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참 기지화 정책 | 목적 | * 식민지 확대 정책 실시(전쟁 확대) → 만주사변(1931) · 중일전쟁(1937) · 태평양전쟁(1941) → 전쟁 물자의 신속한 조달(공급) → 병참이 필요 → 한반도를 병참기지로 만듦 * 병참(兵站) : 군사 작전에 필요한 인원과 물자를 관리, 보급, 지원하는 일을 말한다. * 기지 : 근거지. 터전. 기초. 캠프 * 병참기지 : 전쟁에 필요한 인력과 물자를 공급하는 근거지. * 한반도를 대륙 침략(중국 점령)의 병참 기지(근거지)로 만듦(化) * 한반도를 침략 전쟁에 필요한 물자 공급 근거지로 이용하고자. * 한반도를 일본이 전쟁을 하는데 필요한 전쟁물자(군수품)을 공급하는 기지(근거지)로 이용하려던 정책이, 병참기지화 정책이다. * 민족말살통치 시기의 일제의 경제수탈 정책이, 병참기지화 정책이다. |
내용 | * 대륙과 가깝고 지하자원이 많은, 한반도의 북부지역에, 군수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전쟁물자 생산 공장을 세움) → 금속· 기계· 화학 등 군수산업과 이와 관련된 중화학 공업을 집중적으로 키움(조선 공업화 정책). * 한반도의 북쪽은 중공업 중심으로, 남쪽은 경공업 중심으로. * 지하자원(철· 석탄 등) 약탈(지하자원의 생산 증대) 남면 북양 정책 : 공업 원료 증산 정책(남쪽에는 면화를 재배하고, 북족에는 양을 키우도록 함. 값싼 공업 원료 확보가 목적) → 공업 원료 수탈이 목적 |
결과 | * 한국이 군수산업 위주로 경제구조가 변화됨 * 중공업은 북쪽, 경공업은 남쪽에 편중됨(치우침) → 산업 불균형 심화로 광복(1945) 후, 남한은 한동안 경제적 어려움을 겪음(전력 부족 등) |