지 전달 ⓑ 효율적인 매장 구성
ⓒ 타점과의 동질성 추구 ⓓ 판매율 향상
※ 해설: 타사와 차별화하여 전시효과를 극대화한다.
6. 다음 소파(sofa)의 뜻이 다른 여러 가지 명칭 중 설명이 맞지 않는 것은?
ⓐ 체스터필드(chester field): 속을 많이 넣고 천으로 씌운 큰 의자
ⓑ 카우치(couch): 기댈수 있도록 한쪽 끝이 올라간 의자
ⓒ 러브시트(love seat): 2인용 작은 소파나 의자
ⓓ 플로어패드(floor pad): 등받이가 있는 2인용 의자
※ 해설: 플로어 패드- 바닥에 직접 매트리스를 놓고 여러 개의 쿠션류가 등받이 역할을 대신하여 낮잠
장도 잘 수 있는 형태
7. 상점의 실내공간 구성에서 3가지 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관계 없는 부분은?
ⓐ 판매부분 ⓑ 부대부분 ⓒ 파사드 ⓓ 접대부분
※ 해설: 상점의 실내공간
① 상점의 실내공간 구성은 판매부분, 부대부분, 파사드 부분으로 분류한다.
② 판매부분- 판매활동에 직접적으로 사용되는 공간이다.
③ 부대부분- 판매를 위한 관리부분으로 영업목적 달성을 위하여 사용되는 공간이다.
④ 파사드- 광고판, 아케이드 등을 포함한 입체적 구성요소로서 홀의 입구부분과 쇼윈도우
출입구를 포함한 평면구성요소를 말한다.
8. 다음 중 장식물(accessories)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 공간의 분위기를 생기있게 하는 실내 디자인의 최종적인 힘이다.
ⓑ 장식물은 가능한 한 적게 쓸수록 좋다.
ⓒ 강조하고 싶은 요소들을 보완해 주는 물건이다.
ⓓ 장식물도 기능성을 가질 수 있다.
※ 해설: 장식물은 공간의 크기와 성격, 마감을 고려하여 종류를 선택한다.
9. 다음 중 전시공간의 설계시 고려해야 할 기본 사항이 아닌 것은?
ⓐ 전시물의 특징 ⓑ 관람객의 움직임 ⓒ 관람방식 ⓓ 관람료 및 출구
※ 해설: 관람료 및 출구는 기능계획 중에서 배실계획 공간의 조직이다.
10. 다음 중 조명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 백색광은 색이 없는 무색이다. ⓑ 조도의 단위는 럭스(lx)를 사용한다.
ⓒ 조명은 자연광과 인공조명으로 구분된다. ⓓ 인공조명을 만들기 위해서는 에너지가 필요하다.
※ 해설: 백색광은 색을 가진 조명이다.
11. 다음 중 벽과 가구가 일체화되어 있는 형태로 공간의 낭비가 없고 절약의 효과가 커 공간
사용을 크게 할 수 있는 시스템은?
ⓐ 붙박이 가구 시스템 ⓑ 모듈러 가구 시스템
ⓒ 분해식 가구 시스템 ⓓ 조합 가구 시스템
※ 해설: 붙박이 가구 시스템은 공간의 극대화를 꾀할 수 있고 일반가구보다 2.5배 정도 수납이 가능
하다.
12. 다음의 디자인 원리 중 강조에 대한 설명으로 적당한 것은?
ⓐ 디자인의 부분부분에 주어진 강세, 즉 강도의 다양한 정도를 의미
ⓑ 구칙적인 요소들의 반복에 의해 나타나는 통제와 운동감
ⓒ 안정감과 완성감의 느낌을 창출하는 부분들의 관계
ⓓ 형태들의 크기, 방향, 색깔의 점차적인 변화
※ 해설: ① 강조는 단순한 실내에서도 전체속의 초점이 강조되는 부분으로, 화려한 카펫, 벽난로, 미술
장식품 등이 있다.
② 강조나 초점은 한 공간에서의 통일감과 질서를 느끼게 하며, 다른 모든 것들은 그것에 종
속되거나 2차적으로 보조된다.
13. 다음 중 실내 공간 계획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점은?
ⓐ 조명 스케일 ⓑ 가구 스케일 ⓒ 공간 스케일 ⓓ 인체 스케일
※ 해설: 휴먼 스케일- 인간의 신체기준을 파악하는 인간척도로서 공간구성의 제요소들이 적절한 척
도를 가져야 한다.
14. 다음 중 재료의 선택에서 색채에 영향을 주는 가장 큰 요소는?
ⓐ 빛 ⓑ 스케일 ⓒ 촉감 ⓓ 시각
※ 해설: 사람의 눈을 통해서 볼 수 있는 모든 색은 빛에 의해서 보게 되는 것이다.
15. 다음 중 색채조절의 3요소가 아닌 것은?
ⓐ 명시성 ⓑ 쾌적성 ⓒ 작업의욕 ⓓ 안전
※ 해설: 색채조절의 3요소는 명시성(vision), 작업의욕(morale), 안전(security)이다.
[교과단원-실내환경]
16. 다음 중 음향 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못한 것은?
ⓐ 음이 실내에 고루 분산되도록 한다. ⓑ 반사음이 한 곳으로 집중되지 않도록 한다.
ⓒ 잔향 시간은 청중이 많을수록 길다. ⓓ 잔향 시간이 길면 명료성이 결여된다.
※ 해설: ① 잔향 시간이 긴 순서는 강연>실내악>종교음악 순이다.
② 잔향 계획은 일반적으로 전 주파수의 평탄성의 요구, 명료도의 요구가 필수적이며 처음
에는 짧은 편이 좋고, 풍부한 반향(echo)이 요구되나 음악에는 저음역이 다소 긴 편이
좋다.
17. 다음 중 창의 현휘 현상(눈부심 현상)을 방지하는 방법 중 옳지 않은 것은?
ⓐ 실내 반사율을 감소시킨다.
ⓑ 수평 수직 루버를 설치한다.
ⓒ 차양을 돌출시키거나 창을 깊이 후퇴시킨다.
ⓓ 창대, 멀리온등은 과대한 대비를 방지하기 위해 밝은색으로 처리한다.
※ 해설: 창의 현휘를 조절하기 위해서 실내 반사율을 증가시킨다.
18. 다음 건축화 조명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다운라이트는 천장면이 어두워지는 것이 결점이나 동적인 실내 공간을 만들어 준다.
ⓑ 공천장 조명은 그림자 없는 쾌적한 빛을 얻을 수 있다.
ⓒ 코브라이트 조명은 천장과 벽의 재료, 색, 마감에 따라 여러 가지의 조명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다운라이트 조명은 형광들을 이용하면 높은 조도를 얻을 수 있다.
※ 해설: 다운라이트- 전장에 작은 구멍을 뚫어 그 속에 조명을 매입한 것
19. 다음 중 백열전구에 비해 형광등의 특징이라 할 수 없는 것은?
ⓐ 방사 열량이 낮다. ⓑ 빛 효율이 높다. ⓒ 광색조절이 비교적 용이하다. ⓓ 휘도가 높다.
※ 해설: 형광등은 눈부심이 없고 휘도가 낮다.
20. 다음 중 소리의 현상이 아닌 것은?
ⓐ 굴절 ⓑ 공명 ⓒ 순응 ⓓ 반사
※ 해설: 음은 빛과 동일한 현상을 가지므로 소리의 성질에도 투과, 반사, 굴절이 있다.
[교과단원-실내 건축 재료]
21. 다음 중 특정 주파수 음의 흡음을 위해 사용되는 흡음재로서 맞는 것은?
ⓐ 다공성 흡음재 ⓑ 매달은 흡음재 ⓒ 공명기형 흡음재 ⓓ 가변성 흡음재
※ 해설: 공면기형 흡음재- 다양한 흡음 효과는 기대할 수 없으나 특별한 주파수 대역을 고도로 강하게
흡음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한다.
① 흡음재료- 평균 흡음률이 0.3 이상이면 흡음 재료라 부른다.
② 흡음률- 재료면에 입사하는 에너지의 소모되는 정도로서 나타낸다.
22. 영구 음영이라 할 수 있는 부분은 어느 때 종일 음영부분을 말하는가?
ⓐ 동지 ⓑ 춘분 ⓒ 하지 ⓓ 추분
※ 해설: 1日 중 전혀 일조가 없는 것을 종일 음영이라고 하며, 태양 고도가 최고인 하지에도 종일 음
영인 부분은 그 건물이 서 있는 한 영구히 일조가 없는 부분이므로 이것을 영구음영이라고
한다.
23. 다음 중 실내 벽체 표면의 결로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바르지 못한 것은?
ⓐ 환기를 자주하여 노점온도를 내린다.
ⓑ 실내측에 열차단재를 붙여 열관류저항을 크게 한다.
ⓒ 실내의 수증기 발생을 줄인다.
ⓓ 외기에 면한 벽체에 방습층을 둘 경우 실외측에 가깝게 설치한다.
※ 해설: 습기차단용으로 외벽에 방습층을 둘 경우 실외측 보다는 실내측에 가깝게 설치하며, 아스팔트
용액이나 비닐지를 이용하며 방수막을 형성시킨다.
24. 다음 중 벽체의 열관류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서 부적당한 것은?
ⓐ 시간 ⓑ 온도차 ⓒ 재료의 면적 ⓓ 재료의 무게
※ 해설: 열관류 열량 = 열관류율 × 온도차 × 벽의 면적 × 시간이다.
25. 다음 중 음파의 방향에 직각되는 단위면적을 통하여 1초간에 전파되는 음에너지량을 무
엇이라고 하는가?
ⓐ 음압 ⓑ 음의 세기(음의 강도) ⓒ 데시벨(dB) ⓓ 폰(phon)
※ 해설: ① 음압은 공기의 진동으로 생기는 단위면적에 적용하는 힘을 말한다.
② 데시벨(dB)은 음의 세기나 음압레벨을 말한다.
26. 다음 용도별 실내 색채에 관한 기술 중 틀린 것은?
ⓐ 한색계 공간은 정신적 활동에 적합하다.
ⓑ 병원 수술실에 가장 많이 쓰이는 색은 녹색이다.
ⓒ 사무실 벽은 순백색으로 하는 것이 눈의 피로를 줄여서 좋다.
ⓓ 공항에서 안전이 요구되는 부위에는 규정된 안전 색채로 되어야 한다.
※ 해설: ① 사무실은 안정된 한색이나 저조도 배색이 좋고 가구, 비품은 중명도의 약간 높은 명도 색이
좋으며 흰색벽은 눈을 피로하게 하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② 난색계의 고채도 색은 흥분을 유발하고, 한색계의 저채도 색은 마음을 가라앉히는 진정의
침정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고채도의 색상을 칠한 큰 벽면은 활기와 박력이 넘치는 심리
적인 효과나 생리적인 효과도 있다.
27. 다음 중 조명 기구의 결정 요소에 속하지 않는 것은 어느 것인가?
ⓐ 건축물의 종류 및 용도 ⓑ 방의 기능
ⓒ 전등의 광색, 능률, 설치 방법 ⓓ 자외선의 유무, 설비비, 유지관리
※ 해설: 건축물의 종류 및 용도에 따라서 전등의 광색, 능률, 설치방법, 자외선의 유무, 설비비, 유지
관리 등을 고려하여 그 종류를 결정한다.
28. 다음은 직접 조명의 단점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어느 것인가?
ⓐ 글로브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눈부심이 크다.
ⓑ 음영이 강하게 된다.
ⓒ 실내를 전체적으로 볼 때, 밝고 어두움의 차이가 크다.
ⓓ 균일한 조도를 얻을 수 있다.
※ 해설: 직접조명의 단점
① 글로브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눈부심이 크고, 음영이 강하게 된다.
② 실내를 전체적으로 볼 때, 밝고 어두움의 차이가 크다.
29. 다음 중 실내를 일률적으로 밝히는 조명 방법으로 눈의 피로가 적어져서 사고나 재해가
적어지는 조명방법은?
ⓐ 전반 조명 ⓑ 국부 조명 ⓒ 직접 조명 ⓓ 간접 조명
※ 해설: ① 전반 조명- 가장 일반적인 조명법으로 사무실, 작업실, 전시 판매장에 적합하고 조명 기
구를 일정한 높이와 간격으로 설치하며 눈의 피로가 적어 편안한 시각 환경을
만들고 재해나 사고를 줄일 수 있다.
② 국부 조명- 부분 조명이라고도 하며 집중적인 조명 효과가 필요한 곳에 요구된다. 즉, 작
업을 위해서 사용하는 작업 조명과 어떤 물품이나 장소를 특별히 강조하기 위한
액센트 조명으로 구분된다.
30. 실내에서 보통 옷을 입고 있는 안정시의 인체에서 발산되는 열손실 비율이 큰 것부터 작은
것의 순서가 맞는 것은 어느 것인가?
ⓐ 복사 - 대류 - 증발 ⓑ 복사 - 증발 - 대류 ⓒ 대류 - 증발 - 복사 ⓓ 대류 - 복사 - 증발
※ 해설: 실내에서 옷을 입고 있는 상태에서 안정시 인체에서 발산되는 열손실 비율은 복사 45%, 대류
30%, 증발25%로 나타나고 있다.
31. 다음 기후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어느 것인가?
ⓐ 기습도는 기온, 습도로 나타낸다. ⓑ 기수도는 기온, 일사량으로 나타낸다.
ⓒ 기풍도는 기온, 풍속을 나타낸다. ⓓ 기조도는 기온, 일조시수로 나타낸다.
※ 해설: 여러 가지 기후 요소를 월별로 평균해서 이것을 기온과 조합하여 그래프로 그린 것을 기후
도라 하며, 기습도(기온, 습도), 기수도(기온, 강수량), 기풍도(기온, 풍속), 기조도(기온, 일조
시수) 등이 있다.
32. 다음 중 열환경의 4요소에 속하지 않는 것은?
ⓐ 공기의 온도 ⓑ 먼지 ⓒ 기류 ⓓ 주위 벽의 열복사
※ 해설: 공기의 온도, 습도, 기류, 주위 벽의 열복사는 인체의 온열 감각에 가장 크게 영향을 끼치는
요소로 이들을 열환경의 4요소, 또는 온열 요소라고 한다.
33. 다음 중 사업장에서 1일 8시간 정도의 작업을 할 때 이상적인 소음의 수치는 얼마 이하
인가?
ⓐ 180dB ⓑ 150dB ⓒ 120dB ⓓ 90dB
※ 해설: 소음의 허용한계
① 가청 주파수- 20~2,0000Hz
② 심리적 불쾌감- 40dB 이상
③ 생리적 영향- 60dB 이상
④ 난청- 90dB (8시간)
⑤ 유해 주파수- 4,000Hz(공장소음)
34. 색채 계획에 관한 기술 중 적당치 않은 것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 한색은 보통 후퇴하여 보인다.
ⓑ 작은 방일수록 적은 종류의 색을 쓰는 것이 좋다.
ⓒ 작은 견본으로 정한 색은 그 면적이 넓어지면 짙어 보이는 것이 보통이다.
ⓓ 실내 색채 계획에 있어 바닥, 장두리, 벽, 천장의 순으로 명도를 점차 낮추는 것이 좋다.
※ 해설: 실내 색채 계획은 천장, 벽, 바닥의 순으로 밝게 계획한다.
35. 다음 중 소리의 3요소가 아닌 것은?
ⓐ 파장 ⓑ 음압 ⓒ 진폭 ⓓ 주파수
※ 해설: ① 소리의 3요소는 진폭, 파장, 주파수이며 주파수는 사이클(cycle)/초(sec)이다.
② 음압은 공기의 진동으로 발생하는 단위면적에 작용하는 힘을 말한다.
36. 다음 중 주광 설계 지침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 양측채광을 한다. ⓑ 주광을 확산 분산시킨다.
ⓒ 높은 곳에서 주광을 삽임시킨다. ⓓ 주요한 작업면은 밝게하기 위해 직사광선을 삽입시킨다.
※ 해설: 주광 설계 지침 중 중요한 작업면은 직사광선을 피하는 것이 좋다.
37. 다음 빛의 단위 중 조도를 나타내는 것은 어느 것인가?
ⓐ candela ⓑ lumen ⓒ lux ⓓ stilb
※ 해설: 조도- 어떤 면에서 입사광속의 면적당 밀도를 말하며 Lux 또는 lx로 표시한다.
38. 다음 중 소리의 음색과 관련이 많은 것은?
ⓐ 리듬 ⓑ 파형 ⓒ 진동수 ⓓ 진폭
※ 해설: 음색이 서로 달라지는 이유는 주로 음파의 파형이 다르기 때문에 나타난다.
39. 다음 중 채광창의 위치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 미술관 - 천창 ⓑ 정밀기계 작업실 - 남쪽 ⓒ 병실 - 동남쪽 ⓓ 제도실 - 북쪽
※ 해설: 정밀기계의 경우는 조도가 균일한 작업실이 요구되므로 북쪽이 좋다.
40. 다음 중 사람이 생활하는데 가장 적당한 습도는?
ⓐ 80~90% ⓑ 70~80% ⓒ 50~60% ⓓ 30~40%
※ 해설: 일반적으로 생활하는데 가장 적당한 습도는 50~60% 정도이다.
[교과단원-건축 일반]
41. 철골 구조의 보에 사용되는 스티프너의 기술 중 바르지 못한 것은?
ⓐ 대개 I자 형강으로 만든다.
ⓑ 하중점 스티프너는 집중하중에 대한 보강용으로 쓰인다.
ⓒ 보통 4개의 형강으로 사용하나 하중이 작을 때에는 2개의 형강으로 만든다.
ⓓ 중간 스티프너는 웨브의 좌굴을 막기 위해 쓰인다.
※ 해설: ⓒ는 플렌지 플레이트의 내용이다.
42. 조적조에서 통줄눈을 피하는 가장 큰 이유는?
ⓐ 외관을 아름답게 하기 위하여 ⓑ 시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 하중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 응력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 해설: ① 막힌 줄눈- 조적조에서는 원칙저긍로 사용(응력분산을 위함)
② 통 준눈- 세로줄눈의 위 아래가 서로 통한 형태로서 하중을 균등하게 밑으로 전달시킬 수
없을 뿐만 (하중의 집중현상으로 균열발생) 아니라 지중에서 습기가 스며들기
쉽다.
③ 치장 줄눈- 벽돌쌓기 후 벽면에서 8 ~ 10mm로 줄눈파기를 하고 1 : 1로 시공
43. 다음 중 채색지로 쓰이는 것은?
ⓐ 트레싱지 ⓑ 켄트지 ⓒ 백아지 ⓓ 드레싱 클로오드
※ 해설: ① 원도지 중에서 장기보관 또는 착색용으로 모조지, 백아지, 워트먼지 등을 사용한다.
② 트레싱 클로오드는 하나의 원도에서 많은 양의 복사를 한다든지 원도를 장기 보관할 필
요가 있을 때 사용한다.
③ 원도지- 켄트지, 모조지, 백아지, 워트먼지
④ 투사용지- 트레싱 페이퍼, 트레싱 클로오드
44. 석재 가공시의 사용 공구로 틀린 것은?
ⓐ 메다듬-쇠메 ⓑ 도드락 다듬-도드락 망치 ⓒ 잔다듬-정 ⓓ 석재 쪼개기-부리
※ 해설: 잔다듬 - 양날 망치
45. 다음 중 시멘트 1,500㎏은 약 몇 포대에 해당하는가?
ⓐ 20포대 ⓑ 38포대 ⓒ 45포대 ⓓ 50포대
※ 해설: 1,500㎏ ÷ 40㎏ = 37.5 포대
46. 다음은 가새에 대한 설명이다. 적절하지 않은 것은?
ⓐ 가새의 경사는 60˚ 정도가 가장 좋다.
ⓑ 가새는 목조벽체를 수평력에 견디게 하고, 안정된 구조로 하기 위해서 설치하는 것이다.
ⓒ 인장가새의 단면은 기둥치수의 1/5 이상의 단면적을 지닌 것으로 사용한다.
ⓓ 가새는 깎아 내는 일이 없도록 하며, 부재의 1/3 이상을 깎아야 할 경우에는 보강철물로 보강하여야
한다.
※ 해설: ① 가새의 경사는 45˚에 가까울수록 가장 좋다.
② 압축가새의 단면은 기둥치수의 1/3 이상의 단면적을 지닌 것으로 사용한다.
47. 제도 문자의 크기는 몇 종류를 표준으로 하는가?
ⓐ 3종류 ⓑ 8종류 ⓒ 11종류 ⓓ 13종류
※ 해설: 글자의 크기는 높이로 표시되며 20mm, 16mm, 12.5mm, 10mm, 8mm, 6.3mm, 5mm, 4mm,
3.2mm, 2.5mm, 2mm의 11종류를 표준으로 한다.
48. 다음 중 지붕의 되물매는 어느 것인가?
ⓐ 2.5cm ⓑ 4cm ⓒ 10cm ⓓ 15cm
※ 해설: ① 되물매- 45˚, 10cm 물매
② 된물매- 되물매를 초과하는 물매
49. 다음의 못접합에 대한 설명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
ⓐ 못의 접합에 있어서 경미한 것 외에는 1개소에 6개 이상 박기로 한다.
ⓑ 치장으로 내어 보이는데 쓰이는 못은 쭈그려 쓰기도 하고, 또 작은 머리못(플랫못)을 쓰기도 한다.
ⓒ 못배치의 최소간격은 인장재에 대한 길이 1.5d 이상으로 한다.
ⓓ 못의 길이는 나무마구리에 박을 때에는 3.0 ~ 3.5배로 한다.
※ 해설: 못의 접합에 있어서 경미한 것 외에는 1개소에 4개 이상 박기로 한다.
50. 못접합에 있어서 각재의 두께는 못지름의 몇 배로 하여야 하는가?
ⓐ 3배 이상 ⓑ 4배 이상 ⓒ 6배 이상 ⓓ 8배 이상
※ 해설: 못의 접합에 있어서 각재의 두께는 못지름의 6배 이상으로 한다.
51. 목조 벽체를 수평력에 견디게 하고 안전한 구조를 만들기 위해 댄 것은?
ⓐ 꿸대 ⓑ 가새 ⓒ 샛기둥 ⓓ 심벽
※ 해설: ① 꿸대- 기둥과 기둥 사이를 가로 꿰뚫어 연결하는 수평 구조재로서 외를 엮어대는 힘살이
되는 것이다.
② 가새(bracing)- 목조 벽체를 수평력(횡력)에 견디게 하고 안전한 구조를 만들기 위해 댄다.
③ 샛기둥- 본기둥 사이에 벽체를 이루는 것으로 가새의 옆휨을 막는데 유효하다.
52. 벽체의 중간 일부를 공사 관계로 다 쌓지 못하고 다음날 다시 쌓을 수 있게 하는 방식은?
ⓐ 엇모 쌓기 ⓑ 세워 쌓기 ⓒ 공간 쌓기 ⓓ 층단 떼어 쌓기
※ 해설: ① 층단 떼어 쌓기나 켜결름 들여 쌓기는 벽을 다 쌓지 못할 때 다음날에 벽돌을 물려 쌓기
위하여 사용하는 방법이다.
② 내쌓기는 보통 1/8B 한 켜씩 또는 1/4B 두 켜씩 내쌓고 내미는 정도는 2B한도로 한다.
53. 다음 중 지붕 물매가 2.5/10일 때 적당한 잇기 재료는?
ⓐ 기와 ⓑ 골슬레이트 ⓒ 기와 가락 ⓓ 아스팔트 루핑
※ 해설: 기와 4/10, 골슬레이트 3/10, 아스팔트 루핑 3/10, 천연 슬레이트 6/10
54. 다음 중 철근 콘크리트의 4주 압축 강도는?
ⓐ 80㎏/㎠ 이상 ⓑ 110㎏/㎠ 이상 ⓒ 150㎏/㎠ 이상 ⓓ 210㎏/㎠ 이상
※ 해설: 철근 콘크리트 4주 압축 강도는 150㎏/㎠ 이상, 경량 콘크리트 구조용 4주 압축 강도는 110㎏
/㎠ 이상
55. 다음 중 말뚝에 관한 사항이다. 적당치 않은 것은?
ⓐ 기성 콘크리트 말뚝의 간격은 75cm 이상으로 한다.
ⓑ 제자리 콘크리트 말뚝의 간격은 90cm 이상으로 한다.
ⓒ 나무 말뚝은 껍질을 벗기지 않은 생나무를 옹이만 다듬어 사용한다.
ⓓ 생나무를 사용하며 벌목 후 여름은 15일 이내, 기타는 30일 이내 사용한다.
※ 해설: 나무 말뚝은 껍질을 벗기고 옹이나 가지를 다듬어 사용한다.
56. 감잡이쇠가 사용되는 곳은?
ⓐ 기둥과 보 ⓑ 기둥과 층도리 ⓒ 평보와 왕대공 ⓓ 큰보와 작은보
※ 해설: 평보와 왕대공은 짧은 장부 맞춤에, 연결 철물은 감잡이쇠를 사용한다.
57. 지히실 방수에서 바깥 방수에 비하여 안방수를 기술한 것 중 틀린 것은?
ⓐ 시공 후 수리가 쉽다. ⓑ 수압이 클 때 사용한다.
ⓒ 시공이 유리하고 공비가 저렴하다. ⓓ 비교적 얕은 위치의 지하실을 구축할 때 사용한다.
※ 해설: 지하실 안방수는 수압이 작을 때 사용한다.
58. 징두리란 다음 중 어느 곳을 말하는가?
ⓐ 외부벽의 하부 ⓑ 내부벽의 하부 ⓒ 외부벽의 상부 ⓓ 내부벽의 상부
※ 해설: 징두리- 굽도리라고도 하며 내벽 하부에서 높이 1 ~ 1.5m 정도로 판벽한 것을 말한다.
59. 다음 중 모임지붕의 귀에서 동자 기둥을 받게 한 부재는?
ⓐ 귀 ㅅ 자보 ⓑ 종보 ⓒ 우미량 ⓓ 대공가새
※ 해설: ① 종보- 지붕이 클 때 대공이 길어져 좌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붕보 위에 동자 기둥을
설치하고 그 위에 종보를 걸쳐 짧은 대공을 받쳐 준다.
② 대공가새- 왕대공 지붕틀의 진동이나 전도를 막기 위해 왕대공 상호간에 V자형, X 자형
으로 대주는 부재
60. 다음 중 납작마루 부재와 관련이 없는 것은?
ⓐ 장선 ⓑ 마루널 ⓒ 멍에 ⓓ 밑둥잡이
※ 해설: 밑둥잡이는 동바리 마루 구조에 사용하는 부재이다.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 |
ⓓ |
ⓒ |
ⓒ |
ⓒ |
ⓓ |
ⓓ |
ⓑ |
ⓓ |
ⓐ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 |
ⓐ |
ⓓ |
ⓐ |
ⓑ |
ⓒ |
ⓐ |
ⓐ |
ⓓ |
ⓒ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
ⓒ |
ⓓ |
ⓓ |
ⓑ |
ⓒ |
ⓑ |
ⓓ |
ⓐ |
ⓐ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 |
ⓑ |
ⓓ |
ⓓ |
ⓑ |
ⓓ |
ⓒ |
ⓑ |
ⓑ |
ⓒ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 |
ⓓ |
ⓒ |
ⓒ |
ⓑ |
ⓐ |
ⓒ |
ⓒ |
ⓐ |
ⓒ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