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령은 오래된 소나무를 벌채한 뒤 3∼10년이 지나면 뿌리에 기생하여 성장하는 균핵으로 형체는 일정하지 않다.
표면은 암갈색이고, 내부는 회백색의 육질과립상으로 신선한 냄새가 감돈다.
껍질은 복령피라 하고, 균체가 소나무 뿌리를 내부에 싸고 자란 것은 복신(茯神), 내부의 색이 흰 것은 백복령, 붉은 것은 적복령 이라
하여 모두 약으로 쓴다. 약성은 평범하며 맛이 달고 덤덤하다.
완만한 이뇨작용이 있어 소화기가 약하면서 전신에 부종이 있을 때에 효과가 뛰어나며, 신장염이나, 방광염· 요도염에도 효과가 있다.
또한 거담작용이 있어 가래가 많이 분비되고, 호흡이 곤란한 증상인 만성 기관지염과 기관지 확장증에도 거담, 진해하는 약물과 배합
하여 치료하고 있다.
이외에 건위작용이 있어 위장내에 수분이 과다하게 정체되어 복부가 팽만되고 구토를 일으키는 만성위장염에 쓰며, 진정효과가 뛰어
나서 신경의 흥분으로 인한 초조와 불안, 자주 놀라고 입이 마르며 식은 땀을 흘리는 증상에 안정제로 쓰인다.
복령은 소변을 못보고 배와 전신의 부종, 담음으로 해수, 구토, 설사가 있을 때, 신경과민에 의한 건망증, 유정에 쓰이며 심장부종 에도
사용한다.
특히 백복령은 비(脾)를 보하고 가래를 삭이는 효능이 좋고, 적복령은 습열사(濕熱邪)를 없애고 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 효능이 좋으며,
복신은 진정 작용이 세므로 비허로 붓는 데와 담음병에는 백복령을 쓰고 습열사로 생긴 배뇨 장애 때에는 적복령을 쓰며 잘 놀라면서
가슴이 두근거리는 데와 불면증, 건망증에는 복신을 쓴다. 복령 껍질[복령피(茯苓皮)]도 소변이 잘 나오게 하므로 붓는 데 쓴다.
하루 6~20g을 탕제 · 산제 · 환제 형태로 만들어 먹는다.
몸이 차고 허약하여 유정(遺精)이 되는 사람은 복용하지 않는 것이 좋고, 지유(地楡)·웅황(雄黃)·진범(蓁범)등과는 같이 배합하지 않는다.
(모셔온 글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